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하23 징기스칸 사망의 수수께끼 글: 노리람사(老李覽史) 명나라때의 일대명신 송렴(宋濂)은 <원사(元史)>에서 단지 스무 글자로 일대천교 징기스칸이 사망한 과정을 표현했다. 그러나 문자는 너무 간략하여 명확하지가 않다. 그래서 후세에는 줄곧 징기스칸이 도대체 어떻게 죽었는지를 잘 알지 못했다. 징기스칸의 .. 2015. 5. 3. 중국역사상 3번의 "삼국시대" 글: 황작비비(黃雀飛飛) 삼국을 얘기하면 사람들은 왕왕 동한 말기부터 서진까지의 사이에 있었다. 위, 촉, 오의 3국정립시대의 역사를 떠올린다. 실제로 중국역사에서 3번의 삼족정립(三足鼎立)의 역사시기가 있었다. 제1차 삼국시대: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삼국시대이다. 연대는 대체로 .. 2013. 11. 15. 송나라때의 첩보전 글: 정수량(鄭秀亮) 중국의 양송시기에 전쟁이 빈번했고, 간첩은 중시되었다. 첩보전이 빈번했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송나라의 정치, 경제 및 문화의 중심인 경성은 전국의 중요한 정부기관이 모두 집결되어 있고, 중추수뇌에 가장 근접한 곳읻. 그러므로 각지 간첩들이 모여드는 곳.. 2013. 11. 10. 당나라 최초의 태자 이건성(李建成)의 진실한 모습은 이렇다. 글: 장세과(張世科) 옛날 사서를 보면 당나라의 첫번째 태자인 이건성의 이미지가상당히 부정적이다. 그는 음험하고 간사할 뿐아니라 호색하고 공을 탐한다. 학문이나 재주도 없으며 마음은 좁은 부잣잡 망나니아들의 이미지이다. 그러나, 진실한 이건성은 어떠했을까? 많은 사료를 보면.. 2013. 4. 29. 승리자의 비밀 글: 위득승(魏得勝) 한가지 문제는 계속 나를 괴롭혔다. 그것은 바로: 역사적으로 문화수준이 낮은 새북(塞北)의 오랑캐족이 왜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송제국을 3백여년간이나 능욕할 수 있었을까? 생각해보면 이것은 조광윤 일족이 강력하게 반쿠데타정책을 집행한데 따른 반작용이.. 2013. 2. 4. 서하(西夏)개국황제는 왜 3가지 성(姓)을 가졌는가? 글: 몽광정우(夢光情雨) 11세기초인 1004년, 송,요 두 나라는 유명한 '전연지맹"을 맺는다. 당말의 '안사의 난'이후 계속하여 전란이 끊이지 않았던 중국의 북방지역에 드디어 평화의 기운이 돌게 된 것이다. 중원을 점거한 북송왕조는 태평성대를 누렸고, 모든 것은 완벽했다. 더 이상 재난.. 2012. 8. 15.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