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범중엄16

유병충(劉秉忠): 한인으로 쿠빌라이를 도와 남송을 멸망시킨 인물 글: 남몽도주(藍夢島主) 처음으로 "유병충"이라는 이름을 보게 된 것은 <명사>를 읽을 때였다. <명사.요광효전>에는 이런 기록이 있다. 원공(袁珙)이 처음 도연화상(道衍和尙)을 만났을 대 이런 유명한 말을 남긴다: "정말 기이한 스님(異僧)이로다. 눈은 삼각형이고, 모습은 병든 .. 2019. 4. 7.
남송 중후기의 3대권신 글: 송지견(宋志堅) 한탁주(韓侂胄), 사미원(史彌遠), 가사도(賈似道)는 남송 중후기의 3대권신(權臣)이다. 그들 간에는 여러가지 다른 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탁주는 주전항금(主戰抗金)파이다. 악비의 억울한 사건을 바로잡고, 진회에게서 왕작을 빼앗고 시호를 고쳐버린 것도 그이다; .. 2019. 1. 22.
고대의 시호(諡號)제도와 규칙 글: 배주품역사(杯酒品歷史) 중국에 이런 말이 있다: 개관정론(蓋棺定論)! 관두껑을 닫고나서 결론을 내린다. 그 의미는 한 사람이 살아있을 때에 대한 시비공과는 그가 사망한 후에야 비로소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래서 황제와 문무대신이 죽은 후에 조정은 그들에게 시호를 내린다. 1개의 글자로서 그의 일생을 개괄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호가 그냥 간단한 글자 1자는 아니다. 그 안에는 여러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 통상 황제의 시호와 묘호는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청나라의 강희(康熙)황제는 우리가 그를 성조인황제(聖祖仁皇帝)라고 부른다. '성조'는 묘호(廟號)이고, '인(仁)'은 시호(諡號)이다. 황제에게 묘호를 올릴 때는 불문율이 있다. 조(祖)는 공(功)이 있어야 하고, 종(宗)은 덕(德).. 2019. 1. 8.
명청시기 과거를 포기한 선비들은 무엇을 하였는가? 글: 만유어역사여현대지간(漫遊於歷史與現代之間) 명청시대 많은 선비들이 과거 이외의 선택을 했다. 어쨌든 단계를 다 통과하여 제국의 통치계급에 들어갈 수 있는 사람은 소수의 엘리트들 뿐이었으니까. 많은 낙방한 서생들은 어떤 사람은 여전히 머리를 처박고 계속 공부했고, 어떤 .. 2019. 1. 2.
3가지 붕당론(朋黨論) 글: 송지견(宋志堅) 사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결성된 집단을 "붕당(朋黨)"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좋은 의미로 쓰이지 않았다. 그래서 이것을 가지고 상대를 공격하는 포탄으로 상대를 처벌하는 도구로 삼았다. 다만, 사람들은 그것을 각자 해석했고, 여러가지 서로 다른 '붕당론'이 나오게 .. 2018. 10. 26.
장거정(張居正)의 사인(死因)은? 글: 정만군(程萬軍) 1582년 7월 9일, 대명의 수보(首輔)이자 일대정치강자인 장거정이 돌연 세상을 떠난다. 나이 겨우 58세이다. 58은 고대인들의 수명으로 보더라도 그렇게 많은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장거정은 왜 돌연 사망하게 되었을까? 장거정의 죽음에 관하여, 정사의 기재는 아주 간.. 2018.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