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당파9

역사상 진실한 방세옥(方世玉): 비구니와 싸우다 패배하여 죽다 글: 당병나사년(當兵那些年) 방세옥이라는 이름을 얘기하면, 모든 80년대, 90년대생들은 이연걸이 연기한 할머니를 구해주고, 홍화회를 혼자서 뛰어든 방세옥이나, 장위건이 주연한 장난기 많고 하루종일 사고를 치고 다니는 방세옥을 떠올릴 것이다. 모두 사람들의 마음 속에 깊이 박혀.. 2019. 3. 30.
중국무술의 역사 글: 일안유년(一眼流年) 소림파(少林派): 강유겸제(剛柔兼濟), 이강위주(以剛爲主) 소림파는 중원무술중 범위가 가장 넓고, 역사가 가장 길고, 권종(拳種)이 가장 다양한 무술문파이다. 중악 숭산(嵩山)의 소림사에서 나왔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붙었다. 북송 <경덕전등록>등 책의 기록.. 2019. 1. 2.
달마(達摩)는 소림사무술의 비조인가? 작자: 미상 1980년대에 김용(金庸), 양우생(梁羽生)등을 대표로 하는 신파무협소설이 물밀듯이 중국대륙으로 밀려들어왔다. 거기에는 거의 모두 소림파(少林派)가 언급된다. 소림파는 무당파(武當派)와 함께, 승(僧), 도(道)의 무학정종이 된다. 이것은 민간에서, "천하의 무공은 모두 소림.. 2013. 8. 17.
상업시대의 무림문파: 무당 출처: 간천하 무협소설에서 소림과 함께 강호를 질타하는 무당은 현실에서는 거의 낙후된 생산력의 대표가 되어 버렸다. "최근 들어 무당의 발전은 약간 늦었고, 약간 느렸다. 첫째는 체제문제이고, 둘째는 도교의 사상이 원래 세상에 들어가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공명이록을 추구하는 .. 2012. 4. 20.
중국무술권법유파 (III) - 내가권(內家拳) 4. 내가권 내가권은 주로 공격을 막아내는 것을 위주로 하는 권법종류이다. 소위 내가는 상대적으로 사람을 치는 것을 위주로 하는 외가(外家)권법에 대비하여 부르는 말이다. 내가권은 무당파로 통칭되기도 한다. 이를 수련하는 자들은 송나라때 무당도사 장삼풍을 시조로 삼는다. 청나.. 2008. 8. 5.
중국무술권법유파 (II) - 무당파(武當派), 아미파(峨嵋派) 2. 무당파 통상적으로 내가권(內家拳)을 무당권이라고 부른다. 원래 호북의 오불산에서 기원한다. 전설에 따르면, 장삼풍(張三豊)이 "밤에 꿈을 꾸다가 현제(玄帝)로부터 권법을 전수받았다"고 한다. 다음 날 그는 몸에 절기를 지녀 적 100명을 죽였고, 이때부터 그의 뛰어난 절기가 세상에 .. 2008.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