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17 중국문화의 빛과 그림자 - "그림자" 글: 주유광(周有光) 중국문화는 빛도 있지만 그림자도 있다. 그림자가 어떤 때는 빛을 전부 덮어버린다. 태평성대를 노래하는 빛 속에서 그림자를 정면으로 바라보지 못한다면 이는 스스로를 속이는 것일 뿐이다. 그림자를 정면에서 응시하는 것이 진보의 출발점이다. 여기에서 몇 가지 사항을 얘기해.. 2010. 9. 24. 관중(管仲): 중국역사상 가장 저평가된 인물 글: 조염(趙焰) 노자(老子)와 마찬가지로, 관중도 공자와 동시대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관중은 공자보다 나이가 확실히 많았다. 시간을 추산해보면, 공자가 출생했을 때는 이미 관중이 사망한지 몇년이 지난 때였다. 만일 관중과 공자를 비교하자면, 관중의 위대함을 바로 엿볼 수 있다. 공.. 2010. 3. 14. 누가 중국의 천재(天才)를 죽여버렸나? 글: 여명(黎鳴) 중국인의 역사는 가장 유구한 역사중 하나이다. 중국인의 인구는 전세계각국중 가장 많은 인구에 속한다. 현재 가장 많을 뿐아니라, 역사적으로도 가장 많았다. 그러나, 중국의 천재는 가련할 정도로 적다. 역사를 들추어보면, 진정 전세계인류에 영원히 기념될만한 중국의 천재적인 인.. 2009. 2. 5. 당고종의 진정한 사인(死因)은? 글: 예방육(倪方六) 당나라는 중국고대의 가장 휘황한 시기중 하나이다. 당태종 이세민은 중국역사상 보기드문 능력있는 황제였다. 당태종 이세민이 없었더라면 당나라의 휘황도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걸출한 제왕이 만성중독으로 죽었으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구당서. 태종본기3>&.. 2008. 9. 17. 노자(老子) : 인도에서 온 신비교단? 작자: 주대가(朱大可) 가장 신비스러운 철학가 세계철학사에서 소크라테스, 플라톤, 부처와 공자의 그 누구도 노자처럼 신비한 전설을 많이 남기지 않았다. 신비한 출생 : 전설에 의하면, 이 위인은 모친의 뱃속에서 72년을 배어있었다고 하며, 태어날 때 이미 백발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를 "노자(老.. 2007. 1. 2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