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42

한국전쟁때 중국은 돈을 얼마나 썼는가? 작자: 미상 1950년 10월 상순과 중순, 북한은 위기일발에 처한다. 10여일동안 중공중앙은 다시 회의를 개최하여 반복하여 토론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러가지 곤란한 점을 들어 출병하지 말 것을 주장한다. 소련은 공군을 출동하는 문제에서 계속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나타낸다(처음에는 3.. 2014. 7. 17.
주세종(周世宗)은 외계인에게 죽임을 당했는가? 글: 단전룡(段錢龍) 양한(兩漢, 동한과 서한)이래, 유가문화가 점점 정통의 지위를 차지한다. 비록 고대서적에 귀괴신마(鬼怪神魔)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기는 해도, 정통문인의 글에서는 공자의 말씀에 나오는대로 "귀신은 공경하되 멀리한다"는 태도를 지켜왔다. 그래서 대부분은 이를 .. 2014. 1. 14.
여단(呂端): 모택동이 제갈량과 나란히 언급한 송나라 재상 글: 안건회(晏建懷) 여단은 진사출신(進士出身, 즉, 과거급제자)이 아니다. 그러나 그는 송태종, 송진종 시기의 재상이 되었다. 송나라는 문인의 천하이다. "만반개하품(萬般皆下品), 유유독서고(唯有讀書高)"의 시대에 '자격증'도 없는 늙은이가 관직에 온건하게 앉아있는 것만도 쉬운 일.. 2013. 11. 9.
북한은 중국의 '완충지대'로서 전략적 가치가 있는가? 글: 연소문(燕昭文) 최근의 한 세미나에서, 참가한 전문가들이 오늘날 북한은 중국과 세계대국 미국간의 완충지대로서의 전략적 가치가 있는지에 대하여 치열하게 논쟁을 벌인 바 있다. 견해를 나누어 보면 주로 3가지이다: 첫번째 관점: 가치가 없다는 설 현재가 무슨 시대냐는 것이다. .. 2013. 8. 8.
조광윤: 전설상의 미복사방(微服私訪) 글: 허석림(許石林) 송나라의 재상 조보는 사는 것이 아주 곤혹스러웠다. 다른 관리들은 퇴조한 후, 편안한 사복으로 갈아입고, 혹은 연회를 베풀거나, 혹은 금을 연주하거나 독서를 하거나, 가족들과 즐겁게 놀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그럴 수가 없었다. 그가 그럴 수 없을 뿐아니라 만.. 2013. 4. 28.
중국-북한관계의 역사진상 글: 심지화(沈志華), 후사명(侯思銘) 현재의 복잡다단한 현실국제정치에서, 북한의 행위과 변국은 중국이 맞이한 가장 중요한 주변문제의 하나이다. 중국이 현실문제를 잘 처리하려면, 먼저, 역사를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 러시아, 동유럽, 미국의 기밀해제된 자료를 종합하여 1946-1969년까.. 2013.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