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경16

백숭희(白崇禧)의 부인 마패장(馬佩璋)의 일생 글: 문사왕왕(文史旺旺) "사생계활(死生契闊), 여자성열(與子成說), 집자지수(執子之手), 여자해로(與子偕老)" 이는 중 가장 마음에 와닿는 사랑의 시이다. '여자해로'라는 문구는 얼마나 많은 사랑하는 남녀들이 바라는 바인가? "이득무가보(易得無價寶), 난득유정랑(難得有情郞)"(무가지보를 얻기는 쉽지만, 사랑하는 남자를 얻기는 어렵다). 자신과 평생을 함께 할 수 있는 사람을 얻기는 쉽다. 그러나 서로 도우면서 인생의 고난을 함께 겪고, 인생의 길에서의 비바람을 함께 막으며 손에 손을 잡고 흰머리가 될때까지 사는 것은 쉽지 않다. 쉽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이 바라는 바가 된 것이다. 그녀의 이름은 마패장(馬佩璋)이다. 현지에서 명망있는 마씨집안의 장상명주이다. 부친 마건경(馬建卿)은 현지의 명망있는 선비였.. 2023. 3. 6.
유종원(柳宗元)의 <어옹(漁翁)>: 천년의 논쟁을 불러온 시 글: 염화몽유(拈花夢遊) 어옹(漁翁) --- 유종원(柳宗元) 어옹야방서암숙(漁翁夜傍西巖宿), 효급청상연초족(曉汲淸湘燃楚竹) 연소일출불견인(煙銷日出不見人), 애내일성산수록(欸乃一聲山水綠) 회간천제하중류(回看天際下中流), 암상무심운상축(巖上無心雲相逐) [직역] 고기잡는 늙은이가.. 2019. 3. 29.
"대명(大明)" 국호의 유래에 관한 몇 가지 견해 글: 비객방(痞客邦) 명나라의 국호에 대하여 비교적 일찍 주목한 것은 종교관련자이다. 오함(吳晗)이 1941년에 발표한 &lt;명교와 대명제국&gt;일 것이다. 오함은 '대명'의 국호는 한씨부자의 '명왕(明王)' 즉 &lt;대소명왕출세경(大小明王出世經)&gt;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 그리고 명교는 당.. 2018. 12. 26.
관음보살(觀音菩薩): 중국 여신신앙의 부활 글: 임군영(林君潁) 관세음보살은 중국인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신이고, 많은 신도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관음보살은 여성같은 외모를 지니고 있는데, 처음부터 그런 것은 아니었다. 전통적인 인상의 송자관음(送子觀音) 외에, 불교가 막 중국에 전래되었을 때의 관음의 이미지는 팔.. 2018. 12. 17.
[황자쟁위술] 광결붕당술(廣結朋黨術) – 막부지낭패(幕府智囊牌) 유오편 기원전21세기경 대우(大禹)가 자신의 아들 하계(夏啓)에게 군왕의 자리를 넘겨준 이후 중국고대 가천하(家天下)의 시대에 역대의 제왕들은 모두 대대손손 영원히 제왕의 자리에 앉아있기를 바랬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왕들이 자신의 후계자가 될 아들의 종합적인 능력을 길러주어야 했다.. 2015. 8. 4.
십이생초(十二生肖)의 원숭이와 닭: 외(外)와 내(內)의 성상(性狀) 글: 장공성조(長空星照) 원숭이(&#29492;)는 영장류의 동물이고, 원(猿)와 비슷하나 약간 작으며, 협낭(주머니)와 꼬리가 없다. 우리 인류와 친척관계가 가장 가까운 동물이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와 친근한 것처럼 원숭이와도 친근하다. 다만 "원숭이(&#29492;)"라는 글자는 진(秦)나라때 나온.. 2015.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