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송40

북경 향산(香山) 영안릉(永安陵)의 수수께끼 글: 왕밀림(王密林) 전문사택아중승(傳聞舍宅阿中丞) 승사잔료설폐흥(勝事殘遼說廢興) 유갈난심응조석(遺碣難尋鷹爪石) 한무장몰영안릉(寒蕪長沒永安陵) 부증상(傅增湘)의 에서 언급된 영안릉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북경의 서산 지역에 두 개의 황제릉이 있었다. 하나는 명대종(明代宗) 주기옥(朱祁鈺)의 경태릉(景泰陵)이고, 다른 하나는 요선종(遼宣宗) 야율순(耶律淳)의 영안릉이다. 그런데, 경태릉은 아직도 남아 있지만, 영안릉은 흔적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이 두 명의 서산에 뼈를 묻은 황제는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모두 국가의 위기때 옹립된 황제라는 것이다. 그러나 후세 사가들에 의하여 '사직을 지킨 공로가 있다'고 인정받는 주기옥과는 달리, 야율순은 '명부정(名不正), 언불순(言不順), 사불성자(事不成者)".. 2020. 7. 8.
"연운십육주(燕雲十六州)"의 지리적위치는 얼마나 중요한가? 글: 지역사(知歷史) '연운십육주'를 얘기하자면, 그것이 거란의 야율덕광(耶律德光)에게 할양되고난 후, 이후의 4백년간 중원한족왕조의 운명을 직접적으로 바꾸었다고 할 수 있다. '연운십육주'는 말그대로 16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 유주(幽州), 계주(薊州), 영주(瀛州), 탁주(涿州), 막주(莫州), 단주(檀州), 순주(順州), 신주(新州), 규주(嬀州), 유주(儒州), 무주(武州), 운주(雲州), 응주(應州), 환주(寰州), 삭주(朔州), 울주(蔚州)이다. 비록 겨우 16개의 주이긴 하지만, 는 이 땅에 대하여 아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유, 연의 여러 주는 기후와 지형으로 한족과 외족을 나누고 있어, 장정 1명이 관문을 막으면 만명의 적도 막아낼 수있다"(幽燕諸州, 蓋天造地設以藩漢之限, 誠一.. 2020. 5. 18.
중국역사상 2개의 '장초(張楚)' 정권 글: 지봉간적역사(指縫間的歷史) 중국역사상 전후로 2개의 "장초(張楚)"정권이 탄생한다. 각각 대택향의거후 진승이 건립한 정권과 북송이 멸망한 후 여진족이 만들어준 장방창(張邦昌)의 괴뢰정권이다. 역사학자들은 양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진승의 정권은 "장초"라고 부르.. 2019. 6. 3.
사타집단(沙陀集團): 당나라말기이후 국면을 주도한 집단 글: 흥체경(興替鏡) 중국 고대역사상 거의 모든 중원왕조는 북방으로부터의 압력에 시달렸다. 수,당시기 돌궐정권이 북방에 웅거하고 있었고, 중원왕조의 안전을 위협했다. 사타인(沙陀人)은 돌궐부락의 일부이고, 돌궐군대전투의 스타일을 그대로 계승했다. 돌궐군대는 경기병(輕騎兵).. 2019. 1. 2.
남송 건염3년의 양주겁난(揚州劫難)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정강2년(1127년) 일월초, 혼용무능한 북송의 군신들이 제대로 대응을 봇하고, 게다가 강호술사 곽경(郭京)을 잘못 기용하여 나라를 망치는 바람이 북송의 도성 변경은 금나라군대에 함락당한다. 금나라병사들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대도시를 한바탕 약탈한.. 2018. 12. 7.
<이십사사(二十四史>에 왜 <서하사(西夏史)>는 없을까? 글: 서소봉(舒小峰) 서하왕릉을 갔을 때는 이미 초가을의 황혼녘이었다. 여행객들은 점점 떠나고, 능원은 조용했다. 서하왕릉은 필자가 영하(寧夏)여행의 주요목적지중 하나였다. 서하의 개국황제 이원호(李元昊)의 묘 앞에서, 천년전의 그 신비왕조가 이때 나와 지척거리에 있어서 손만 .. 2018.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