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융유태후11

원세개는 왜 융유태후를 첩으로 삼으려 했는가? 글: 중천비홍(中天飛鴻) 1911년 10월 10일, 국민혁명군이 무창(武昌)의거를 일으킨다. 20일후, 원세개는 청나라정부 내각총리대신이 된다. 다음 해인 1월 25일, 원세개 및 각 북양장령은 전보를 보내어 공화(共和)를 선택한다. 남방혁명정부로부터 대총통의 자리를 보장받은 후, 원세개는 청황.. 2013. 11. 10.
광서제 검시보고서에 대한 검토 글: 풍학영(馮學榮) 1908년 11월 14일, 나이 겨우 38세된 광서제가 돌연 붕어한다. 다음 날 11월 15일, 서태후도 곧이어 병사한다. 그때부터 시작하여, "서태후가 광서제를 독살했다"는 주장이 유행했다. 지금까지 백여년간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 주장은 중국인들이 무조건적으로 믿어왔다... 2013. 9. 14.
서태후의 마지막 하루 글: 이옥광(李玉廣) 1908년 11월 15일 새벽 서태후는 평소와 마찬가지로 잠에서 깨었다. 즉 소위 "청가(請駕)"이다. 전날, 즉 14일에 광서제가 붕어했다. 서태후는 종일 광서제의 후사를 처리하느라 바빴고, 제대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저녁 늦어서야 쉴 수 있었다. 무엇때문인지 몰라도, 서.. 2013. 6. 11.
1912년 1월 1일: 중화민국을 여는 첫날 글: 왕학빈(王學斌) 1912년 1월 1일, 남경, 총통부, 밤 11시. 하얀 달이 하늘에 떠 있고, 별들은 점점이 보인다. 손중산(孫中山)는 임시대총통 취임선서문을 들고, 광동어로 장엄하게 읽어내려갔다: "만주독재정부를 전복시키고, 중화민국을 공고히 하며, 민생과 행복을 도모하는 것은 국민의 .. 2012. 1. 12.
융유태후: 1911년 대청제국의 막을 내리다. 글: 진원(陳遠) 1911년은 신해혁명이 일어난 해이다. 수천년동안의 왕조교체와 달리, 도태되는 청황실은 ‘연착륙’을 실현한다. 이뿐아니라, 더욱 중요한 점은, 신해혁명은 왕정에서 공화정으로 성공적인 정치적 변혁을 이루었고, 신구사회집단이 교체하는 가운데 사회변혁도 완성했다는 것이다. 이.. 2010.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