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분석262

전족(纏足)의 기원 전족은 중국고대의 일종의 누습이다. 즉, 여인의 두 발을 포백(布帛)으로 둘러싸서, 작고도 뾰족한 "삼촌금련(三寸金蓮)"으로 만드는 것이다. "삼촌금련"은 일찌기 중국고대에 여자에 대한 아름다움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그러나, 고대 부녀들의 전족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왜 전족한 작은 발을 .. 2006. 12. 26.
중국의 황제꿈 작자: 아모박객(阿慕博客) 고대 중국은 신분이 고정되지 않은 나라였다. 중세기의 유럽처럼 귀족은 귀족, 농민은 농민으로 어떻게 해도 바꿀 수 없는 것과는 달랐다. 중국의 일반 백성은 어떤 때는 황제자리까지 넘보았다. 농사짓던 진승은 "왕후장상에 씨가 따로 있느냐"고 말한 바 있고, 소소한 정장(.. 2006. 12. 20.
중국황제의 성씨별 랭킹 1. 유(劉) 59명 서한 15명 한황제 유현 (기원 23년 칭제, 장안에 도읍, 25년 적미군에 패함. 피살) 동한 14명 촉한 2명 전조 5명 정양황제 유무주(기원 617년 칭제, 마읍에 도읍, 620년 당에 망함. 돌궐로 도망친 후 피살) 연황제 유수광(기원911년 칭제, 유주에 도읍, 913년 당에 망함, 후에 피살) 남한 4명 후한 2명 .. 2006. 12. 19.
의리지변(義利之辨) : 2000년간 중국문화의 대함정 작자: 여명(黎鳴)(2006년 11월 1일 씀) 공자님의 말씀에 "군자유어의, 소인유어리(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논어, 이인편)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중국에서 이천년간 유가 및 중국인들에게 "의(義)"와 "리(利)"의 논쟁을 벌이게 만들었다. 이 의리논쟁을 둘러싸고, 중국인들은 스스로 고묘하고 유구하다.. 2006. 12. 18.
항우식비애(項羽式悲哀) 작자: 미상 왕안석(王安石)은 이런 이야기를 한 바 있다. 중영(仲詠)이라고 불리는 젊은이가 있었다. 그는 천부적으로 좋은 글을 쓰는 재주를 가지고 태어났다. 사람들이 그의 글을 보고서는 모두 걸작이라고 칭송했다. 중영의 부친은 돈을 벌 기회가 왔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아들로 하여금 글을 써서 .. 2006. 12. 11.
신비의 고격왕국(古格王國) 많은 사람들에게 고격(古格)은 낯선 단어일 것이다. 그러나, 이 350년전에 사라진 왕국의 가치를 안다면, 놀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고격왕국은 중미의 마야문명, 이탈리아의 폼페이고성과 놀랄만큼 닮은 점이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문명의 최전성기에 멸망하였으며, 이런 돌연한 멸망으로 인하여, 모.. 2006.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