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도진생(陶晋生)
북송의 멸망에 관하여 역대이래로 반성하는 글이 아주 많았다. 본문에서는 주로 북송이 요,금관계를 처리할 때의 여러가지 실수를 정리하는데 집중할 것이다.
1. 연금멸요(聯金滅遼)의 성공은 아주 요행이었다.
송휘종 정화원년(1111년) 구월, 정윤중(鄭允中), 환관 동관(童貫)이 요나라에 사신으로 간다. 연(燕)의 땅에 사는 마식(馬植)이라는 사람이 동관을 만나, 요나라는 반드시 멸망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여진과 연합하면, 연의 땅을 취할 수 있다고 말한다. 동관은 그의 의견을 아주 높이 평가했다. 정화5년(1115년) 마식은 요나라에서 송나라로 넘어오고 이름을 이양사(李良嗣)로 바꾸고, '연금멸요'의 계책을 올린다. 송휘종은 그를 접견한 후 이양사에게 조(趙)씨성을 하사한다.
당시의 태재(太宰) 정거중(鄭居中)은 여진과 연합하는 책략에 반대하고, 태사(太師) 채경(蔡京)이 송과 요의 양국이 맺은 화약(和約)을 준수하지 않는 것을 질책한다. 채경은 책임을 송휘종에게 떠밀었다: "황상의 뜻이 이미 결정되었는데, 어찌 막을 수 있겠는가?" 정거중은 분노하여 소리친다: "백만의 생령이 도탄에 빠지게 되었는데, 공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 나중에 그대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정화7년(1117년) 가을, 요나라사람 고약사(高藥師)가 바닷길로 등주(登州)에 이른다. 그리고 여진이 이미 요의 땅의 절반을 차지했다고 알려준다. 다음 해 오월, 동관은 '평연책(平燕策)'을 올린다. 팔월, 송나라조정은 금나라에 사신을 보낸다. 십이월, 완안아골타(完顔阿骨打)는 사람을 보내 송나라조정에 국서(國書)와 선물을 보낸다. 선화2년(1120년) 삼월, 송나라조정은 사람을 보내 아골타와 요나라를 협공하기로 약속한다. 아골타는 송나라사신에게 이렇게 말했다.
"거란은 무도하고, 내가 이미 격패시켰다. 마땅히 거란의 영토는 모두 우리의 땅이 되어야 한다. 남조황제의 호의를 생각하고, 연경이 원래 한의 땅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특별히 연운(燕雲)은 남조에 주겠다."
아골타는 세폐(歲幣)로 50만을 요구한다.
그외에 쌍방은 요나라를 협공하기로 약정한다. 송군은 연경을 공격하고, 금군은 평주, 송림에서 고북구로 향한다. 만일 약속대로 이행하지 않으면 약정은 집행되지 않는다. 동시에 쌍방이 출병하며 고북 송정 및 평주동쪽의 유관을 경계로 하여, 양군이 충돌하는 것을 막기로 한다. 칠월, 아골타는 다시 사신에게 국서를 가지고 송나라조정으로 가게 한다. "연의 땅을 송나라에 넘겨주는 것을 허락하며, 송나라조정이 요나라에 보내던 세폐를 금나라에 보내야 하며, 요나라와 화의해서는 안되고, 반드시 약속대로 협공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원래의 약정은 집행할 수 없다"
선화4년(1122년) 연초, 금군이 중경(中京)을 점령했다. 요나라의 천조제(天祚帝)는 서경(西京)으로 도망친다. 야율순(耶律淳)은 연경에서 스스로 황제에 오른다. 사월 금군이 서경을 점령하고 천조제는 서하(西夏)로 도망친다. 동관은 사람을 연경에 보내어 투항을 권하나 실패한다. 야율순은 사람을 시켜 송진종(宋眞宗), 송인종(宋仁宗)의 화상을 꺼내오게 하며 송나라사람들이 약속을 어겼음을 질책한다. 그러나 송나라의 번속국(藩屬國)이 될 생각은 있다고 말한다. 동관은 여진과의 약속이 있기 대문에 요나라와 화의할 수는 없었다. 그리하여 송군에 연경을 공격하도록 명한다. 그러나 요나라군대에 격패당한다. 조금 후 요나라의 탁주수비장수 곽약사(郭藥師)가 상승군 정예병력 8천을 이끌고 송나라에 투항한다. 송군은 탁주, 역주 두 주를 점령한다. 이때 송나라조정의 정책은 만일 송군이 승리하여 연경을 차지하면, 금군이 장성을 넘어오지 못하게 막는 것이다. 만일 연을 취하지 못하면 금군을 장성안으로 불러들이는 것이다. 여러번 금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마확(馬擴)은 절대로 금나라군대를 장성안으로 끌어들여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조양사는 송군은 연을 취할 능력이 없다고 보고 세폐로 유혹하여 금군이 송군을 대신하여 연경을 공격하여 점령하게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십월하순, 동관은 송군에 다시 연경을 공격하도록 명했으나 역시 실패한다.
십이월, 금나라의 완안아골타가 연을 공격한다. 연경의 요나라군신은 도망치고 수비장수들은 문을 열고 투항한다.
선화5년(1123년) 송,금 양국은 조약을 체결한다. 금나라는 연경과 육주의 땅을 양보하고, 송나라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요나라에 보내던 세폐를 금나라에 바치기로 한다. 그외에 연경에서 거둔 세금도 보내주기로 한다. 나머지 조문은 송나라와 요나라의 조약과 대체로 같았다. 여기에는 "간첩과 밀약하거나 변방사람을 유인하여 교란시키는 것"을 금지했다. 같은 해 사월, 동관, 채유(蔡攸)는 군대를 이끌고 연경으로 들어간다. 변경의 조야는 크게 경축하며 송태조, 송태종이 달성하지 못했던 목표를 지금 달성했다고 좋아했다.
연금멸요의 외교는 이렇게 끝이 난다. 송나라와 금나라가 힘을 합쳐서 요나라를 협공했다. 이 과정에서 송나라는 아무런 공로가 없었다. 그래도 연경과 육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송나라가 개국이래 한번도 획득하지 못했던 거대한 성취였다. 그러나, 아무런 공도 없이 이익을 얻는 것은 상당히 요행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송나라사람들은 금나라사람들의 군사력을 봤으면 당연히 반성하고 이때부터 군사를 강화하고, 국방설비를 완비해야 했다. 특히 중요한 것은 금나라와의 평등조약은 쉽지 않게 얻어낸 것이다. 송나라는 마땅히 역대선조들이 요나라와의 조약을 지켰던 것과 마찬가지로 금나라에 대하여 조약을 지켰어야 했고, 양국간의 평화로운 관계를 존중했어야 했다.
그러나, 송휘종은 그 점을 보지 못했다.
2. 송휘종은 멍청하게 조약을 위반한다.
송금간에 조약을 체결한 해의 팔월, 완안아골타가 사망하고, 그의 동생 오걸매(吳乞買)가 즉위한다.
십일월, 금나라장수 완안알리불(完顔斡離不, 일명 完顔宗望)는 평주를 포위공격한다. 원인은 이러했다: 전 요나라 흥평(평주)절도사인 장각(張覺)은 금에 투항한 후, 금나라조정은 그를 임해군절도사, 평주지주로 임명한다. 금나라가 연경을 송에 넘겨준 후, 장각은 금나라에 반란을 일으켜, 금나라의 연경재상 좌기궁(左企弓)등을 죽이고, 평주를 송나라에 귀부시킨다. 성공에 취한 송휘종은 조약을 위반하고, 장각을 받아들이는 엄중한 잘못을 저지른다. 조양사는 조약상의 '반란자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조항을 위반하면서 반란자를 받아들여서는 안된다고 주장하지만, 조정은 장각이 절도사를 세습하도록 윤허한다.
그리하여, 완안알리불은 송나라조정에 장각을 내놓으라고 요구한다.
송나라조정은 부득이 장각과 용모가 비슷한 죄수를 죽이고 그 수급을 금나라에 보낸다. 그러나 금나라사람이 이를 알아차린다. 결국 송나라조정은 장각을 처형하고 그 수급을 금에 보내야만 했다. 송나라조정은 반란자를 받아들였다. 이는 확실히 화약을 위반한 것이다. 그리하여 금나라에 출병의 핑계를 주었다. 송나라에 귀부한 곽약사는 이렇게 선언한다: "금나라사람들이 장각을 내놓으라고 하면 송나라조정은 장각을 내준다. 만일 금나라사람들이 곽약사를 내놓으라고 하면 송나라조정은 나를 내주지 않겠는가?" 그리하여 곽약사의 상승군도 해체되어 버린다.
선화7년(1125년) 십월, 금태종 완안오걸매는 조서를 내려 송을 공격한다. 금나라의 원수부는 중원에 격문을 보낸다: 송나라가 맹약을 위반한 것을 질책하고(장각을 몰래 받아들인 것은 맹약을 위반한 행위이다) 금나라변방의 관민을 유인하여 받아들이며, 세폐를 보내지 않았다. 그래서 의로운 군대를 일으켜 하늘의 뜻을 받들어 죄를 벌하고자 한다. 십일월 하순, 완안알리불은 계주(薊州)를 공격하여 점령한다. 십이월초, 완안알리불은 연경을 공격하고, 곽약사가 투항한다. 송군의 방어선은 와해된다. 십이월중순, 송나라조정은 사신을 보내어 화의를 하고자 한다. 송휘종은 죄기조(罪己詔, 황제 스스로 잘못을 반성하는 반성문)를 내리고 화석강(花石綱)을 없애고, 황위를 태자 조환(趙桓)에게 넘겨준다. 즉 송흠종(宋欽宗)이다. 그리고 송휘종은 변경을 떠나 강남으로 간다.
정강원년(1126년) 정월, 완안알리불은 황하를 건너 변경을 공격한다. 송나라조정은 사신을 보내어 금군과 담판한다. 완안알리불은 송나라조정에 통첩을 보내어, 송나라가 맹약을 위반하고 장각을 받아들인 것을 질책하며, 송군이 "병력이 많으면서도 나의 숙련된 강한 정예병사를 막을 수 없었다"고 지적한다. 송나라조정은 다시 사신 이절(李棁)을 완안알리불에게 보낸다. 그가 떠나기 전에 송흠종은 이렇게 말한다. 세폐로 350만을 지급하겠다고. 이절은 완안알리불과 성하지맹(城下之盟)을 맺는다. 태원, 중산, 하간의 3개 진(鎭)을 금에 넘겨준다. 금나라황제를 백부(伯父)로 삼고 배상금으로 금 5백만냥, 은 오천만냥, 소말 각 만필, 견단(絹緞)각 백만필을 지급한다. 금나라의 사신은 맹약서를 가지고 송나라조정으로 가서 화약을 체결한다.
3. 송흠종은 성하지맹을 체결하고서도 여전히 이리저리 흔들린다.
송흠종이 금나라와 성하지맹을 체결하여, 하북, 하동의 3진을 할양하고, 세폐를 증가시켰다. 이런 굴욕적인 조약으로 그는 완안오걸매와 백부와 조카의 관계가 도었다. 송나라는 여전히 대송이라 자처하지만, 대등한 지위는 잃어버렸다. 그외에 송나라조정은 강왕(康王) 조구(趙構)와 태재(太宰) 장방창(張邦昌)을 인질로 보낸다. 정월 십일, 장방창과 강왕 조구는 사신으로 간다.
금군이 철수한 후, 종사도(種師道)와 요평중(姚平仲)의 원군이 경사에 도착한다. 주전파인 이강(李綱)은 의화에 반대하고 영토할양을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이월 일일 밤, 요평중은 보병,기병 만명을 이끌고 금나라군영을 습격하나 실패로 끝난다. 그는 처형될 것이 두려워 도주한다. 완안알리불은 서신을 보내어 송흠종에게 주전파인 이강과 종사도를 파직시키도록 요구한다.
그러나 주전파의 신료들은 여전히 이강을 조정에 남겨두도록 요구한다. 이월 오일, 태학생 진동(陳東)등이 상소를 올리고, 군민이 미리 약속하지 않았지만 집결하여 항의하는데, 수만명에 이른다. 이들은 재집(宰執) 이방언(李邦彦)등을 욕하고, 내시 20여명을 살해한다. 송흠종은 어쩔 수 없이 다시 이강을 상서우승(尙書右丞), 경성사벽수어사(京城四壁守御使)로 임명한다. 그리고 사람을 시켜 국서를 보내 완안알리불과 결별한다. 그러나 여전히 삼진을 할양한다. 그러자 금군은 군대를 되돌린다. 이월 십칠일, 금나라군대가 황하를 건너 북으로 간다.
다만 조야에서는 여전히 삼진을 포기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그리하여 며칠만에 정책은 뒤집힌다. 삼월 십육일, 송흠종은 삼진을 고수한다는 조서를 내린다. 사월, 태상황 송휘종이 경사로 돌아온다. 이때 여러 곳의 군대도 속속 변경에 도착한다. 대신들은 금나라를 막을 수 있다고 여긴다. 그래서 영토를 할양하지 않으려 한다. 완안점한(完顔粘罕)의 사절중에서 연인(燕人) 조륜(趙倫)은 송나라사신에게 말해준다. 요나라에서 금나라에 항복해온 장수 야율여도(耶律餘睹)가 금나라에 불만이 많아서 반란을 일으키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송나라의 재상 서처인(徐處仁)과 오민(吳敏)은 그의 말을 믿고, 납서(蠟書)를 조륜에게 가져가게 한다. 그러나 조륜은 그 납서를 완안점한에게 바친다. 완안점한은 대노하여 사라믈 보내 송나라조정을 질책한다.
칠월, 송흠종은 다시 사신을 보내어 금나라의 원수에게 삼진을 할양하지 않고, 삼진의 세수를 세폐로 바치도록 해달라고 요청한다. 완안점한은 허락하지 않으면서 이렇게 말한다: "만일 삼진의 토지와 인민을 할양해주지 않으면 절대로 화의는 없다." 같은 달, 채경이 병사한다. 송나라조정은 사람을 보내 동관, 조양사를 살해한다. 팔월, 이강은 사직을 청한다. 구월, 금군이 다시 침입한다. 완안점한은 태원을 점령한다. 명을 받아 삼진을 지키던 송나라장수들은 모조리 패배당한다.
십일월, 완안알리불과 완안점한은 나뉘어 황하를 건넌다. 십사일, 송흠종은 백관을 모아 삼진을 할양하는 것의 이폐(利弊)를 논한다. 범종윤(范宗尹)은 앞장서서 할양을 주장한다. 이미 할양하기로 약속했다면 실언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하률(何㮚), 매집례(梅執禮), 손부(孫傅), 여호문(呂好問), 홍추(洪芻), 진회(秦檜), 진국재(陳國材)등 36명이 반대한다. 하북은 천하의 사지(四肢)이며, 천하는 조종의 천하이다. 흠종의 천하가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송흠종은 할양을 결정한다. 그리고 사신을 완안점한에게 보내어 삼진을 할양하겠다고 말한다. 그러나 완안점한은 사신에게 말한다: 삼진은 이미 문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그는 이미 황하를 경계로 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어제 이미 사신을 변경으로 보냈고, 황하를 경계로 하겠다고 했다. 삼진의 일은 논의할 필요가 없다.
그후 금나라의 양로대군은 변경을 포위한다. 윤십일월초에 공성을 시작한다. 이십오일, 금군이 성을 넘고 변경은 함락된다. 윤십일월 삼십일 송흠종은 성밖으로 나온다. 금나라의 총사령관 완안점한은 사람을 보내어 송흠종에게 투항서를 올도록 요구한다. 송흠종은 어쩔 수 없이 투항서를 올린다. 내용은 금나라사람에 의해 여러번 수정되고 그 안에는 "관군재퇴(官軍才退), 신서우투(信誓又渝)"라는 내용이 들어가게 된다.
송흠종은 금나라사람에게 조씨(趙氏)를 보전해달라고 애걸한다. 송흠종은 두 금나라장수와 의화(議和)하고 완안점한은 황하를 경계로 할 것을 요구했다. 그리고 송흠종을 궁으로 되돌려 보낸다. 이때 금나라사람들은 아직 조씨의 북송정권을 없앨 생각까지는 하지 않았다. 그들은 처음에 송나라정부에 문적(文籍), 군기(軍器)를 내놓으라고 하고, 개봉성내의 금은보화, 각종 서적과 장인을 수색한다. 재물을 모조리 긁어모아서 동북으로 가져가려는 것처럼 보였다. 송흠종이 성으로 되돌아오자, 봄바람이 불어온 것처럼 사람들은 환호작약했다고 한다.
4. 금나라는 송나라황제가 약속을 어긴 것을 질책하고, 장방창을 황제에 앉힌다.
다만 조금 후 금나라사람들은 생각을 바꾸게 된다. 나중에 건염원년 금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부방(傅雱)의 보고에 따르면, 금나라의 장수 완안알리불의 태도는 비교적 온화했다. 조씨조정을 보존하자고 주장했다. 그러나 완안점한은 완안올실(完顔兀室)의 이견을 들은 후 전략을 바꾸어 조씨를 폐지하고 다른 성씨를 세우기로 한다.
경성의 군신들은 마지막 노력을 했다. 두번이나 금나라원수부로 글을 보내어 동관, 조양사, 왕보(王黼)등이 망녕되이 사간을 일으켜 모조리 참했다고 해명하면서, 송휘종이 간신의 말을 들었고, 어린황제(송흠종)은 대신들이 잘못 이끌어서 일어난 일이니, 금나라에서는 새임금을 보전시켜주거나 혹은 조씨자제중 현명한 자를 골라서 황제로 세워줄 것을 요청한다. 그러나 금나라장수는 사신으로 하여금 송나라신하들에게 이성의 새로운 황제를 선택할 것을 요구한다. 결국 여러 신하들은 부득이 장방창을 추천한다.
삼월 칠일, 금나라 원수부는 장방창을 대초(大楚) 황제로 앉힌다. 수도는 금릉(金陵)으로 한다. 금나라에서 화북을 침입할 때, 여러번 격서로 그들이 한 행위는 송휘종, 송흠종이 맹약을 어겼기 때문이라고 말했었다. 장방창을 황제로 세우는 문서에서도 다시 한번 송나라를 견책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부친의 무도함이 이전에 있었음에도 자식도 그것을 그대로 따라했다. 그래서 병사와 장수를 보내어 그 죄를 물은 것이다."
이는 그들의 군사행동이 합법적이고 합리적이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금나라 원수부가 장방창을 황제로 세운 것은 중원의 백성들에 대한 금나라의 은덕이라고 말한다. 송나라와는 맹약을 체결했고, 원래는 서로 잘 통할 수 있었는데, 생각지도 못하게 송나라에서 맹약을 위반하여, 송나라에 군대를 보낼 수밖에 없었다. 송나라 황제는 황위를 물려주면서 애걸복걸하면서 삼진을 할양하겠다고 하고 새로운 맹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먹이 마르기도 전에 맹세를 어겼다. 그리하여 금나라는 조씨를 더 이상 용인할 수 없고, 계속 이 영토를 차지하게 할 수 없다. 그리하여 황하이남에 또 다른 정권을 세워 금나라의 병번(屛藩)으로 삼는다.
장방창정권은 실제로 후진의 석경당보다 못한 괴뢰정권이었다. 금나라는 그를 이용하여 사후수습을 하고, 뒤의 한걸음 더 나아간 대계를 도모하고자 했다.
사월 일일, 금군이 되돌아간다. 송휘종, 송흠종의 두 황제를 끌고가고, 백관, 학자, 후궁, 궁녀, 태감, 장인, 그리고 궁중과 정부의 예기와 서적을 압송한다. 또한 긁어모은 대량의 금은재화도 북으로 가져간다. 금나라사람들은 또한 백성들도 끌고간다. 남녀중 북으로 끌려간 사람이 십여만에 이른다. 그리고 변경성이 포위되었을 때 식량이 없어, 도로에 시신이 놓여 있으면 가져가서 먹었다. 그중 아직 못숨이 붙어 있는 사람이 있더라도 역시 잘라갔다. 금군이 철수하면서 도처에서 약탈을 벌인다. 마구잡이로 죽여서 시신의 썩은냄새가 수백리에 났다. 괴뢰 장방창을 남겨 겁난이 지나간 후의 화북을 다스리게 했다.
5. 외교관계의 관점에서 북송멸망에 대한 반성
북송의 멸망에 대하여 평론한 사람들은 아주 많다.
남송때의 사람 섭적(葉適)은 다른 나라와의 신의를 지키지 않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했다. 연금멸요는 잘못된 정책이라고 보았다.
또 다른 남송사람 진덕수(眞德秀)는 북송의 멸망에는 10가지 잘못이 있었다고 말했다: 조정이 크게 나쁘고, 군정이 크게 나쁘고, 천계(天戒, 재난변고)를 겁내지 않고, 사람의 말을 잘 듣지 않으며, 충신을 죽이고 현인을 멀리했고, 소인을 함부로 쓰고, 황상을 가리고 속였으며, 가렴주구하여 백성이 도탄에 빠지고, 능력없는 자에게 임무를 맡기고(동관이 사신으로 간 것), 연금멸요했다는 것이다. 진덕수는 장각과 야율여도를 받아들인 것이 근본원인이라 보지 않았다. 설사 장각사건이 없더라도, 맹약은 지켜지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송나라에 충성하는 대신으로서, 진덕수는 당연히 황제의 과실은 언급하지 않았다.
명말에 이르러, 왕부지(王夫之)는 송나라때의 여러 황제들에 대하여 엄중하게 비판한다. 북송의 멸망에 관하여, 왕부지는 특히 송휘종이 북송을 멸망으로 이끈 중책이 있다고 보았다.
현대의 김육불(金毓黻)은 정강지화를 논하면서 원인으로 세 가지를 꼽았다: 첫째, 화전부정(和戰不定), 화의할지 싸울지를 정하지 못했다. 둘째, 휘종은 천하의 대임을 맡을 능력이 없었다. 셋째, 군비가 피폐했다. 그리고 원인(遠因)으로는 신구당의 당파싸움으로 국사를 돌보지 않았음을 들었다.
북송말기으 대세를 보면, 송나라조정이 연운을 회수한 후, 만일 한편으로 새로 얻은 토지와 인민을 잘 다스리고, 다른 한편으로 국방에 충실하며 군대를 정비하여 무력을 강화했다면 최소한 잠시 송요간의 평화관계는 유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다만 혼용한 송휘종과 군신은 연경을 차지한 것에 눈이 어두워져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 그저 이를 경축하는 외에 수복한 강토를 어떻게 유지관리할지는 고민하지 않았고, 혼란을 어떻게 수습하여 질서를 되찾을 것이며, 연경지역 백성들을 어떻게 안정시킬지도 생각지 않았다.
그래서 북송멸망의 원인은 주로 군신이 무능하고, 채경, 동관등은 그저 공을 세우기만 좋아하여 서로는 서하국을 평정하고자 하고, 북으로는 요나라를 무너뜨리고자 했다. 그리하여 송나라의 인력물력으로는 이런 소모를 감당할 수 없었다. 군사적으로 요나라의 연경을 공격하여 실패함으로써, 금나라에 송군의 약점이 노출되었다.
외교방면에서, 연금멸요는 반드시 잘못된 전략이라고는 할 수 없다. 다만 이 전략을 집행하려면 여러 방면에서 협조가 되어야 했다. 특히 당시 금나라사람들이 중원으로 병력을 진격시킬 의향이 없었으므로 맹약을 체결했으면 송나라는 이전에 요나라와의 맹약을 지켰던 것처럼 금나라와 체결한 맹약도 지켜주어야 했다. 다만 당시 집권자들은 막 체결한 맹약도 어기고, 도망온 반란자를 받아들여서 금나라로 하여금 공격할 명분을 주었던 것이다.
이때의 송나라는 정치적으로 군사적으로 완전히 무너졌다. 그런데도 새로 흥기하는 여진과 연합하여 일거에 거란을 소멸시키고 연운십육주를 차지하고자 했다. 결국 국력이 부족한 상황하에서 경솔하게 군사적 모험을 한 결과 비극적인 실패를 맞이한 것이다.
'중국과 역사사건 > 역사사건 (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국(自杞國): 신비한 소국, 몽골과 6년간이나 싸우다. (0) | 2022.05.26 |
---|---|
충효군(忠孝軍): 금나라 최후의 최강전투부대 (0) | 2021.12.31 |
금(金)나라의 최후는 얼마나 비참했는가? (0) | 2020.12.11 |
"연금멸요(聯金滅遼)": 북송의 잘못된 전략인가? (0) | 2020.12.01 |
"원군(怨軍)"과 "수군(瘦軍)": 요(遼)나라가 멸망하기전에 만든 기이한 두 부대 (0) | 202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