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무제13 고대 칭호의 유래: "폐하(陛下)" 글: 매천일점고문화(每天一點古文化) 우리가 자주 보는 사극 드라마나 영화에서 신하들이 황제를 "폐하"라고 부르고, 황자나 친왕들을 "전하(殿下)"라고 부르는 것을 보게 된다. 고대인들이 칭호를 쓸 때 윗사람을 높이고 아랫사람을 낮추게 되는데, 왜 신하들은 "폐하", "전하"같은 칭호로.. 2017. 4. 10. 서소패(徐昭佩): 서낭반로(徐娘半老) 풍운유존(風韻猶存) 글: 조염(趙炎) 553년의 가을날, 후량(後梁)의 수도인 강릉(江陵, 지금의 호북성 형주)의 대로에는 도처에 쇠잔한 낙엽이 쌓여 있었다. 몇몇 내시 복장을 한 사람들이 마차를 하나 끌고 나타났다. 마차위에는 물기에 젖어 있는 여자의 시체가 누워 있었다. 그들은 시중(侍中)인 서곤(徐緄.. 2014. 1. 14. 달마(達摩)는 소림사무술의 비조인가? 작자: 미상 1980년대에 김용(金庸), 양우생(梁羽生)등을 대표로 하는 신파무협소설이 물밀듯이 중국대륙으로 밀려들어왔다. 거기에는 거의 모두 소림파(少林派)가 언급된다. 소림파는 무당파(武當派)와 함께, 승(僧), 도(道)의 무학정종이 된다. 이것은 민간에서, "천하의 무공은 모두 소림.. 2013. 8. 17. 강무(姜撫): 당나라의 사기꾼 글: 사여(沙歟) 당나라때 강무라는 사람이 있었다. 자칭 수백살을 살았다고 하고, 장생불로의 기술이 있다고 했다. 현종은 그를 상빈으로 삼았고, 왕손공자들이 많이 따랐고, 한때 명성을 날렸다. 어느 날, 어느 포의선생이 그를 만나고자 청했는데, 강무는 오만하게 예를 갖추지 않았다. .. 2013. 8. 5. 왕희지(王羲之): 역대제왕들이 가장 좋아한 서예가 글: 직장노Q 중국서예사상, 영향력으로 보면, 아무도 왕희지와 비견할 수 없다.후세인들이 '서성(書聖)'이라 부르는 이 동진(東晋)의 대서예가는 수천년동안 제왕장상과 문인묵객들이 열렬히 추구한 대상이었다. 그를 가장 사랑한 당태종은 "일자천금(一字千金)"으로 천하의 왕희지작품들.. 2012. 9. 19. 진경지(陳慶之) : 전설의 불패장군 진경지(484-539) 자(字)는 자운(子雲). 의흥국산(현재의 강소성 의흥 서남)사람. 남북조시대 양(梁)나라의 걸출한 군사가. 진경지는 어려서부터 소연(蕭衍)의 시종이었다. 당시는 바둑이 인기였는데, 소연은 밤새워 바둑을 두곤 했다. 나머지 시종들은 모두 쉬는데, 오로지 진경지만이 잠을 자지 않고, 언.. 2007. 2. 2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