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헌성5

전겸익(錢謙益)으로 본 동림당의 변신; 신앙집단에서 이익집단으로 글: 정만군(程萬軍) 숭정2년, 즉 1629년 숭정제 주유검은 전면적으로 동림당인을 기용하기 시작한다. 대명정계에 동림당의 잔여인원들은 다시 중용된다. 다시 나온 동림당인들은 중망(衆望)을 얻고 있었다. 그러나 이때의 동림당인은 이미 옛날의 독림당이 아니었다. 왜 그런가? 다시 조정.. 2019. 1. 14.
정격안(梃擊案): 동림당(東林黨)의 고육책인가? 글: 정만군(程萬軍) 명나라 만력13년 즉 1615년, 대명의 궁중에 전국을 진동시킨 사건이 벌어진다. 이 사건은 역사에서 "정격안(梃擊案)"이라고 불리는데, "정"은 몽둥이라는 뜻이고, "격"은 친다는 말이다. 소위 "정격안"은 궁궐로 뛰어들어 몽둥이로 습격한 사건이라는 것이다. 이 사건.. 2018. 2. 20.
동림서원(東林書院)은 어떻게 운영되었는가? 글: 정만군(程萬軍) 동림서원은 전일제학교가 아니었고, 성인야학도 아니었다. "월교(月校)"였다. 강학은 대회(大會)와 소회(小會)로 이루어지는데, 매월 한번의 소회가 있고, 한번에 3일을 진행한다. 매년 1회 대회를 여는데 봄 또는 가을에 열었다. 소회는 매월 1사람을 추대하여 주최하게.. 2018. 2. 1.
명나라말기 동림당(東林黨)은 국가를 위하여 무슨 일을 했는가? 글: 정만군(程萬軍) 천계원년부터 천계4년까지는 동림당의 휘황했던 시절이다. 명사(明史)에는 이 시기를 묘사하는데 네 글자를 썼다: 동림독성(東林獨盛). 이때 명나라의 정계, 내각, 중앙6부등 핵심부서는 모조리 동림당인들이 차지했다. 명실상부한 "동림시대"에 들어선 것이다. 요즘 .. 2016. 4. 9.
위충현(魏忠賢): 양심전에서 업무를 본 최초의 인물 글: 양국선(楊國選) 1772년, 옹정제는 침궁과 집무실을 양심전(養心殿)으로 옮긴 후, 그는 양심전에서 정무를 본 첫번째 황제가 된다. 이때부터 양심전은 유명해지고, 청나라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에서 양심전이 많이 나오는 바람에 삼척동자도 다 아는 곳이 되었다. 많은 관광객들은 고궁에 가면 처음.. 2009.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