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두10

중국의 식량위기: 내우(內憂)가 외환(外患)보다 크다 글: 진사민(陳思敏) 보도에 따르면, 시진핑은 12월 28일과 29일 중앙농촌공작회의에서 다시 한번 식량안전을 강조했다. "식량안전의 주도권을 확실히 장악해야 하며, 식량생산도 매년 확실히 해야 한다." 시진핑은 식량안전의 주도권을 확실히 장악해야 한다고 말했는데, 이는 중국의 식량이 보장되어야 하고, 다른 나라에게 제약을 당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중국의 식량자급율은 2013년의 96%에서, 2019년에는 86%로 하락했다. 식량안정자급의 안전선인 90%가 무너져 버린 것이다. 최근 공식통계자료에 따르면, 금년 1월-11월, 중국의 대두수입은 9,280만톤으로 17.5%가 급증했고, 월별 대두수입량은 이미 연속 6개월간 역사최고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이런 증가속도를 보면 2020년의 대두.. 2021. 1. 1.
중국에 "제2차 대기근"이 발생할 것이다. 글: 김언(金言) 우한폐렴이 전세계로 신속히 만연되면서, 민중들은 공황에 빠져 식품을 사재기하고 있다. 여러 나라에서 식량공급문제가 나타난다. 세계식량기구는 정식으로 식량경보를 발표했다: 일부 식량수출국은 쌀수출을 중단했고; 이미 16년간 결손을 나타낸 중국식량제1주 진젠미.. 2020. 4. 3.
중국은 무역합의를 조급하게 달성하고자 할까? 글: 담소비(譚笑飛) 12월 2일, 미국의 상무부장 로스는 트럼프가 이미 명확하게 말했다. 만일 12월 15일전까지 미중무역협의에 진전이 없으면 관세를 예정대로 추가하겠다고. 12월 6일, 중국은 공식적으로 일부 미국에서 수입하는 대두와 돼지고기에 대한 보복성관세를 면제한다고 발표했다.. 2019. 12. 12.
북경은 무엇으로 무역전의 휴전(休戰)을 얻어냈을까? 굴: 장천량(章天亮) 중국은 중요한 마지노선을 포기하면서 무역전을 막았다. 체면은 살렸지만, 실속은 잃었다. 트럼프는 중국정부에 얼마의 기간을 주었을까? 최종적으로 무역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은 여전히 적다. G20정상회담이 이미 끝났고, 트럼프와 시진핑의 회담후 쌍방은 무역전을 .. 2019. 7. 1.
중국 "대두왕(大豆王)"의 파산 글: 이운(李韻) 미중무역전의 영향으로 중국민영기업가이며 '대두왕'으로 불리던 샤오중이(邵仲毅)가 이미 현지법원에 파산을 신청했다고 한다. 이 회사는 한때 6000명의 직원을 보유했는데, 현재는 종적을 찾아볼 수 없다. 아이러니한 것은 대두는 원래 중국이 트럼프의 표밭에 타격을 가.. 2018. 7. 31.
중국은 고립되는가? 글: 양흔(梁欣), 주혜심(周慧心) "중국은 지금 난리났다. 모든 위챗, 인터넷에서 이 소식을 전하고 있다." 중국의 독립경제학자인 공성리(鞏勝利)는 이렇게 말한다: "현재 인터넷에서 하는 말은 하나이다. 중국은 현재 고립되었다." 북경시간 7월 26일 아침, 백악관은 미국과 EU간에 자유무역.. 2018. 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