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완대성9

명나라가 멸망한 후, 문신무장들이 대부분 청나라에 투항하고, 왜 남명이나 대순으로 귀순하지 않았을까? 글: 야독사서(夜讀史書) 1644년은 중국역사상 아주 특수한 해이다. 바로 이 해에, 276년간이나 존속해오던 대명왕조가 종말을 맞는다. 이와 동시에, 중국에는 다시 3개의 주요 세력이 나타나서 중원을 축록(逐鹿)하는 상황이 된다. 이 세 세력은 각각 대청(大淸)정권, 대순(大順)정권 그리고 .. 2019. 1. 12.
완대성(阮大鋮): '통재(通才)'와 '간신(奸臣)'을 겸한 소인(小人) 글: 청림지청(靑林知靑) 추사여방초(秋思如芳草) 춘래일일생(春來日日生) 이것은 어렸을 때 외웠던 몇 개의 시중 하나이다. 당시에 비해 손색이 없다고 여겨져서 아주 좋아했었다. 그러나 이 시의 작자를 얘기하려면 약간 쑥스러워진다. 그는 완대성이라는 사람인데, 역사상 유명한 간신.. 2018. 12. 28.
남명(南明)이 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글: 한정우기(閑情偶記) <도화선(桃花扇)>에서 공삼임(孔尙任)은 마사영(馬士英)의 입을 빌어 아주 정확한 시세판단을 한 바 있다: "나라에 변고가 있어야, 우리같은 자들이 뜻을 얻을 수 있다." 나는 일찌기 여러 사적(史籍)을 살펴봤다. 역사에 대한 인식과 분석이 어떤 때는 희극가가.. 2018. 7. 14.
남명(南明) 홍광조(弘光朝) 붕괴의 수수께끼 글: 한정우기(閑情偶記) 홍광조가 신속히 멸망한 것에 대하여 역사책에서는 마사영, 완대성을 질책하는 말이 가득 쌓여 있다. 이 왕조의 멸망의 근원이 도대체 그들에게 있는 것일까? 명나라사회를 뒤덮고 있던 '해방'정서를 보자. 특히 이 사회의 중요층면의 사람들의. 그것을 보면, 아마.. 2014. 4. 4.
동림당점장록(東林黨點將錄) <동림당점장록>은 천계5년(1625년), 위충현(魏忠賢)의 일당인 좌부도어사(左副都御史) 왕소휘(王紹徽)가 <수호전>의 방식을 모방하는 방식으로, 동림당 108명을 모아서 <동림점장록>을 만든다. <동림점장록>의 판본은 아주 많고, 다음은 진상에 가장 접근하는 버전이다. 명.. 2014. 4. 4.
주대전(朱大典): 탐관오리에서 애국순국으로 글: 한정우기(閑情偶記) 주대전(1581-1646)은 자가 연지(延之), 호는 미해(未孩)이며, 금화(金華) 사람이다. 명나라 만력44년(1616년) 진사로 완대성(阮大鋮)의 동학(같은 해 진사합격한 사람)이다. 항전의 깃발을 내든 애국자 주대전의 명성은 기실 그냥 나쁜 수준이 아니었다. 그는 탐관오.. 2014.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