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염석산11

민국시대의 각지방 군벌(軍閥)은? 글: 대웅역사관(大熊歷史觀) 원세개(袁世凱)가 소참(小站)에서 병사들을 훈련시킨 후, 그의 손으로 당세 세력이 가장 큰 북양군벌(北洋軍閥)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는 다시 민국의 대총통에 오른다. 원세개는 확실히 대단한 인물이다. 특별히 당시 각 지역의 장수들이 모두 원세개에게 기.. 2019. 9. 30.
국민당 장군간의 배분(輩分)과 칭호(稱號) 글: 청풍명월소요객(淸風明月逍遙客) 어느 영화에서 두율명(杜聿明)과 부작의(傅作義)가 북경에서 만났는데, 부작의가 두율명을 '광형형(光亨兄)'이라고 부르고, 두율명은 부작의를 '의생형(宜生兄)'이라고 불렀다. 이렇게 서로를 부르는 것은 정말 황당하다; 어떤 드라마에서 장치중(張.. 2019. 1. 13.
양영태(楊永泰): 장개석의 제일모사 글: 유계흥(劉繼興) 역사상 일종의 지식엘리트들은 "문객(門客)", "군사(軍師)", "막료(幕僚)"등의 신분으로 자신의 '주인', '주공'을 위하여 계책을 내고, 근심거리와 어려움을 해결해주는데, 이들을 "모사(謀士)"라고 불렀다. 고대의 저명한 모사로는 범증, 진평, 곽가, 가후(賈詡)등이 있.. 2015. 2. 20.
민국 10대 토비(土匪) 글: 이자지(李子遲) 1. 동북왕(東北王) 장작림(張作霖): 난세효웅, 애국항일, 역비역관(亦匪亦官), 역사역정(亦邪亦正), 독패동북(獨覇東北), 고금소유(古今少有). 장작림(1875-1928), 자는 우정(雨亭), 아명은 노걸탑(老疙瘩), 다른 사람들은 그를 "장대수(張大帥)"라고 부르기를 좋아했.. 2015. 2. 10.
장개석의 '학력' 글: 유계흥(劉繼興) 요즘은 가짜가 횡행한다. 학력은 더욱 그러하다. 특히 일부 해외에서의 학력은 정보불균형으로 더더욱 진위를 구분하기 어려워 중국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든대학"과같이 세상을 속이는 사기꾼이 적지 않다. 외국유학으로 얻은 학력은 근대에 들.. 2015. 1. 14.
초선차전(草船借箭): 전쟁은 낭비감당능력을 겨루는 것이다. 작자: 미상 원거리병기가 발명된 때로부터, 그 전술응용은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하나는 점타격(點打擊)이고 다른 하나는 면타격(面打擊)이다. 고대에도 이광(李廣), 화영(花榮), "몰우전(沒羽箭)" 장청(張淸)같은 원시 저격수가 있기는 했지만, 모든 사병이 "총알 하나에 적 한명을.. 2014.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