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조14

북송황제의 장례과정 글: 시습사사(時拾史事) 고대에 황제가 붕어하면, 왕왕 호화스럽고 융중한 장례식을 치른다. 예를 들어, 진시황, 한무제등등이 모두 그러했다. 그렇다면 송나라의 황제는 예외였을까" 당연히, 아니었다. 관가(官家, 황제)는 통치집단의 1인자이다. 중국에서 가장 권력이 있는 사람이다. 사후에 거창한 장례식도 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황제의 지위를 체현할 수 있겠는가? 여기에서 북송황제의 장례과장을 돌아보고, 도대체 어떤 절차를 거쳤고, 얼마나 복잡했는지 알아보기로 하자. 유조(遺詔)를 선독(宣讀)하다 정상적이라면 황제가 붕어한 후 반드시 즉시 신황제를 확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국을 주재할 사람이 없게 된다. 구가기구도 정상적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그럼 도대체 누가 황제에 올라야 하는가? 바로 이때 유조의.. 2020. 8. 23.
곽광 vs 상홍양: 한무제의 두 탁고대신은 왜 서로 반목하게 되었는가? 글: 정호청천(鼎湖聽泉) 그때는 염철회의 대변론 후의 다음 해였다. 즉 한소제 원봉원년(기원전80년) 구월, 잘나가던 상홍양(桑弘羊)은 시종 자신의 경력과 공로가 모두 곽광(霍光)보다 위라고 여긴다. 그런데, 정치적인 지위는 곽광보다 낮은 점에 대하여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사람의 .. 2019. 10. 10.
채륜(蔡倫): 궁중투쟁에 희생된 위대한 과학자 글: 청림지청(靑林知靑) 1960년대 중국우정(郵政)은 중국고대과학자우표세트를 발행한다. 그 중에는 제지술을 발명한 채륜이 있었다. 웃기는 일은 채륜의 출생년의 "기원(公元)" 뒤에 "전(前)"자를 추가해 놓은 것이다. 그렇게 되니 채륜의 출생연도가 수백년은 앞당겨지게 된다. 우표도안.. 2019. 5. 21.
저산자(褚蒜子): 3번의 임조청정, 6명의 황제...동진(東晋)의 장문인 글: 간감(看鑒) 여성(女性), 여권(女權)과 같은 주제는 항상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논쟁이 심하다. 세계각지의 여성들은 여전히 자신의 권력을 위하여 여러가지 반항과 투쟁을 벌이고 있다. 여성의 역량은 갈수록 중요해진다. 옛날에 여성은 부권(父權)과 부권(夫權)의 이중 압력하에, 자.. 2018. 11. 15.
도광제(道光帝)는 왜 60이 되도록 후계자를 정하지 못했을까? 글: 소몽(蕭夢) 도광제는 60세가 될 때까지 비밀입저(秘密立儲)를 하지 못했고, 선택을 망설였다. 그 이류를 알아보면 실로 가슴아프다. 1. 앞의 세 명의 황자가 전후로 죽었다. 도광제는 모두 9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 황장자(皇長子) 혁위(奕緯)는 가경13년에 태어났고, 11살때 패륵(貝.. 2018. 9. 14.
채륜(蔡倫)의 일생 글: 임염청추(林炎淸秋) 중국역사상, 채륜의 이름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의 제지술은 인류문화의 전파와 세계문명이 진보에 걸출한 공헌을 한다. 채륜은 제조공들이 비조로 모시는 지신(紙神)이다. 미국의 권위있는 저적 <인류역사진보에 영향을 준 100명 랭킹>에서 채륜은 7위에 올.. 2018.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