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민9

아민(阿敏): 후금의 사대패륵(四大貝勒)중 한명 글: 철기여풍(鐵騎如風) 1616년, 누르하치(努爾哈齊)가 허투아라(赫圖阿拉, 지금의 요녕성 신빈)에서 후금을 건립한 후, 다이샨(代善), 망구얼타이(莽古爾泰), 홍타이시(皇太極)과 아민을 사대패륵에 봉한다. 패륵은 여진(女眞)의 제후에게 주는 봉호이고, 일종의 세습 작위이고, 지위는 친왕(親王)과 군왕(郡王)에 바로 다음 간다. 아민은 누르하치의 동생인 슈르하치(舒爾哈齊)의 아들이면서 나머지 3명의 누르하치의 아들들과 함께 4대패륵중 한명으로 봉해질 수 있었던 것을 보면 그의 지위가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나이로 보면, 그는 홍타이시의 사촌형이고, 또한 홍타이시가 칸(汗)에 오르는 것을 극력 옹호했다. 그렇다면 왜 그는 홍타이시가 칸에 오른 후, 아민은 서서히 숙청당하게 되었을까? 158.. 2023. 1. 17.
추잉(褚英): 누르하치 장남의 수수께끼 글: 지식거륜(知識巨輪) 아르하투투먼패륵(阿爾哈圖圖門貝勒)은 누르하치의 장남 추잉(褚英)이다. 추잉은 누르하치의 첫번째 대푸진(大福金, 푸진은 만주어로 부인이라는 뜻임)인 퉁자씨(佟佳氏) 소생으로, 만력8년(1580년)에 태어났다. 이때 그의 부친 누르하치의 나이는 22살이었다. 추잉은 용맹하고 지모가 뛰어나서, 전투에 능했고, 전공을 여러번 세운다. 만력26년(1598년) 정월, 누르하치는 막내동생 바야라(巴雅喇), 추잉과 가가이(噶蓋), 페이잉동(費英東)에게 1천의 병사를 이끌고, 동해여진(東海女眞) 안추라쿠루(安楚拉庫路)를 정벌하게 한다. 추잉의 공적 이때 추잉의 나이는 겨우 17살이었다. 그러나 그는 힘든 일을 두려워하지 않고, "밤을 세워 달려가서" "둔채(屯寨) 20곳"을 취했다. 그러자, 나.. 2022. 10. 5.
청나라 팔기(八旗)의 기주(旗主)는 누구였을까? 글: 청풍명월소요객(淸風明月逍遙客) 만주팔기의 기주는 모두 애신각라씨(愛新覺羅氏)가 맡았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바로 누르하치와 그의 동생인 슈르차히의 후예가 맡았다. 어떤 사람들은 팔기는 만주, 몽고, 한군(漢軍)으로 나뉘므로 합쳐서 24기가 있다고 얘기한다. 그러나 몽고팔.. 2019. 4. 22.
명망청흥의 60년간 세계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 글: 금검상월(琴劍霜月) 명나라 만력11년 즉 1583년, 내각수보 장거정이 사망한지 한 해도 지나지 않은 때였다. 이 내각수보가 과감하게 개혁을 하여, 대명왕조의 면모는 일신했고, 경제상황도 크게 개선도었다. 젊은 명신종 주익균은 더욱 큰 뜻을 품고 있었다. 이때는 그에게서 주색에 빠.. 2018. 12. 31.
팔기제도(八旗制度)에 대한 고찰 글: 아초광인(我楚狂人) 팔기제도는 누르하치가 만든 이래로 청태종(홍타이시)는 만,몽,한 3개의 팔기를 건립하고, 다시 순치, 강희, 옹정의 3황제를 거치면서 점차 완비된다. 여기에 약 100여년이 기간이 소요되었다. 그후 청나라는 시종 팔기제도를 유지하고, 그것을 근본적인 제도로 인.. 2018. 10. 12.
도르곤은 왜 황제에 오르지 못했는가? 글: 이성능(李聲能) 도르곤은 누르하치, 홍타이시이후 대청왕조의 제3대정권에서 핵심인물이고, 걸출한 정치가이며 군사가이다. 그는 16세때 군대를 이끌고, 몽골을 정복하고, 조선을 정벌했으며, 대명을 토벌했고, 전투마다 승리했다. 33세에는 군대를 이끌고 산해관을 넘었으며, 파죽지.. 2012.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