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목종10

양현비(楊賢妃): 수수께끼같은 비빈, 왜 당무종(唐武宗)에게 사사되었을까?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양현비는 수수께끼와 같은 비빈이다. <구당서>와 <신당서>의 후비전기에는 양현비에 관한 전기가 없다. 양현비의 이야기는 단지 당문종과 당무종의 본기(本紀)와 <자치통감>에 나올 뿐이다. 당무종은 이런 말을 했다. 재상 양사복(楊嗣復)은 일찌기 양.. 2020. 3. 13.
당선종(唐宣宗) 이침(李忱): 황위계승전때 가장 잘 참은 황제 글: 합합아웅(哈哈阿熊) 역사에 관해 아주 재미있는 연구가 있다. 고대에 가장 위험한 직업은 무엇이냐는 것이다. 그러나 생각지도 못하게 황제가 1위에 올랐다. 자세히 생각해보면, 이해가 된다. 중국역사 5쳔년간 매 왕조의 황제는 모두 힘들었다. 개국 혹은 멸망시기의 황제는 가장 힘.. 2018. 8. 5.
원화중흥(元和中興): 당제국의 유명무실한 중흥 글: 자주군(煮酒君) 안사의 나(安史之亂)은 중국에 큰 영향을 미친다. 중국 당왕조가 그 영향을 받았을 뿐아니라, 이후의 중국이 그 영향을 받는다. 안사의 난 이후 중국은 소수민족의 침입에 대하여 진공에서 방어로 국면을 바꾸게 된다. 안사의 난 이후, 중국은 더 이상 외적을 문밖에서 .. 2016. 4. 22.
[황자쟁위술] 양차동풍술(亮借東風術) 태제입승패(太弟入承牌) 이염편 당목종(唐穆宗) 이항(李恒)의 아들중에서 3명이나 황제에 오른다. 그가 820년에 즉위한 후 5년간 재위하다가 824년 죽은 후, 먼저 장남 당경종(唐敬宗) 이담(李湛)이 황제에 오르나, 2년만인 826년 십이월 초팔일 환관 유극명(劉克明)등에 의해 살해당한다. 유극명등은 유지를 위조하여, 당헌.. 2015. 10. 11.
당나라때의 송씨삼자매(宋氏三姉妹) 글: 진사황(秦四晃) 역사는 숙명인지 교합(巧合)인지, 항상 비슷한 경우가 많다. 중화민국의 송씨삼자매 송애령, 송경령, 송미령은 한때 이름을 떨치고 그 명성이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대당왕조시기에도 송씨집안에서는 일찌기 3명의 비범한 자매가 나타난 바 있다. 양자의 유일한 구분.. 2014. 4. 4.
당나라 7명의 황제가 황후를 두지 않은 이유는? 글: 노군후(老君猴) 취처납첩(娶妻納妾)은 황제의 궁정생활에서 정상적인 현상이다. 황후는 황제의 정처(正妻)로서 후궁의 여러 비빈들의 주인이고, 황제에 가장 가까운 사람이다. 그 영향력으로 보면 절반의 황제라고 말할 수 있다. 황제에게 몇 명의 부인. 비빈, 세부(世婦), 어녀(御.. 2014.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