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신종13

장거정(張居正): "개혁" 원저: 정념기(程念祺) (2019년 12월) 경제관찰보 발췌요약본 명효종(明孝宗) 통치시기에 대학사 이동양(李東陽)은 상소문에 이렇게 쓴 바 있다: 민간의 상황을 군현이 모르고 있고, 군현의 상황을 조정이 모르고 있고, 조정의 상황을 황제가 모르고 있다. 명나라의 '절대황권'하에서 전체 관료계통에서 정보획득방식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 분명하다. 이런 상태에서, 여려 제도상의 폐혜를 개혁하려는 것은 여러가지 정보부족으로 인한 곤란을 겪기 마련이다. 그중 가장 중요한 문제는 황제 본인이 정보에서 차단되어 있어 개혁의 발동자가 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래서, 명인종(明仁宗), 명선종(明宣宗)이래 명나라의 '조종법제'가 이미 여러 헛점이 발견되었음에도, 그 적폐가 계속 누적되어가는 것을 보고만 있어야 했다. 다만.. 2020. 8. 21.
소무정권(紹武政權): 남명(南明)의 가장 단명했던 정권 글: 아초광인(我楚狂人) 남명의 가장 단명한 정권은 광주(廣州)의 소무정권이다. 후세의 평가가 가장 낮은 것도 역시 소무정권이다. 순치3년(1646) 십일월 초이틀, 남명의 대학사 소관생(蘇觀生)과 융무제(隆武帝)의 보신(輔臣) 하오추(何吾騶)등은 융무제의 동생인 당왕(唐王) 주율오(朱聿.. 2019. 2. 14.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 글: 역사백가회(歷史百家匯) &lt;곤여만국지도&gt;는 예수회 선교사인 마테오 리치가 명신종 만력30년(1602년) 그린 세계지도이다. 중국에서 최초로 아메리카주가 표시된 지도이다. 명신종 만력12년(1584년), 마테오 이치는 광주에 도착하고, &lt;만국도지(萬國圖誌)&gt;를 그린다. 만력29년(1601년.. 2019. 1. 15.
명왕조 4대총비(1): 손귀비(孫貴妃) 글: 접련화(蝶戀花) 명나라때 가장 유명한 총비(寵妃)는 4명이 있다. 시간순서대로 말하자면 명선종(明宣宗)의 손귀비, 명헌종(明憲宗)의 만귀비(萬貴妃), 명신종(明神宗)의 정귀비(鄭貴妃)와 명사종(明思宗)의 전수영(田秀英)이다. 비록 그녀들은 사관의 글에서는 총비이지만, 실제로는 크.. 2018. 9. 28.
장거정의 공과는 분명히 해야 한다 글: 조종국(曹宗國) 장거정에 대한 평가는 필자의 생각으로 청나라때의 기윤(紀昀, 기효람)이 &lt;사고전서.제요&gt;에 말한 것이 가장 공정한 것같다. 거기에 장거정은 "진작유위(振作有爲)의 공과 위복자천(威福自擅)의 죄는 모두 서로를 덮을 수가 없다." 어떤 사론과 문학작품에서는 그.. 2018. 7. 27.
이성량(李成梁): 누르하치를 생포한 적이 있는 대명의 명장 글: 육기(陸棄), 손옥량(孫玉良) 대명왕조의 명신종(明神宗) 만력제(萬歷帝) 주익균(朱翊鈞)은 세상 사람들의 눈에는 "깡패황제"이고, 역사학자들도, "명나라가 망한 것은 명목상으로는 숭정제때 망했지만, 실제로는 만력제때 망했다"는 말이 있다. 그러나, 역사상 주익균은 그다지 무능하.. 2018.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