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려13 리카싱부터 폭스콘까지: 왜 중국을 떠나는가? 글: 김언(金言) 2015년 요망중국의 "리카싱을 떠나게 하지 말라"는 글이 일찌기 대륙매체에 큰 파란을 불러왔다. 2016년에는 대륙의 1인미디어에서는 다시 "폭스콘(富士康)을 떠나게 하지 말라"는 글이 다시 한번 일석격기천층랑(一石激起千層浪)의 결과를 가져왔다. 미중무역전이 개시되자,.. 2019. 5. 21. 서시(西施)는 어떻게 죽었을까? 글: 역사변연(歷史邊緣) 서시(西施)는 중국역사상 가장 예쁜 여인중 하나이다. 역시 민간에 가장 널리 알려진 여인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녀는 춘추전국시기 월(越)나라 절강(浙江) 제기(諸暨) 저라촌(苧蘿村)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서시가 아니다. 다만, 그녀는 뛰어난 미모를 갖고 있고, .. 2018. 7. 19. 후군집(侯君集): 당태종 이세민은 왜 최대공신을 죽였을까? 글: 육기(陸棄), 손옥량(孫玉良) 당태종 이세민은 중국역사상 가장 인자한 군주중 하나이다. 그와 어깨를 나란히 할만한 군주로는 광무제 유수, 송태조 조광윤 정도가 있을 뿐이다. 그들에게는 공통된 특징이 있다. 바로 공신을 죽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토사구팽(兎死狗烹), 조진궁장(鳥.. 2018. 6. 21. 중국 역사상 신비하게 실종된 6명의 명인 글: 간감(看鑒) 역사는 인류의 발전을 기록하고 해석하는 학문이고, 아주 재미있는 것이다. 비록 역사의 문제는 과거를 발견하여 이를 통해 현재를 비춰보는 것이지만, 역사의 두터움과 무게는 한두마디로 분명히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일부 사람들은 역사의 진상을 파.. 2017. 8. 3. 전국옥새(傳國玉璽)의 5가지 버전 글: 장유정(張柔情) <중외중대역사지미도고(제2집)>은 작자가 친히 역사유적지를 조사하고, 역사수수께끼를 고찰하며, 역사상의 현안들을 해석한 것을 기록했다. 예를 들어, 구천, 범려가 구금된 뇌옥이 엄성(淹城)에 있다든지, 촉신독도(蜀身毒道)의 조사기록, 진시황 전국옥새의 수.. 2014. 8. 26. 조공명(趙公明): 중국의 재신(財神) 글: 유계흥(劉繼興) <모택동선집. 중국사회각계급의 분석>이라는 글에 이런 말이 나온다: "이런 사람들의 발재관(發財觀)은 아주 중하다. 조공원수(趙公元帥)를 가장 부지런히 모신다." 주석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조공원수는 중국민간전설의 재신으로 조공명이라 한다." <노신전.. 2014. 1. 2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