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충현29 동림당(東林黨)은 대명왕조를 어떻게 망가뜨렸는가? 글: 요풍휘(姚豊輝) 명나라말기에는 유학자들로 구성된 동림당인들이 중용되어 나라를 다스렸다. 유학자들의 글을 보면 이들 동림당인들은 '정인군자(正人君子)'였다. 그러나, 그들의 '당수'는 명나라를 멸망하게 만든 역사상의 '망국지신(亡國之臣)'임이 확실하다. 동림당의 핵심구성원들은 강남사대부를 위주로 하는 관료집단이다. 숭정제는 즉위후 동림당인들에 의지하여 새로운 내각을 구성한다. 그들이 관직을 일단 차지하자, 말만 번지르르한 고상한 뜻을 펼치고자 했다. 고대 성인들의 이상적인 통치를 하고자 한 것이다. 관모를 쓰고 관복을 입자 이들은 득의양양하게 즉시 황제에게 상소를 올려 이것을 고쳐야 한다 저것을 바로잡아야 한다면서 변법혁신을 주장한다. 소위 "혁제조야적폐(革除朝野積弊), 반대탐종왕법(反對貪縱枉法)"(.. 2023. 3. 21. 황제는 왜 궁녀만 두지 않고, 환관을 두었을까? 글: 서기매(西奇妹) 서언 중국역사상 '환관'이라는 직업이 나타난 이후로, 황권을 그들이 행사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당나라의 고력사, 명나라의 위충현, 청나라의 이연영등등... 여기서 환관이 충신인지 간신인지를 따지지는 않기로 한다. 환관들이 할 수 있는 일들은 대체로 '.. 2020. 3. 25. 명나라 멸망의 3대원인 글: 취역사(趣歷史) 명나라의 멸망에 대하여는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워한다. 비애의 왕조이고 비애의 시대이다. 많은 사람들은 모두 명나라가 도대체 왜 멸망했는지를 연구했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시대를 넘어 명나라를 구해주고 싶어했다. 유행하는 견해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첫.. 2019. 4. 2. 전겸익(錢謙益)으로 본 동림당의 변신; 신앙집단에서 이익집단으로 글: 정만군(程萬軍) 숭정2년, 즉 1629년 숭정제 주유검은 전면적으로 동림당인을 기용하기 시작한다. 대명정계에 동림당의 잔여인원들은 다시 중용된다. 다시 나온 동림당인들은 중망(衆望)을 얻고 있었다. 그러나 이때의 동림당인은 이미 옛날의 독림당이 아니었다. 왜 그런가? 다시 조정.. 2019. 1. 14. 동림당(東林黨) 분석: 그들은 왜 실패했는가? 글: 고금지모(古今智謀) 황제가 조정대권을 과감하게 환관에게 넘겨주는데 대하여 가장 불만이 컸던 것은 문관집단이다. 문관집단의 이런 생각은 좋게 보면 그들의 모두 성현의 책을 읽은 사람들이고,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인생이상을 지니고 있으며, '군주를 요순으로 만들겠다'는 .. 2019. 1. 13. 명나라 황족들은 왜 많이 요절했을까? 작자: 미상 1627년 명나라 제15대항제 명희종 주유교가 붕어한다. 나이 겨우 22살이다. 명희종은 연호가 천계여서 천계제라고도 부른다. 천계제는 7년간 재위했고, 3남3녀를 낳는다. 그러나 아쉽게도 모두 요절한다. 한명도 자라서 성인이 되지못한다. 후계자가 없었던 천계제는 어절 수 없.. 2019. 1. 6.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