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냉아봉(冷阿鋒)
대청 말기 인심이 바뀌었고, 모든 사람들은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 그러나, 어떻게 바뀔 것인가? 지위가 다르고, 처지가 다르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생각은 서로 살랐다. 당시의 대청왕조도 기회는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그 기회를 붙잡지 못하고 계속하여 실패했다. 역사를 되돌아보면, 이 왕조의 통치자들은 선후로 3개의 길을 선택했다: 첫째는 적극적으로 변법을 하는 것. 즉, 무술변법이고, 둘째는 폭동을 이용하는 것, 즉 의화단의 권민을 이용하여 서양인을 축출하려는 것. 셋째는 혁명을 받아들이는 것, 즉 혁명당인의 요구에 응하여 군주입헌을 실현하는 것인데, 결과적으로 모조리 실패로 끝난다. 지금 역사를 되돌아보면 대청왕조의 멸망은 이렇게 세 개의 과정을 거쳤다.
무엇이 변법인가?
현재의 용어로 말하자면 '개혁'이다. 이는 통치층 내부에서 진행되는 일종의 변혁이다. 만일 성공한다면, 사회, 국가와 집권층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런 개혁은 잠이묵화(潛移默化)적이고, 내부의 균형을 통해 이익의 재분배를 실현하게 된다. 비록 철저하지는 않아서, 근본적으로 내부의 고질을 제거하지는 못하여,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그러나 '소아를 희생하여 대아를 실현하는' 것을 통하여, 통치층의 이익을 유지할 수 있고, 집권층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변법은 통치계층의 일봉의 자구행위이다. 그 범위는 아주 좁고, 의사결정층의 내부 극소수만이 장악한다. 그러므로 변법의 근본내용은 "환탕불환약(換湯不換藥)'이다. 청나라조정 내부의 변법역량은 시종 존재했다. 서태후를 토함한 최고권력기구도 변법을 지지했다. 다른 점이라면 '어떻게 바꾸느냐'는 것이다. 즉 '기득이익을 유지하는 기초 위에서, 국가관리의 전환을 실현하는 것'인데, 솔직하게 말하자면, 변법은 기층민중의 이익과는 거의 관련이 없다. 통치계층내부의 이익재분배일 뿐이다. 다만 민중에게는 일종의 착각을 불러일읜다. 국가가 이미 바뀌었고, 통치계층은 기실 허상이라고.
무엇이 폭동인가?
소위 무장의거는 바로 사람을 죽이고, 피를 흘리고,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는 것이다. 의거는 반드시 폭력적이다. 구통치자는 기층의 의거를 이용하여, 자신의 적수에게 공격을 가한다. 도살을 피할 수 없다. 의거의 본질은 무너뜨리는 것이다. 철저하게 무너뜨리면 무너뜨릴수록, 의거의 의미는 더욱 커진다. 그러므로, 역대왕조말기의 의거 결과는 모두: 무너뜨리고, 무너뜨리고 또 무너뜨리는 것이다. 모든 왕조교체는 모두 의거로부터 시작된다. 최종적으로 의거를 일으킨 무리가 이익집단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진정한 폭동은 연기처럼 사라져 버리는 것이다.
폭동은 전왕조의 멸망을 가속화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절망에 빠진 사람은 그저 서로 상처입히고, 서로 죽이고, 서로 무너뜨릴 수밖에 없다. 폭동은 미화하면 '의거'이지만, 본질적으로 '정의'라고 할 수는 없다. 후인들의 역사관 속에서, 구통치를 멸망시킨 여하한 폭동도 모두 '정의'라고 본다. 왜냐하면 누구도 전왕조로 돌아갈 수는 없고, 돌아가고 싶어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우둔한 청나라통치자들은 폭동을 이용하여 자신의 통치를 공고히하려는 생각을 했었다. 생각해 보라. 만일 의화단의 폭동이 성공했더라면, 다음번 목표는 바로 조정이었을 것이다. 이는 스스로의 몸에 불을 붙이는 것이나 같다. 만일 의화단의 폭동이 실패하면, 조정은 열강에게 징벌을 당하는 대상이 될 것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의화단폭동을 이용하려는 생각은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아주 멍청한 짓이었다.
무엇이 혁명인가?
변법이 실패하고, 폭동을 이용하려는 계획도 성공하지 못했다. 그렇다면 반드시 '혁명당인'이 나타나게 되어 있다. 혁명당인은 경험을 종합하여, 강령을 내걸고, 조직을 강화하며, 시스템적인 폭력무장의 방침을 정한다. 이것이 바로 소위 '혁명'이다. 혁명의 본질은 바로 '체제밖의 역량이 강제로 체제내부로 진입해 들어오는 것"이다. 체제를 시스템적으로 해부하고, 병의 근원을 찾아내서, 철저하게 구정권의 부패하고 타락한 근원을 제거하는 것이다.
다만 이런 '외부역량'도 구체제를 완전히 부정하고 무너뜨리려는 것은 아니다. 아마도 새로운 같은 체제를 건립하는 것에 그칠 수도 있다. 목적은 바로 '사람을 바꾸는 것' 즉 황제를 바꾸는 것에 그칠 수도 있다.
혁명은 유혈과 희생을 동반한다. 그러나, 혁명의 살인과 폭동의 살인은 차이가 있다. 혁명은 목적있는 살인이다. 그러나 폭도은 목적없는 살인이다. 혁명의 결과는 '성두개환패왕기(城頭改換覇王旗)"이다. 만일 혁명가들이 선진적인 역량으로 주도한다면, 그것은 전인민에게 홍복이 될 것이다. 다만 만일 혁명성과를 야심가가 빼앗아 간다면, 혁명이 가져오는 피해는 구통치를 유지하는 것보다 비참해질 수 있다. 전민족이 부담하는 댓가는 더욱 크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대청왕조는 어느 것을 선택했을까? 결과는 정말 생각지도 못한 것이었다. 그들은 3가지 방식을 모두 써본다. 그러면서 멸망의 길로 스스로 걸어들어간다. 이는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멍청한 왕조일 것이다. 이렇게 멍청하기 그지없는 통치자도 없을 것이다.
대청왕조가 먼저 선택한 것은 "변법"이었다. 즉 채제내부개혁이다; 이는 그들의 주도권을 쥐고 있을 때, 그리고 장악한 자원도 가장 많을 때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그들은 좋은 기회를 날려 버렸다. 무술변법이 실패한 원인은 아마 여러가지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일치된 견해는 바로 청나라 통치자 내부의 이익집단이 너무 완고하여, 이익을 포기하려 하지 않았고, 그래서 중도에 싹이 잘린 것이라는 것이다. 기실 그 중의 원인은 복잡하다. 강유위(康有爲)등 변법자들이 전략을 보면 이들은 '성숙되지 못한 변법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들은 한 무리의 '책벌레'이고, 변법의 진실한 의미를 이래하지 못했다. 이 국가를 이해하지도 못했다. 그래서 너무 조급했다. 협상이나 의사소통이나 타협의 방법으로 목표를 실현하려 하지 않았다. 그저 옛날 방식을 그대로 썼다. 암살과 쿠데타등 조치. 그리하여 변법은 '너죽고 나살기'식의 비극으로 끝난다. 서태후로 하여금 손을 쓸 수밖에 없도록 만든다. 실패는 시간문제였다.
이어서 대청왕조의 통치자는 "폭동을 이용"하기로 결정한다. '의화단'을 이용하여 정치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는 환상을 가졌다. '의화단'의 난을 통하여 서양인을 도살하면, 정권이 공고히 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결과는 실패였다. 이는 대청왕조 통치자들이 걸은 아주 리스크가 큰 길이기도 했다. 이는 '혁신적인 의식'이었다. 그러나 돌을 들어 자신의 발등을 내려찍는 결과를 가져왔다. 하마터면 전체 국가를 망칠 뻔했다. 이것은 세계에 대하여 무지했던 댓가를 치른 것이다. 서태후같은 권력귀족계층은 자신의 통치에 자신감이 넘쳤다. 그들은 '인민은 모두 우매하고, 모두 노예근성이 있다. 돼지처럼 부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확실히 인민은 그들의 눈에 가지고 노는 대상이다. 그러나 어떻게 해야 잘 다룰 수 있는지 그 힘조절을 잘하는 것이 난제이다.
마지막으로, 대청왕조는 더 이상 되돌아갈 길이 없어지고, 할 수 없이 '혁명'을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 현실이 되었다. 그들은 천진하게도 '혁명당인'과 '군주입헌'합의를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이를 통해 평화적 정권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권력귀족들은 계속하여 부귀영화를 누리게 된다. 이는 망상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이 왕조의 살마들이 만일 계약정신이 있었더라면, 이런 지경에 이르지도 않았을 것이다.
대청왕조의 멸망의 길은 바로 한걸음 한걸음 '개혁의 주도권'을 상실하는 길이었다; 만일 처음부터 권력귀족들이 자신들이 가진 자원을 가지고 잘 이용했더라면, 자신의 인민을 잘 대해주었더라면, 그리하여 '변법'을 성공시켰더라면, 대청왕조의 국력은 분명 더욱 커졌을 것이다.
생각해보라, 1300만평방킬로미터의 강역을 지닌 제국이, 유구한 역사문화와 조화로운 민족달결, 평화로운 '군주입헌'체제를 갖추었다면, 대만, 유구, 주변번속국도 잃지 않았을 것이고, 가장 합리적인 정치체제로 경제의 신속한 발전을 추진했을 것이다. 그러면 '대중화의 강성한 제국'이 형성될 수 있었을 것이다.
결어: 대청왕조의 관료체제는 아주 천진하고 유치한 이익집단이었다; 비록 제왕들도 아주 부지런했고, 어떤 제왕은 일하다가 죽기도 했지만, 그들은 치명적인 잘못이 있었다. 그것은 바로 권력만 사랑했고, 중화는 사랑하지 않은 것이다.
비록 그들도 변법이 성공하기를 갈망했지만, 정치적인 전략이 부족했고, 안목이 단기적이었다. 그저 눈앞의 이익만 추구했다. 그리하여 결국은 신해혁명을 일으킬 여건을 마련해주는 것이 되고, 그들 스스로 자신의 무덤을 판 꼴이 된다.
'중국과 역사사건 > 역사사건 (청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양수군의 패망: 이홍장(李鴻章)과 옹동화(翁同龢), 누가 원흉인가? (0) | 2019.05.12 |
---|---|
Afong Moy: 미국으로 이민간 최초의 청나라 여성 (0) | 2019.04.16 |
영수공주(榮壽公主): 청나라의 마지막 공주 (0) | 2019.01.23 |
청나라에서 불평등조약을 가장 많이 체결한 대신은 누구일까? (0) | 2019.01.21 |
가경제(嘉慶帝) 암살사건의 수수께끼 (0) | 2019.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