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융중대14

유비는 왜 항상 다른 제후들과의 합작을 끝까지 유지하지 않았을까? 글: 장공성조(長空星照) 유비는 평원상(平原相)이 된 후, 자립의 기본적인 조건을 갖추게 된다. 그러나, 실력과 당시 천하형세로 인하여, 제후들은 부득이 다른 제후와의 합작을 할 수밖에 없었다. 이를 통해 갈등이 첨예한 적을 상대하고, 다른 제후들에게 병합되지 않을 수 있었다. 제후들이 유비와 합작한 경우는 적지 않다. 그러나 유비는 시종 다른 제후들과의 합작을 끝까지 유지하지 못했다. 도대체 무슨 이유에서일까? 유비가 평원상이 된 것은 공손찬때문이다. 공손찬이 원소와 싸우기 때문에, 유비와 청주자사 전해(田楷)는 제(齊)의 딸에 주둔했다. 조조는 서주를 공격했고, 서주자사 도겸이 도와달라고 한다. 전해와 유비는 함께 가서 그를 도와준다. 이때 유비에게는 1천여명의 병사가 있었다. 그리고 유주의 일부 소.. 2020. 10. 20.
역사상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는 어떠했을까? 글: 야독사서(夜讀史書) <삼국연의>를 읽은 사람이라면 유비와 제갈량이라는 군신에 대한 인상이 아주 깊을 것이다. 유비는 일찌감치 사람들에게 '유황숙'으로 불리웠지만, 처지는 비교적 비참해서, 반평생을 여기저기 떠돌며 지냈다. 그리고 시종 자신의 근거지를 확보하지 못했다. .. 2019. 7. 2.
형주(荊州)의 상황에 대한 판단은 제갈량과 방통중 누가 정확했을까? 글: 장공성조(長空星照) 제갈량의 융중대에서는 형주에 대하여, "북거한면(北據漢沔), 이진남해(利盡南海)"라고 하면서, 그 땅의 주인인 유표는 지킬 능력이 없어, 하늘이 유비에게 준 자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방통은 이렇게 말한다: "형주황잔(荊州荒殘)". 이미 이곳을 차지한다고 하.. 2019. 5. 23.
유비와 제갈량은 왜 형주의 관우를 도와주지 않았을까? 글: 화운초(和運超) 유비가 서천을 공격하여 취하는데 거의 4년이 걸렸다(210년-213년). 건안20년(215년), 유비는 이미 익주를 완전히 점겨한다. 손권은 다시 형주를 달라고 하고 쌍방은 서로 양보하려 하지 않았다. 이때 조조는 기회를 틈타 서쪽으로 마초, 한수를 공격하여 승리를 거둔다. 마.. 2017. 9. 3.
양영태(楊永泰): 장개석의 제일모사 글: 유계흥(劉繼興) 역사상 일종의 지식엘리트들은 "문객(門客)", "군사(軍師)", "막료(幕僚)"등의 신분으로 자신의 '주인', '주공'을 위하여 계책을 내고, 근심거리와 어려움을 해결해주는데, 이들을 "모사(謀士)"라고 불렀다. 고대의 저명한 모사로는 범증, 진평, 곽가, 가후(賈詡)등이 있.. 2015. 2. 20.
삼국시대의 역사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10대 영웅 글: 복녕객(福寧客) "곤곤장강동서수(滾滾長江東逝水), 랑화도진영웅(浪花淘盡英雄)" 그렇다면, 삼국의 국세에 영향을 가장 크게 준 10대인물은 누구일까? 가헌(稼軒, 신기질)은 "생자당여손중모(生子當如孫仲謀)......천하영웅적수(天下英雄敵手) - 조류(曹劉)"라는 말을 했다. 이 세 사람이.. 2015. 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