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문학/홍루몽54 홍학(紅學)은 20세기 최대의 학문스캔들인가? 1979년 예일대학교수인 여영시(余英時)는 홍콩 <<중문대학학보>> 제2기에 발표한 "근대 홍학의 발전과 홍학혁명"이라는 논문에서 "홍학"을 "갑골학" 및 "돈황학"과 함께 20세기 중국의 "현학(顯學, 인기학문)"이라고 불렀다. 그에 의하면 홍학은 "호적의 제창에 따라 <<홍루몽>>의 고증업무.. 2006. 7. 12. 홍루몽 : 석춘(惜春)의 수수께끼 <<홍루몽>>에는 여러가지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들이 많다. 통상적인 해석으로는 이 소설은 일찌기 5번이나 첨삭을 거쳤고, 마지막까지 미완본이었으므로, 여러군데 서로 맞지 않는 부분이 있게 된 것이라는 것이다. 이런 해석으로도 모든 의혹이 풀리지는 않는다. 다른 어떤 이유가 있을지도 .. 2006. 7. 1. 가보옥의 사랑 작자 : 노철봉(蘆哲峰) =================== 가보옥(賈寶玉, 홍루몽의 남주인공)의 사랑은 단지 두명의 여인에 향해 있다. 하나는 임대옥(林黛玉)이고 하나는 화습인(花襲人)이다. 정신적으로는 보옥과 대옥은 하늘이 맺어준 한 쌍이고, 수천년동안 보기 힘든 사랑의 바보들이다. 즉,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하.. 2006. 6. 2. 홍학(紅學) : 홍루몽연구의 변천 홍루몽을 연구하는 학문을 홍학이라고 부르는데, 최소 건륭18년(1753년)부터 시작되었다. 홍학자들은 오사운동을 계기로 구홍학과 신홍학으로 구분한다. 1. 구홍학의 주요학파 평점파(評點派) 중국문학사에서 평점파의 기원은 명나라 중기때부터이다. 김성탄(金聖嘆)이 <<수호전>>의 피를 달고,.. 2006. 3. 4. 홍루몽의 대관원(大觀園)은 어디 있는가? 홍루몽의 연구자들에게 있어서 대관원의 모델이 된 건물의 소재지가 어디인지에 대하여도 학설이 많이 나뉘고 있다. 크게 나누면 북경이라는 설과 남경(또는 그 주변)이라는 설이 있고, 북경이라는 설에는 공왕부(恭王府)라는 설이 대표적이고 남경이라는 설에는 수원(隨園)이라는 설이 대표적이다. .. 2006. 1. 9. 장애령의 세가지 안타까운 일(三大恨事) 장애령이 지은 《홍루몽염(紅樓夢&#39751;)》에 나오는 세가지 안타까운 일 첫째, 붕어에 가시가 많은 것。 둘째, 해당화에 향기가 없는 것. 셋째, 홍루몽이 미완(未完)인 것. 2006. 1. 2. 이전 1 ···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