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중9

괴뢰황제 유분자(劉盆子): 신하들에게 퇴위하게 해달라고 눈물로 호소하다. 글: 풍전사감(瘋癲史鑒) 이런 말이 있다. 털뽑힌 봉황은 닭보다 못하다고. 서한 말기, 번숭(樊崇)은 산동 거현(莒縣)에서 적미군(赤眉軍)을 이끌고 거병했다. 반군은 용맹하게 싸워서 연전연승하며, 규모를 계속 확대해서 장안 부근까지 쳐들어간다. 승리를 눈앞에 두었는데, 병사들은 피.. 2018. 11. 21.
제갈량의자녀 4명은...? 글: 광두승자(光頭勝子) 제갈량은 누구나 다 아는 인물이고, 삼국시대의 걸출한 정치가, 군사가, 외교가, 문학가, 서예가, 발명가이다. 중국전통문화에서 충신과 지자의 대표인물이다. 제갈량에게 4명의 자녀가 있다. 그녀의 인생은 어떠했을까? 1. 제갈교(諸葛喬) 제갈량의 양자(養子). 제.. 2018. 8. 1.
우문사급(宇文士及): 당태종은 왜 그를 중용했는가 글: 모운서(慕雲舒) 정관연간, 한번은 당태종 이세민이 궁중을 거닐다가 나무 한 그루를 가리키며 이렇게 말한다: "이건 가목(嘉木)이구나!" 그러자, 곁에 있던 우문사급이 그 말을 듣고, 이세민의 뜻에 맞추어 그 나무를 한참 칭송한다. 그러자 이세민은 바로 정색을 하고 말한다: "위징이 .. 2018. 5. 10.
이임보(李林甫)는 간신인가? 글: 독서삼매(讀書三昧) 이임보는 간신인가? 황제시대에 황제는 개인기업의 오너와 같다. 황제 수하의 대신은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재상이라 하더라도, 역시 황제를 위하여 일하는 머슴이다. 그래서, 황제의 눈에, 신하를 간(奸)과 불간(不奸)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그저 충(忠)과 불충(不.. 2017. 1. 29.
중국전통문화의 변증법적 사고 글: 축화군(祝和軍) 민족문화의 독특성과 우월성은 드러나는 세계관과 가치관에서 체현될 뿐아니라, 숨어있는 사고방식에도 뿌리박고 있다. 인류문명의 진전에서, 중화문명이 인류고대문명중 유일하게 지금까지 연속되는 문명이 된 이유는 많은 정도에서 중국인의 문제사고의 방식과 .. 2014. 4. 29.
서소패(徐昭佩): 서낭반로(徐娘半老) 풍운유존(風韻猶存) 글: 조염(趙炎) 553년의 가을날, 후량(後梁)의 수도인 강릉(江陵, 지금의 호북성 형주)의 대로에는 도처에 쇠잔한 낙엽이 쌓여 있었다. 몇몇 내시 복장을 한 사람들이 마차를 하나 끌고 나타났다. 마차위에는 물기에 젖어 있는 여자의 시체가 누워 있었다. 그들은 시중(侍中)인 서곤(徐緄.. 2014.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