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93 조운(趙雲)은 무장이 아니라 문신이다. 글: 이회순(易懷順) 만일 조운이 문신(文臣)이라고 한다면 논란을 한바탕 불러올 것이다. 그러나, 조운이 무장(武將)이라는 것은 확실이 의문이 든다. 조운의 오호상장(五虎上將)이라는 신분은 주로 나관중의 <삼국연의>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진수의 <삼국지>에는 그런 기.. 2012. 6. 29. 중국인들은 왜 글에 자신의 서명을 남기지 않았을까? 글: 주운(周雲) 자신이 글을 쓰면서, 다른 사람의 이름을 쓴다? 이런 일은 계속 있어왔다. 그리고 고대에는 현대보다 더욱 자주 나타났다. 아주 보편적인 현상이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장지동(張之洞)은 그래서 이런 말도 했다: "진위를 한번 나누기 시작하면, 고서의 절반은 버려야 한다.".. 2012. 5. 2. 가후(賈詡): 동한분열의 최고죄인 글: 호각조(胡覺照) <삼국지>의 저자인 진수(陳壽)는 통치계급의 입장에서 출발하여 가후(賈詡)를 조조의 막료중 가장 중요한 모사중 한 사람으로 꼽았다. 순욱(荀彧), 순유(荀攸)와 나란이 거명했다. 당연히 여기에는 자신만의 이유가 있고, 가후는 확실히 얻기 힘든 인재이다. 만.. 2012. 2. 27. 삼국시대 남자복이 가장 많았던 여인은 누구인가? 글: 백마진일(白馬晋一) 모두 알고 있다시피, 삼국시대에는 영웅들이 많이 나왔다. 영웅본"색"(英雄本色). 이것도 다툼없는 사실이다. 삼국시대 치마폭에서 헤어나지 못한 영웅이 적지 않다. 심지어 일대간웅 조조마저도 여인때문에 말에서 굴러떨어진 적이 있다. 그러나, 남자들.. 2012. 1. 6. 모택동은 왜 제갈량의 군사적 재능을 인정하지 않았을까? 글: 유계흥(劉繼興) 역사상 진실한 제갈량은 업적이 출중한 정치가이다. 촉국을 다스리는데 재능이 있었다. 그러나, 군사적으로 뛰어난 점은 많지 않다. <삼국연의>에서 그려진 것처럼 그렇게 용병여신(用兵如神)한 것과는 거리가 멀다. <삼국연의>는 민간에 영향이 아주 .. 2012. 1. 1. 삼국시대 저평가된 4명의 명장 글: 백마진일(白馬晋一) 옛말에 틀린 것이 없다. 장군이 되려는 생각이 없는 병사는 좋은 병사가 아니다. 삼국시대는 전민개병(全民皆兵)의 전쟁시대에 우수한 장수들이 속속 나타난 것은 이상할 것도 없다. 우리는 무장의 실력을 근거로 "일여이조삼전위(一呂二趙三典韋), 사관오.. 2011. 11. 11.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