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황자쟁위술] 광결붕당술(廣結朋黨術) – 막부지낭패(幕府智囊牌) 유오편

by 중은우시 2015. 8. 4.

 

기원전21세기경 대우(大禹)가 자신의 아들 하계(夏啓)에게 군왕의 자리를 넘겨준 이후 중국고대 가천하(家天下)의 시대에 역대의 제왕들은 모두 대대손손 영원히 제왕의 자리에 앉아있기를 바랬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왕들이 자신의 후계자가 될 아들의 종합적인 능력을 길러주어야 했다. 제왕들이 천하에서 재능과 덕망이 가장 뛰어난 인재를 골라 태자의 스승으로 모신 이유는 바로 거기에 있다.

 

동한시대 <관직지>를 보면, 태자와 관련된 관직만도 태자태부, 태자소부, 태자솔경, 태자서자, 태사사인, 태자가령, 태자창령, 태자식관, 태자복, 태자기장, 태자문대부, 태자중서자, 태자세마, 태자중질, 태자위솔등으로 많다. 태자부는 중앙정부 이외의 유일하게 허용된 “그림자정부”였고, 만일 태자가 황제위에 오르게 되면 태자부의 인물들은 중앙정부의 중추적인 직위를 차지할 것이다. 그러므로, 태자부에서 일하는 관리들은 황태자가 황제로서의 능력을 배양하고 단련시키는데도 주력했지만, 다른 한편으로 태자가 순조롭게 황위를 승계받도록 하기 위하여, 황태자를 미화하고, 경쟁자를 배제하고, 황제의 호감을 얻도록 여러가지 계모와 책략을 내놓기도 했다.

 

한성제 유오(劉驁)가 태자로 있을 때 부친 한원제 유석(劉奭)은 자신이 가장 신임하는 신하인 사단(史丹)을 태자에게 보낸다. 원래 사단의 할아버지인 사공(史恭)의 여동생이 바로 한무제의 태자 유거(劉據)의 양제(良娣)였는데, 그녀가 낳은 아들이 유진(劉進)으로 한선제 유순(劉詢)의 부친이다. 이런 연고로 한선제는 황제에 오른 후 사씨일족을 중용하는데, 사공의 세 아들이 모두 고관대작을 지낸다. 그 중 사단의 부친 사고(史高)는 대사마, 거기장군을 지내고, 한선제의 아들 한원제가 즉위한 후에는 5년간 보정(輔政)을 지내다가 은퇴한다. 사단은 한원제가 태자로 있을 때 태자중서자(太子中庶子)로 있었고, 한원제가 즉위한 후에는 부마도위, 시중의 고관을 지낸다.

 

사단은 자신이 한원제의 태자부에 일한 연고로 한원제의 중용을 받은 경험이 있으므로, 전심전력을 다하여 태자 유오를 황제에 오르게 하여 일문의 번성을 이어가고자 했다. 그런데, 당시 태자 유오의 상황은 그리 좋지 않았다. 생모인 황후 왕정군은 한원제의 총애를 잃었던 것이다. 게다가, 한원제의 총애를 부소의가 독점하고 있었는데, 부소의가 낳은 배다른 동생 정도왕 유강(劉康)은 재능도 뛰어났다.

 

건소연간(기원전38년-34년)의 어느 날 한원제가 병으로 정무를 보지 못하고 있을 때 음율에 관심을 갖게 되어, 북을 대전 아래에 놓아두고, 구리구슬로 북을 쳐서 음률을 맞추려고 했는데, 아무도 하지 못하는 것을 정도왕 유강이 해낸다. 이를 보고, 한원제가 그의 재주가 뛰어나다고 크게 칭찬한다. 그러자 옆에 있던 사단이 한마디 한다: “재주라는 것은 학문을 좋아하고 옛것을 익혀 새것을 아는 것을 말합니다. 태자가 바로 그런 사람입니다. 악기를 잘 다루는 것을 가지고 재주가 뛰어나다고 한다는 것은 진혜, 이미와 같은 악사가 광형(匡衡)보다 재주가 뛰어나다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광형은 학문 특히 <시경>에 뛰어나 한원제가 어사대부로 중용한 인물이다. 사단은 이처럼 교묘하게 태자를 끌어올리고, 정도왕을 끌어내렸다.

 

또 한번은 건소4년(기원전35년) 한원제의 막내동생 중산애왕 유경(劉竟)이 사망하는데, 태자 유오가 문상을 하러 갔다. 유경은 유오에게 숙부가 되지만 둘의 나이가 비슷하여 같이 공부하고 놀면서 자란 사이였다. 그런데, 한원제가 막내동생의 죽음에 비통해서 어쩔 줄 모르고 있는데, 태자 유오를 보니 슬퍼하지 않고 있었다. 이를 보고 한원제는 “자애롭지 못한 자가 어찌 종묘를 받들고 백성을 다스리겠는가?”라고 탄식한다. 그러자, 옆에 있던 사단은 바로 관모를 벗으며 아뢴다: “모두 신의 잘못입니다. 제가 폐하께서 상심이 너무 크셔서 몸이 상할까 우려되어, 아침에 태자께 폐하의 앞에서는 울지마시라고 특별히 당부드렸습니다. 태자까지 울면 폐하의 상심이 더욱 깊어질까 걱정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나오니 유오를 나무랄 수가 없었다.

 

경녕원년(기원전33년) 한원제의 병은 더욱 깊어진다. 부소의와 정도왕 유강은 항상 한원제의 병석을 지켰지만, 황후 왕정군과 태자 유오는 거의 황제를 만나볼 수 없었다. 한원제는 병세가 깊어지면서 정신이 오락가락했고, 여러 번 한경제가 유철(한무제)을 태자로 삼은 일에 관하여 상서에게 물어보았다. 당시 유오의 외삼촌인 왕봉이 시중의 벼슬을 맡고 있었는데, 그 말을 왕황후, 유오에게 전해주고 같이 걱정하였지만 뾰족한 대책은 없었다. 그때 사단이 병문안을 갔다가, 한원제가 혼자 잠들어 있는 틈을 타서, 한원제의 침실로 들어가 머리를 조아리고 눈물을 흘리며 아뢴다: “황태자가 적장자로 세워진지 이미 십여년이 지나 백성들이 모두 인정하고, 천하가 태자를 따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도왕이 폐하의 총애를 받게 되자 항간에는 유언비어가 나돌면서 태자의 자리가 흔들릴까 온나라가 걱정하고 있습니다. 만일 그렇게 되면 신하들이 모두 죽기로 간언하고 명을 받들지 않을 것입니다. 신이 먼저 죽음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그러자 한원제는 이렇게 말한다: “짐의 몸은 하루하루 더 나빠지고 있는데, 태자와 두 왕은 아직 어리다. 그래서 이런저런 생각이 많은 것이다. 그래도, 태자의 자리를 바꿀 생각은 없다. 황후는 근신하고 선제가 태자를 좋아하셨는데, 내가 어찌 그 뜻을 어길 수 있겠는가!” “내 병은 점점 심해지고 다시 나을 수 없을 것같으니, 경이 태자를 잘 보살펴 달라.” 사단은 이렇게 하여 유오의 태자지위를 다시 한번 확실하게 못박았다.

한성제 유오도 사단의 공로를 잊지 않아서 황제에 오른 후 사단에게 관작과 재물을 많이 내렸을 뿐아니라, 그의 후손들에게도 후하게 대한다. 사씨집안에서 제후에 봉해진 사람이 4명, 경대부이상의 벼슬을 지낸 사람이 십수명이나 나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