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선림5

신중국 제1차 1급교수 명단(1956년) 북경(71명) 북경대학(27명): 풍우란(馮友蘭), 당월(唐鉞), 웅십력(熊十力), 강택함(江澤涵), 허보록(許寶祿), 단학복(段學復), 주배원(周培源), 황곤(黃昆), 섭기손(葉企蓀), 왕죽계(王竹溪), 요육태(饒毓泰), 호녕(胡寧), 부응(傅鷹), 황자경(黃子卿), 장경월(張景鉞), 이여기(李汝祺), 진정(陳禎), 악삼심(樂森潯), 왕력(王力), 유국은(遊國恩), 조련아(曹聯亞), 계선림(季羨林), 위건공(魏建功), 풍지(馮至), 주광잠(朱光潛), 향달(向達), 진대손(陳岱孫) 청화대학(9명): 장명도(章名濤), 맹소영(孟昭英), 양사성(梁思成), 장광두(張光斗), 시가양(施嘉煬), 전위장(錢偉長), 장유(張維), 장자고(張子高), 마약한(馬約翰) 북경사범대학(6명): 진원(陳垣), 여금희(黎錦熙),.. 2023. 4. 11.
류보(劉波): 비극의 호남천재 글: 청년독파(靑年讀吧) 강호에 전설은 끊이지 않는다. 마치 장강의 파도처럼 한 물결이 지나가면 다음 물결이 밀려온다. 그렇게 물결은 끊이지 않고 이어진다. 무수한 물결들 중에서 호남사람 류보는 비교적 돋보이는 것이었다. 그는 요란하게 나타나서 비참하게 떠났다. 사람들은 안타까워하면서 탄식했다. 아래에서 이 호남의 천재의 비극적이고 희극적인 인생을 살펴보기로 하자. 1. 주저우신동(株州神童) 류보는 후난성(湖南省) 주저우(株州) 사람으로, 1964년 7월에 태어났다. 집안형편은 보통이었고, 부친은 주저우전력차량공장의 기차운전사였으며, 모친은 주저우기차역의 유지보수노동자였다. 류보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공부를 좋아했으며, 학업성적이 아주 우수했다. 1978년 대학입시가 부활된 다음 해, 나이 겨우 14살의.. 2023. 2. 3.
리커창(李克强): 나는 북경대학에서 근 10년간 공부했다. 잊을 수 없는 북경대학 스승들... 글: 리커창(李克强) (1955년 7월생, 안후이 딩위안(定遠)사람. 1974년 3월 참가공작, 1976년 5월 가입중국공산당, 북경대학 법률학과와 경제학원의 경제학전공졸업. 법학학사, 경제학박사. 현임 중공19기 중앙정치국상위, 국무원총리, 당조서기) 20년전, 바로 이 계절에, 당시 중국시골의 한 척박한 토지에서 나는 대학입시참가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렇게 북경대학과 인연을 맺게 된다. 대학입시지원서를 쓰기전에, 나는 예전에 만나서 알고 있는 학자로부터 편지를 받았다. 그는 일찌기 북경대학을 졸업하고, 북경대학에 지식의 금자탑이 있다고 깊이 믿는 사람이었다. 그리하여 편지에서 나에게 말해주었다. 이 십년만에 한번 올 수 있는 기회를 귀하게 여겨, 북경대학을 유일한 선택지로 삼으라고. 당시의 나는 많은.. 2022. 7. 21.
정통(政統)과 도통(道統) 작자: 미상 중국전통문화중에 정통은 군왕(君王)을 대표로 하며, 황제가 세속권력의 합법성을 보유하였다는 것을 표명한다. 도통은 독서인(讀書人)이 맡으며, 도덕표준과 정신가치를 담당한다. 만일 정통이 정권을 대표한다고 말한다면, 도통이 대표하는 것은 발언권이다. 가장 먼저 도.. 2012. 9. 19.
북대(北大)와 문혁(文革) 글: 임휘(林輝) 중공고위층 강생(康生)의 지시를 받아, 1966년 5월 25일, 북경대학 철학과 당지부서기인 섭원재(聶元梓)가 앞장서서 '전국최초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대자보'를 붙였다. 그 후, 이 대자보는 모택동의 지지를 받게 되고, 문혁이 북대, 북경 및 전국에서 기세등등하게 전개된.. 2012.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