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애12 창평군(昌平君): 진나라의 상국이며, 초나라의 마지막 왕인 그는 누구인가? (1) 글: 집착적진애(執着的塵埃) 기나긴 전국의 역사에서 비록 아주 중요하지만, 거의 언급하지 않는 인물이 있다. 우리는 심지어 그의 이름도 모르고 단지 그의 봉호(封號)만 알고 있다 - 창평군. 지금까지 전해지는 역사기록에서, 창평군에 대한 기록은 기본적으로 많지 않다. 전체 <사기&g.. 2018. 8. 3. 진시황 병마용은 왜 투구를 쓰지 않았을까? 글: 기점문사(起點文史) 1974년 3월, 진시황 병마용이 섬서성 임동현에서 다시 해를 보게 되었다. 규모가 거대하고, 살아있는 것같아서 병마용은 세계제8대기적이라고도 일컬어졌다. 최근 들어 일부 고고학자는 이해되지 않는 한 가지 현상을 얘기했다: "많은 사병의 머리에는 베로 만든 두.. 2018. 2. 28. 진시황의 부인은 도대체 누구인가? 글: 문방장궤(文房掌櫃) 진시황의 일생은 수수께끼로 가득하다. 여러 수수께끼들 중에서 가장 심원한 의안의 하나는 그의 후궁이 도대체 누구냐는 것이다. 중국의 역대왕조의 황제는 후궁에 대하여 모두 기록이 남아있다. 특히 황후에 대하여는 모의천하의 퍼스트레이디로서 제도상으로.. 2015. 2. 10. 진시황의 "사망" 의식 글: 유강(劉剛), 이동군(李冬君) 세상의 그 어느 군주도 죽음을 진시황처럼 대하지는 않았다. 그는 즉위한 다음 해부터 자신의 묘를 준비한다. 그 때 그는 겨우 14살이었다. 모든 일은 태후(太后)와 중부(仲父)가 처리하고 있을 때이다. 왕권은 사망의 그림자 속에 있다. 중부는 바로 여불위(.. 2013. 11. 10. 여불위(呂不韋)의 공(功) 그리고 과(過) 글: 손호휘(孫皓暉) 진나라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여불위는 현대 중국인에게 아주 익숙한 인물의 하나이다. 사마천의 중사경정(重史輕政)의 뛰어난 필법으로 인하여, 그리고 후세 역사를 기록하는 유생들의 문화패권주의에 따라 의도적으로 왜곡됨으로 인하여, 그리고 현대의 통속적인 .. 2009. 3. 10. 태후조희(太后趙姬)의 진실 작자: 미상 사마천의 <<사기>>에서 진시황을 깍아내리는 것으로는 2가지가 핵심이다: 하나는 "한단헌희(邯鄲獻姬)" 즉, 한단에 인질로 잡혀와 있던 진시황의 부친 이인에게 여불위가 임신한 조희를 바쳐 진시황을 낳았으므로 진시황의 생부는 여불위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태.. 2008. 6. 2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