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사회/중국의 지리

여인국(女人國)에 관한 기록과 후손에 관하여

by 중은우시 2006. 4. 23.

 

조루(樓)

 

서유기에서 묘사한 여인국은 완전히 허구인가? 아름다운 여왕, 물을 마시기만 하면 아이를 갖게 되는 자모하(子母河). 서유기에서 묘사된 여인국은 여러사람에게 많은 환상을 갖게 하였다. 여인국은 오승은이 순전히 자기의 상상력으로 만들어낸 이상낙원인가? 아니면 역사상 이러한 여인국이 있었던가?

 

"여인국은 역사상으로도 확실히 존재하였고, 현재에도 일부 촌락들이 여인국의 옛날 습속을 지금까지 보존하고 있습니다"

 

사천성사회과학원역사연구소의 연구원 겸 사천강장연구중심 부주임인 임신건은 오랫동안의 연구와 현장답사를 통해서 현재의 사천 감자주 단파현에서 도부현에 이르는 일대가 <<구당서>>에 기재된 동여군(東女國)의 중심이라고 한다.

 

동여국이 전설중의 여인국인가? <<구당서>> 제197권 <<남만서남만전>>에 따르면,

 

"동여국(東女國), 서강(西羌)의 별칭이다. 서해중에도 여국이 있어서 예로부터 동녀라 부른다. 습속이 여자를 왕으로 한다. 동쪽으로는 무주, 당항과 접해 있고, 동남으로는 아주와 접해 있다. 경계는 나녀만과 백랑이를 사이에 두고 있다. 그 경계는 동서로 9일을 걷는 거리이고, 남북으로 22일을 걷는 거리이며, 크고작은 80여개의 성이 있다"

 

임신건의 해석에 따르면, <<구당서>>의 기재에 의할 때, 동녀국은 남북의 길이기 22일거리, 동서의 길이가 9일거리인데, 과거에 하루에 말을 타고 40킬로미터, 걸어서 20킬로미터를 갔던 것에 비추어보면, 동녀국은 남북으로 440킬로미터 내지 880킬로미터, 동서로 180킬로미터 내지 360킬로미터가 된다는 것이다.

 

사서의 기재에 따르면, 동녀국의 건축은 모두 조루(탑과 같은 건물)이다. 여왕은 9층짜리 조루위에 살고 있고, 일반 백성은 4,5층으 조루에서 살고 있다. 여왕이 입는 것은 청보모령의 비단의 긴 치마이고, 치마는 땅에 끌리며, 금으로 꽃을 수놓았다. 동녀국의 최대의 특징은 여자를 중시하고 남자를 경시한다는 것이다. 국왕과 관리는 모두 여인이고, 남자는 조정에서 관리를 할 수 없으며, 단지 밖에서 병사가 될 뿐이다. 궁중여왕의 뜻에 따라, 여관이 바깥에 전달한다. 동녀국에는 여왕과 부여왕이 있고, 종족내부에서 추천받은 사람이 담당한다. 여왕이 죽으면, 부여왕이 승계한다. 일반가정에서도 여자가 가장이 되며, 부부관계는 없다. 가정에서도 모친이 귀하며 가장의 재산을 장악하고 분배하며 일체의 집안일을 주재한다.

 

<<구상서>>에 동녀국에 관한 기재는 매우 상세하다. 그러나, 당나라이후에 역사서에서는 동녀국에 대한 기재가 거의 중단된다. 동녀국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졌다는 말인가?

 

임신건에 따르면, 당현종 때, 당나라와 토번(현재의 티벳, 서장)은 관계가 매우 좋았다. 토번은 야루장부강 동쪽에서 다두하 일대까지 확장했다. 그러나, 당나라 중기이후 당나라와 토번의 관계는 매우 긴장된다. 여러번 전투를 벌이게 되고, 당나라는 점차 토번이 통치하던 지역의 소수민족을 하나하나 복속시킨다. 당나라는 당시에 8개의 소수민족부락을 민산협곡에서 다두하쪽으로 이주시키는데, 이 8개의 부락안에 바로 동녀국의 여왕이 이끄는 부락이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당시 동녀국의 여왕은 조정을 알현하며, "은청광록대부"에 봉해진다. 비록 실제관직은 아니지만, 직급은 매우 높았다. 현재로 따지면 성장에 해당한다. 나중에 당나라 말기가 되면서 토번세력이 점차 강대해지면서 여러차례 다두하 동쪽을 침범한다. 당나라는 군사를 조직하여 반격하는데, 양쪽이 밀고 밀리는 접전을 벌이게 됨에 따라, 동녀국을 비롯한 중간에 끼어있는 부락들은 스스로의 존속을 위해서 양쪽에 모두 잘보이려는 입장을 취하게 된다.

 

나중에 당나라가 점차 몰락하고 분열하게 되는데, 토번도 마찬가지로 점차 멸망한다. 토번이 붕궤된 후, 일찌기 그들의 통치를 받던 청장고원은 다시 원래의 부락시대로 되돌아간다. 당나라가 멸망한 후, 통일적으로 통치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국가가 없었다. 나중의 송원명시대에 이르러, 청장고원지역에 대한 통치력은 매우 박약하였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사료에 기재가 없는 것이다. 청나라때에 이르러서 비로소 토사(土司, 지역부족왕을 가리킴)제도가 완비된다. 그러나 동녀국의 후손들로 이루어진 부락은 교통로에 가까웠고, 외부의 영향을 많이 받아, 여왕이 죽은 후, 전통적인 관습이 이어지지 않고, 점차 부계사회로 바뀌었다. 그러나, 일부 부락은 여전히 심산유곡에서 생활하면서 모계사회의 흔적을 보전하여 오고 있다.

 

임신건은 이 지역에서 모계사회의 흔적을 보유하고 있는 것은 현지의 생활환경에 맞추기 위해서라고 한다. 이 지역은 고산협곡에 처해있어, 생산조건이 열악하고, 토지와 물산이 희소하다. 만일 일부일처제를 실행하여, 아들이 처를 맞이한 후 분가를 하고, 다시 소가족을 꾸민다면, 현지의 경제조건으로 보아서는 도저히 생활할 수가 없고, 생산자료를 나누어줄 수도 없다. 그리고, 폐쇄적인 심산협곡에 살면서 외부와는 거의 단절되어 다른 문화의 영향을 받는 것도 쉽지 않다.

 

북경사범대학 문학원의 민속학전문가 만건충 교수도 이렇게 본다. 일정한 생산력과 일정한 사회제도는 그에 맞추어야 한다. 이처럼 생산능력이 낙후되고, 상대적으로 폐쇄된 지역에서는 노동강도가 크지 않고, 주민이 자급자족할 수 있어, 남성의 우세는 충분히 나타나지 않으며, 여성이 경제권과 발언권을 장악하게 된다. 그 외에 또 하나의 심층의 사회심리요소가 있는데, 모계씨족사회를 유지하는 것은 인간의 과거의 사회형태와 사회구조에 대한 일종의 추억을 나타내는 것이다.

 

임건신의 고찰에 따르면, 역사상 동녀국은 바로 현재의 사천, 운남, 티벳이 만나는 야롱강과 다두하의 지류인 대, 소금천일대라고 한다. 여기는 지금도 유명한 여성문화권이다. "자바는 동여국의 잔여부락중 하나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지금까지 많은 동녀국 모계사회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자바는 과거에 하나의 지역이었고, 현재는 7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향은 도부현경내이고, 2개향은 아강현 경내이다. 합쳐서 약 1만여명이 생활하고 있다. 임신건은 자바에서 현지조사하는중에 여성이 가정의 중심임을 발견했다. 여성이 재산의 분배와 기타 가정업무를 장악하고 있는데, 동녀국의 "여자를 왕으로 하는" 것과 비슷했다. 어떤 가정에는 30여명이 있는데, 모두 결혼하지 않고, 남자는 집안에서의 아저씨(외삼촌)이고, 여성은 집안의 모친이다. 가장 나이많은 모친이 집안의 일체를 주재한다. "분명한 모계사회의 유습이다. 현대사회의 충격을 받아, 이미 원시적인 모계사회와 완전히 같지는 않게 되었지만, 기본적인 특징은 보유하고 있다"

 

자바인들은 주혼제(走婚制)를 시행한다. 남녀가 만나서, 남자가 만일 여자를 고르게 되면, 여자의 몸에서 물건 하나를 뺏는다. 예를 들어, 수건, 악세사리등이다. 만일 여자측에서 돌려달라고 하지 않으면 동의를 표시한 것이 된다. 저녁이 되면, 여자는 창문에 불을 켜두고 남자가 나타나기를 기다린다. 자바인이 거주하는 곳은 모두 조루이어서 개략 10여미터 높이가 된다. 남자는 반드시 손가락을 돌틈에 끼워넣어 한걸음 한걸음 조루를 올라간다. 이외에 방의 창문은 매우 작다. 중간에는 가로로 막대기가 있다. 남자는 조루를 기어올라오더라도 몸을 옆으로 뉘어야 들어올 수 있다. 서커스를 하는 것과 같다. 이런 과정은 체력이 좋아야 하고, 몸이 재빨라야 하는데, 이것도 적자생존의 일환이다. 둘째날 닭이 울 때, 남자는 떠나야 한다. 이후부터 두 사람은 아무런 관계도 없다. 남자는 매일 올 수도 있고, 몇 달에 한 번 올 수도 있고, 전혀 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들간의 관계는 "갑의(甲依)"라고 부른다. 즉 짝이라는 뜻이다. 여자는 동시에 여러명의 "갑의"를 둘 수도 있다. 그러나, 극소수의 여자는 평생 한 명의 "갑의"만을 두고, 두 사람의 주혼은 죽을 때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여자가 아이를 낳으면, "갑의"는 보통 자기 자식으로 인정하거나 기르지 않으며,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는다. 아이는 여자의 가정에서 길러진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현지의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모두 자기의 부친이 누구인지를 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