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교12

서계(徐階) vs 엄숭(嚴嵩): 관료투쟁에서 어떻게 승리하는가? 글: 자귤(紫橘) 드라마에서 엄숭(嚴嵩)이 수보(首輔)로 있던 시기는 청류(淸流)가 엄숭(嚴嵩)과 투쟁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드라마에서, 청류파(淸流派)는 서계(徐階), 고공(高拱), 장거정(張居正)을 핵심으로 한다. 그중 고공이 가장 과격했으며, 영원히 엄숭일당과 정면으로 부딛쳤다. 그리고 청류파중에서 관직이 가장 높았던 사람은 차보(次輔)인 서계인데, '과격파' 고공과 비교해보면 서계는 항상 엄숭의 주변에 있었다. 서계는 몸은 내각(엄숭의 영역)에 있으면서, 마음은 청류에 있던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엄숭을 타도하는 것이 성공한 후, 서계가 수보를 맡고나서도 그는 엄숭에 대하여 완전히 청산하는 입장을 취하지 않고, 오히려 여전히 엄숭을 예로 대했다. 이는 서계의 원활한 성격을 보여준다. 그렇.. 2023. 1. 26.
마니교(摩尼敎): 중국에서 천년간 이어진 종교 글: 강산사(江山社) 김용의 무협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분명히 그의 경전적인 작품인 <의천도룡기>를 읽어보았을 것이다. 이 책은 주로 원나라의 멸망에서 명나라의 건립에 이르는 기간동안의 강호의 은원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작품의 배경이 원나라말기이므로 소설에서는 .. 2019. 1. 9.
귀곡자(鬼谷子)의 수수께끼 글: 고건중국(古建中國) "귀곡자"는 신비하고 변환막측하다. 명청의 소설에서 귀곡자는 신선같은 인물로 묘사된다. 실제로 역사상 귀곡자는 맹자(孟子), 순자(荀子)와 마찬가지로 한 명의 학자이다. 그는 무리를 모아서 학문을 가르쳤고, 책을 써서 자신의 주장을 남겼다. 그리고 <귀곡.. 2018. 7. 30.
노자(老子)는 언제부터 태상노군(太上老君)으로 칭해졌는가? 글: 자주군(煮酒君) <사기>의 기록을 보면 알 수 있다. 노자의 이미지는 한나라때까지는 아직 신격화되지 않았다. 사마천은 단지 그를 장수한 노인으로 기록하고 있을 뿐이다. 사마천이전의 적지 않은 전적에서도 노자에 관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모두 노자가 신선이 되었다는 내용.. 2018. 6. 29.
고대중국 여인의 전족(纏足)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글: 뇌동(磊東) 현대인류학 지식은 우리에게 알려준다. 인류의 자연법칙중에서 남녀양성은 인류사회에서의 작용이 서로 같다는 것을. 다만, 중국에서 수천년동안의 전통관념에서 여햐한 양자의 경쟁은 어느 일방이 자신을 끌어올리는데, 자신의 종합적인 실력으로 스스로를 끌어올리는 .. 2017. 10. 31.
당태종의 수면제 글: 고학(孤鶴) 당나라역사를 조금만 아는 사람이라면,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 당고조 이연이 아직 살아있을 때, 진왕 이세민은 황궁의 북문 '현무문' 앞에서 태자 이건성과 제왕 이원길을 죽였다. 이세민이 오랫동안 음모를 꾸몄던 아니든 결과는 모두 두 경쟁적수를 죽인 것이다. 그후.. 2014. 10. 2.
명십삼릉중 왜 12개는 무자비(無字碑)가 세워졌을까? 작자: veryhope 명십삼릉에는 괴이한 현상이 있다. 이는 사릉(思陵)을 제외하고 명십삼릉의 나머지 12개릉은 비록 모두 명나라때 건조되었지만, 모든 릉에는 당시에 문자를 새기지 않은 석비가 세워져 있다. 사람들은 이를 "무자비"라고 부른다. 이들 석비는 왜 당시에 문자를 새기지 않았을.. 2013. 4. 13.
황제와 연단(煉丹) 글: 상한(桑寒) 이것은 무슨 논픽션소설이 아니다. 중국고대의 일부 제왕들도 수도(修道)를 했다. 자신이 지고무상이라고 생각하였으나, 귀문관으로 가고 싶어하지는 않았다. 수도를 하여 신선이 되는 술법을 선택하였고, 장생불사의 약을 힘들게 찾아다녔다. 무슨 원영(元嬰), 도겁(.. 2013. 4. 13.
사의선생(蓑衣先生): 태감(太監)의 조사(祖師) 글: 화려(華麗) 전하는 바에 따르면 삼백육십업종에 업종마다 자신의 조사(祖師)가 있다고 한다. 목수들은 노반(魯班)을 조사로 모시고, 창극을 하는 사람은 당명황(唐明皇, 당현종)을 조사로 모시며, 거지들은 주원장(朱元璋, 명태조)을 조사로 모신다. 그 목적은 자신의 업종의 '명예감'.. 2013. 2. 4.
원명시기의 하반신문학 글: 조염 (趙炎) 송나라이전까지, 일반백성들은 성을 얘기하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지 않았다. 예를 들어, 이백의 시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대모연중회리취, 부용장저내군하(玳瑁筵中懷裏醉, 芙蓉帳底奈君何)"는 남녀간의 사랑을 그리고 있고, "추초추접비(秋草秋蝶飛), 상사수낙휘(相思.. 2012. 1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