본문 바로가기

정성공23

중국역사상의 흑인용병 용병은 국가나 민족의 이익을 위하여 싸우는 것이 아니라, 보수를 얻기 위하여 싸우며, 어느 국가나 민족에든 고용될 수 있는 직업군인을 말한다. 이는 많은 나라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중국에서도 명, 청이래로 중대한 전쟁에서 외국용병의 그림자를 볼 수 있다. 이 용병들 중에서 흑인용병.. 2007. 2. 15.
주순수(朱舜水) : 일본의 공자 주순수(朱舜水, 1600-1682) 명말청초에 고염무(顧炎武), 황종희(黃宗羲), 방이지(方以智), 왕부지(王夫之)와 주순수는 "오대사(五大師)"로 존경받았다. 그중, '일본의 공부자(孔夫子)'로 존칭되는 주순수는 그의 전설적인 경력으로 중국과 일본의 교류사에 독특한 장을 남겼다. 주순수의 자는 노여(魯璵)이.. 2007. 2. 8.
청나라의 한족출신 왕공(王公) 1. 평서친왕(平西親王) 오삼계(吳三桂) (1612-1678) 자는 장백(長伯)이고, 강소 고우 사람이다. 요동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오양(吳襄)이고, 숭정제때 금주총관을 지냈다. 이자성의 농민군이 북경에 가까이 올 때, 오삼계는 요동총병관이었다. 숭정제는 그에게 평서백(平西伯)의 작위를 내리고, 북경을 보위.. 2007. 1. 26.
"시랑(施琅)"과 "정성공(鄭成功)"의 역사대결 작자: 주대가(朱大可) 국가주의(國家主義)와 민족주의(民族主義)의 유구하면서도 견고한 연맹은 결국 대파국을 맞이하였다. 이러한 가치분열의 화근은 바로 TV드라마 <<시랑대장군(施琅大將軍)>>이었다. 이 드라마에서 정성공의 부하였다가 배신한 장군 시랑을 애국주의영웅의 .. 2007. 1. 22.
정성공(鄭成功)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최근들어 중국에서는 반청복명을 위하여 대만에 칩거했던 정성공과 정성공의 수하였으나 이후 청나라에 투항한 후 대만의 정성공정권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운 시랑에 대하여 누가 애국자인지를 놓고 새로운 평가가 진행중이다. 여기에서는 정성공에 대한 몇가지 알려지지 않은 .. 2006.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