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동파31

고구(高俅): 소동파의 비서에서 송휘종의 총신까지 글: 주운(周雲) 고구에 대하여 사람들은 잘 알고 있다. 이유는 유명한 <수호전>때문이다. 당연히 역사상의 고구는 <수호전>과는 많이 다르다. 다만 한 가지는 소설의 내용이 역사에 부합한다. 그것은 바로 고구가 대인물과 축구를 같이 했기 때문에 승진을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 2013. 12. 21.
소동파는 보수파인데 왜 사람들의 미움을 받지 않을까? 글: 정만군(程萬軍) 역사적으로 개혁에 반대한 사람들은 비교적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는다. 다만, 북송에서, 소동파는 예외이다. 그는 공인된 보수파이다. 단 이 보수파는 사람들의 미움을 받지 않았다. 심지어 평판이 개혁파보다도 좋다. 이것은 왜 그런가? 모두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소.. 2013. 11. 13.
중국인들은 언제부터 수박을 먹었는가? 글: 예방육(倪方六) 난징사람들의 말을 빌리자면, "요 며칠은 더워죽겠다(熱死了)". 날씨가 더우니, 수박(西瓜)이 잘 팔린다. 수박을 먹는 일은 현대인들에게 별 것이 아닌 일이 되어 버렸다. 그러나 고대에 수박을 먹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원(元)나라때만 하더라도, 수박은 귀족.. 2013. 7. 12.
송나라 사대부들의 "외호(外號)" 글: 안건회(晏建懷) <수호전>의 일백팔장은 사람들마다 외호를 가지고 있다. 표자두(豹子頭) 임충(林沖), 이 말만 들으면 그의 외모를 알 수가 있다; 벽력화(霹靂火) 진명(秦明), 이것만 들어도 그의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소이광(小李廣) 화영(花榮), 이것만 들어도 그의 재능을 알 수 .. 2013. 6. 27.
송나라때의 관직명칭 글: 이개주(李開周) 양회기간동안 정협위원은 기구명칭에 대하여 열띤 토론을 펼쳤다. 어떤 새로운 부서는 명칭이 너무 길다는 것이다. 그래서 외우기도 어렵고, 공간도 많이 차지한다는 것이다. 네티즌들은 바로 더욱 길고 더욱 외우기 어려운 기구명칭들을 발굴해냈다. 예를 들어, "광.. 2013. 5. 4.
중국문인의 "눈(雪)"에 대한 별칭 글: 신당인 눈은 대자연의 걸작이다. 중국은 시의 국가이고, 많은 시들 가운데 문인묵객들은 눈 혹은 눈꽃에 대하여 적지 않은 아름다운 이름을 붙여주었다. 육출(六出) 눈은 육각형 모습이어서 "육화(六花)", "육출"이라고 불렀다. 당나라때 원진(元稹)은 <부득춘설영조매>라는 시.. 2013.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