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자6 진시황릉의 허실(5): 묘장을 만드는데는 반드시 지하수를 막아야 한다. 글: 진경원(陳景元) 인류가 나타난 이래, 각 시대의 사회생활과 생산은 모두 물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다만 이런 관계는 반드시 일종이 균형을 이루고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즉, 만일 이용할 물이 충분하지 않다면, 넓은 삼림이 존재할 수 없고, 매년 풍성하게 수확하는 농지가 있을 수 .. 2018. 2. 7. 중국 '첨신(諂臣)'의 아첨술 글: 포강객(浦江客) 아부아첨을 하는 자는 역대 관료사회에 많이 있었다. 고인들은 그들을 "첨신"이라고 불렀다. 소위 "첨신"은 "첨미(諂媚)"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어 나온 말이다. 즉, 윗사람의 뜻을 받들어 비위를 맞추거나, 아부하는 관리를 가리킨다. <관자(管子)>에는 관리를 8종류.. 2015. 3. 26. 유비의 아들은 왜 조조의 아들만 못했는가? 글: 진사황(秦四晃) '관료2세'를 얘기하자면 조조와 유비의 아들은 표준적인 '관료2세'인 셈이다. 유비의 친아들은 3명이다. 큰아들 유선(劉禪), 둘째아들 유영(劉永), 셋째아들 유리(劉理). 그러나 모두 인재로 성장하지는 못한다. 가장 유명한 사람은 '도와줘도 안되는' 아두-- 유선이다. 조.. 2015. 1. 13. 유비는 왜 유선을 태자로 삼았는가? 글: 이치아(李治亞) 유비는 대단한 영웅이다. 맨손으로 시작하여 성공을 거두었으니 칭찬을 받아 마땅하다. 나중에 군대를 이끌고 성도를 함락시킨 후에 조비가 한나라의 황위를 찬탈하여 스스로 황제에 올랐다는 말을 듣고 여러 신하들의 옹립하에, 황제가 된다. 국호를 대한(大漢)이라 .. 2013. 8. 4. 중국인들은 왜 글에 자신의 서명을 남기지 않았을까? 글: 주운(周雲) 자신이 글을 쓰면서, 다른 사람의 이름을 쓴다? 이런 일은 계속 있어왔다. 그리고 고대에는 현대보다 더욱 자주 나타났다. 아주 보편적인 현상이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장지동(張之洞)은 그래서 이런 말도 했다: "진위를 한번 나누기 시작하면, 고서의 절반은 버려야 한다.".. 2012. 5. 2. 중국의 노비근성은 어떻게 뿌리내렸는가? 글: 사걸붕(史杰鵬) 공자는 일생동안 열국을 주유했고, 72군주에게 유세를 했다. 그러나 모두 성공하지 못했고, 마지막에는 쓸쓸히 고향으로 돌아왔다. 이것은 그의 학문이 시대요구에서 너무나 떨어져 있었다는 이유도 있지만, 그의 얼굴이 두껍지 못한 것도 이유가 된다. 그 외에 다른 원인도 물론 있.. 2009. 8.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