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둥호13

이것이 푸젠호 항공모함의 최대 약점이다 글: 심주(沈舟) 중국이 세번째 항공모함을 진수한 것이 적지 않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전자기식 캐터펄트를 장착하여 미국 최신항공모항 제럴드포드호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푸젠호 항공모함의 전자기식 캐터펄트가 정말 쓸모있을지를 검증하려면 상당한 수량의 함재기로 이착륙시험을 해보아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중국해군항공병에게는 아주 난감한 일이다. 중국이 상당한 규모의 함재기를 보유하기 전에, 전자기식 캐터펄트를 얘기하는 건 너무 이른 듯하다. 중국의 항공모함은 함재전투기가 부족할 뿐아니라, 공중경보기, 전자전기, 대잠기와 운송기도 부족하다. 모자란 것이 캐터펄트만이 아니다. 푸젠호항공모함은 J-15B를 사출할 수 있을까? Su-33을 모방한 J-15는 중국이 가진 유일한 함재기모델이다.. 2022. 6. 28.
중국의 세번째 항공모함은 언제 진수할 수 있을까 글: 왕혁(王赫) 6월 3일, 중국의 세번째 항공모함이 진수식을 갖지 못하여, 많은 사람들의 예상을 깨버렸다. 다만, 중공 20대가 곧 개최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시진핑당국은 ‘정치적업적’이 필요하여, 도저히 극복할 수 없는 기술적인 중대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세번째 항공모함은 20대전에 진수하게 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할 수 있다. 세번째 항공모함에서 가장 주목받는 것은 전자기식 사출기(캐터펄터)이다. 첫번째 항공모함과 두번째 항공모함은 모두 스키점프방식이다. 세번째 항공모함은 이미 성숙된 기술인 증기식 사출기를 건너뛰고, 직접 전자기식 사출기를 채택했다. 그리고 전자기식 사출기를 채택한 항공모함은 현재까지 단지 미국의 가장 선진적인 포드급 항공모함뿐이다. 포드급은 비록 수년간의 개선을 거쳤지만,.. 2022. 6. 10.
중국의 랴오닝호 출동은 실패작이다. 글: 심주(沈舟) 5월 1일, 일본 자위대는 중국의 랴오닝호 항공모함이 미야코해협을 지나 태평양으로 나갔다고 발표했다; 2주후 랴오닝호는 회항을 시작한다.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에서 러시아군의 실력이 철저히 까발려진 이때, 중국은 굳이 전력이 부족한 항공모함을 다시 등장시켰고, 고의로 모의타이완공격작전을 훈련했다. 실로 실패작이 아닐 수 없다. J-15는 공중전만 가능하지 공습은 불가능하다. 세계군사력랭킹 2위인 러시아의 실전에서의 모습은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만들었다. 무기장비의 성능, 전술소양, 보급과 전체적인 작전능력에서 모두 본모습이 드러났다. 중국군대의 주요장비는 대부분 러시아에서 왔고, 외부에서는 군사력랭킹3위인 중국군대에 대하여도 재평가를 시작했다. 중국은 조용히 있지 않았고, 랴오닝호 항공모.. 2022. 5. 17.
"랴오닝호": 난감한 항공모함... 글: 심주(沈舟) 2021년말, 중국의 랴오닝호 항공모함이 잠시 출항했다가 되돌아온 후, 중국의 당매체인 CCTV와 신화사는 스스로 랴오닝호가 일본의 이즈모호 헬기호위함에 추적당했다는 영상과 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J-15 함재기의 곤경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이즈모호는 랴오닝호에 얼마나 가까이 접근했는가? 랴오닝호는 12월 9일 출항하여 12월 30일 칭다오로 돌아왔다. 그동안 중국은 시종 아무런 소식도 내보내지 않았다. 랴오닝호가 되돌아온 후 중국의 당매체는 비로소 보도하기 시작한다. 신화사가 보도한 사진에서 이즈모호가 랴오닝호 항공모함에 아주 가깝게 접근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게다가 중국의 054A형 호위함보다 앞서 가고 있다. 자세히 살펴보지 않으면 중국항공모함 전단의 일원이라고 여길 것이다.. 2022. 1. 4.
중국이 모방한 소련의 항공모함은 어떤 수준일까? 글: 심주(沈舟) 최근, 중국은 항공모함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중국이 현재 보유한 2척의 항공모함중 한척은 전소련에서 미완공되었던 바리야그호 항공모함을 개조하여 만든 랴오닝호이고, 다른 한척은 산둥호로 랴오닝호를 모방하여 만들었다. 중국은 바리야그호의 선체를 구매했을 뿐아니라, 나중에 러시아에서 전체 도면까지 매입했다. 그렇다면, 중국이 모방한 전소련의 항공모함은 도대체 어느 정도 수준일까? 항공모함은 전소련에서 오랫동안 중시되지 못했다. 1910년대, 영국, 프랑스, 일본등 각국은 수상비행기항공모함을 보유하기 시작했다. 그후 영국은 1918년부터 최초의 현대적 의미의 항공모함을 건조하기 시작한다. 일본의 항공모함은 영국기술을 받아 먼저 1922년에 진수된다. 그후 미국도 항공모함을 건조하기 시작한다. .. 2020. 9. 25.
일본 방위백서로 본 중국항공모함의 전투력 글: 심주(沈舟) 일본 방위청이 최근 발표한 2020방위백서에서는 주변국가의 전력을 평가해 놓았다. 당연히 중국대륙과 대만의 전력이 포함되어 있다. 그들이 평가한 무기수량과 복무인원은 상당히 정확하다. 한 대만전문가가 확인해준 바에 따르면, 대만의 군사력부분의 숫자는 조그만치의 오차도 없었다고 한다. 일본의 방위백서에 중국의 J-15(殲-15) 전투기는 모두 20대이다. 일반적으로 추측하고 있던 30-40대보다 훨씬 적다. 이 숫자는 중국항공모함의 실제 전투력을 폭로한 셈이다. 모두 합쳐서 20대라면 랴오닝호(遼寧號) 하나도 만재(滿載)할 수 없는 것이다. 중국이 공표한 수치에 따르면, 랴오닝호는 24대의 J-15 함재기를 탑재할 수 있다. 산둥호(山東號)는 36대의 J-15를 탑재할 수 있다. 현재의 .. 2020.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