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이백)

이백(李白)의 혼인생활

중은우시 2018. 8. 6. 17:59

글: 이응만(李凝萬)


한 사람의 혼인에 대한 태도를 보면 그의 사상, 추구 심지어 성격특징까지 알아낼 수 있다.


이백의 혼인상황은 도대체 어떠했을까? 몇번이나 결혼했을까? 그의 처는 누구일까? 부부관계는 어떠했을까? 자식은 몇이나 낳았을까? 아이들의 상황은 어떠했을까? 이것은 이백의 사상과 성격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아쉽게도 이 방면의 기록은 너무나 적다. 이백의 시가를 제외하면 글자로 남은 것은 아주 적다. 다행히 이백에게는 골수팬이 있었다. 위호(魏顥)라는 사람이 쓴 <이한림집서(李翰林集序)>가 있다. 위호는 위만(魏萬)이라고도 부른다.일찌기 이백을 몇달간 쫓아다닌 바 있다. 만난 후에 이백은 그에게 전도가 무량할 것이라고 말했고, 그가 장래 큰 명성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에게 이렇게도 말한다. 나중에 네가 명성을 얻은 후에 나와 내 아들을 잊지 말아달라.과연 나중에 위호는 진사가 된다. 그가 이백을 위하여 쓴 집자중에 이런 문구가 있다:


"백시취어허(白始娶於許, 생일녀(生一女), 일남왈명월노(一男曰明月奴), 여기가이졸(女旣嫁而卒), 우합어류(又合於劉), 유결(劉訣), 차합어노이부인(次合於魯一婦人) 생자왈파려(生子曰頗黎).종취어종(終娶於宗)"

(이백은 처음에 허씨를 취했고, 딸을 하나 낳고, 아들을 하나 낳으니 이름이 명월노이다. 딸은 시집간 후 죽었다. 다시 유씨와 합한다. 유씨가 결별하고 떠난다. 다시 노(산동)의 한 부인과 합하여, 아들 파려를 낳는다. 마지막에 종씨를 취한다.)


위호는 이백과 동시대의 인물이다. 그리고 이백은 그에게 집자를 편찬하도록 부탁했다. 이백을 잘 알고 있는 것은 다른 그 누구에 못지 않다. 그래서 그의 이 말은 이백의 혼인과 자녀에 관한 권위있는 기록이다.


이 기록에서 여러가지 중요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이백은 4번 결혼했다. 2번은 정식으로 결혼한 것이다. 그래서 "취"자를 썼다. 두번은 일반적인 동거이다. 그래서 "합"자를 썼다.


그러나 위호의 말은 틀린 부분이 있다. 그의 말에서 우리는 이백이 부인을 '취'했다는 것만 알 수 있는데, 사실을 그렇지 않다. 이백의 두번에 걸친 정식혼인은 모두 "취(娶)"가 아니라, "췌(贅), "입췌(入贅)"이다. 즉 부인이 시집온 것이 아니라 그가 데릴사위로 들어간 것이다.


위호는 고의로 "췌"자를 쓰지 않았고, 그냥 뭉뚱그려서 "취"라고 했다. 이것은 이백을 존경하는 뜻에서일 것이다. 위존자휘(爲尊者諱). 존경하는 사람을 위하여 불리한 내용은 덮어둔다. 그러나 이백은 자신의 글에서 전혀 거리낌없이 자신이 데릴사위로 들어갔다는 것을 밝혔다. 그는 안주의 배장사(裴長史)에게 보내는 서신에서 이렇게 적었다: "허상공의 집안에 견초(見招)하여 손녀를 처로 삼았다. 그리고 이곳에서 쉬고 있는데, 지금까지 삼년이 흘렀다." 그가 쓴 "견초"는 바로 "입췌" 즉 데릴사위로 들어가는 것이다. 여기에서 아주 분명히 알 수 있다. 이백은 '견초'에 아무런 심리적인 장애가 없었고, 부끄러워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백은 왜 데릴사위로 들어가는 것을 꺼리지 않았을까? 그리고 당당하게 스스로 말했을까?


이것은 그의 관념과 관련이 있다. 그가 보기에 이건 뭐 대단할 것도 없다. 이것은 그의 출신과 문화배경과도 관련이 있다. 이백은 어려서부터 호인들 사이에서 자란다. 중원문화의 이런 습속에 대하여 그다지 느낌이 없다. 남녀혼인관계에서 이백은 개방적이고 현대적이며 평등하다. 그리고 이백은 구석진 사천에서 중원지구로 왔다. 아무리 둘러보아도 친척이 없다. 승진하고 성공하려면 이백이 기에 기회를 잡아서 자신의 재능을 드러내야 했다. 그의 이상을 실현하려면 데릴사위가 된 들 무슨 상관이겠는가. 어떤 때는 이백이 아주 신축성있고 아주 용속적이다.


이백과 허씨는 개원15년(727년)에 호북 안륙(安陸)에서 혼인한다. 혼인한 후, 이백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보낸다. 그가 말한, "주은안륙(酒隱安陸), 차타십년(蹉跎十年)" 즉 같이 십여년을 생활했다. 이 십여년동안 그는 기본적으로 호북 안륙에서 산다. 비록 대부분의 시간을 '명산유람'하면서 보냈지만, 그래도 '자주 집으로 돌아왔다'


허씨아가씨는 재능도 있고 용모도 뛰어났다. 그리고 문화소양도 갖추고 있었다. 혼인후 그들 부부에 관한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송장백의 <유정시화>에는 이런 내용이 전해진다. 한번은 이백이 <장상사>를 써서 부인에게 보여준다. 마지막 문구는 바로 "불신첩단장(不信妾斷腸), 귀래간취명경전(歸來看取明鏡前)"(첩의 애간장이 다 끊어졌다는 것을 믿지 않으시면, 돌아와서 거울 앞을 보세요.) 그 허씨아가씨는 이 글을 보고는 슬며시 웃으면서 한 마디 한다: "무후의 시를 읽어보았나보군. 내가 들려주겠다. '불신비래상하루(不信比來常下淚), 개상간취석류군(開箱看取石榴裙)'(내가 항상 눈물흘렸다는 것을 못믿겠으면 상자를 열어서 석류군(울긋불긋하게 눈물져있는)을 보세요)" 이백은 그녀의 말을 듣고 머쓱해진다. 원래 부인의 앞에서 자신의 재능을 자랑하고 싶었는데, 부인은 자신이 무측천의 시를 모방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를 보면 이 허씨아가씨는 보통내기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들 부부관계는 서로 애정이 있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그와 허씨의 사이에는 일녀, 일남을 둔다. 여자는 평양(平陽)이라고 한다. 출가후에 얼마 되지 않아 죽었다. 아들은 "명월노"라고 한다. 곽말약은 <이백과 두보>에서 이렇게 생각한다. 이름이 너무 이상하다. 사내아이 이름같지가 않다. 분명히 평양의 아명일 것이다. 그래서 이 문장은 빠진 글자가 있다고 생각했다. 분명히 이렇게 일어야 한다는 것이다: "백시취어허(白始娶於許, 생일녀(生一女), 일남(一男), 여왈명월노(女曰明月奴), " . 그러나 이것은 주관적인 억측이다. 해석이 잘 안된다고 글자가 누락되었다고 말하다니. 기실 서역인의 이름짓는 법은 한족과 달랐다. 이백은 '화교'이다. 서역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이름을 짓는 것도 남달랐다. 명월노의 뜻은 '달처럼 밝게 빛나는 아이(奴는 애칭이다),명월노의 이름은 백금(伯禽)이다. 그의 누나는 평양이다. 평양은 한무제 누나의 이름이기도 하다. 결혼한 후 과부가 되었고, 나중에 대장군 위청에게 시집간다. 가무에 능했다. 이백은 그녀가 과부라는 것을 신경쓰지 않고, 같은 이름을 썼다. 그는 그저 자신의 아이가 평양공주처럼 예쁘고 가무를 잘했으면 하고 바랐을 뿐이다. 이것은 중원한인과 다른 점이다. 과부의 이름도 꺼리지 않았다. 그의 작은 아들의 이름인 "파려(頗黎)"도 괴이하다. 기실 이것은 "파리(玻璃, 유리)"를 가리키는 것이다. 아이가 유리처럼 밝게 빛나라는 의미이다. 이름을 붙이는데서 벌써 이백이 서역의 영향을 받았다는게 드러난다.


허부인은 개략 개원28년(740)경에 죽었다. 당시 이백은 40세이다. 그리고 마침 남양을 유람하고 있었다.


이백의 마지막 처인 종씨는 전 재상인 종초객(宗楚客)의 손녀이다. 이 여자는 개략 이백이 50살가량일 때 결혼했다. 그리고 이백과 여러해를 같이 산다. 나중에 이백과 같이 여산에도 오르고, 이백이 감옥에 가고 유배를 갈 때, 그녀와 가족들을 적극 구명활동을 벌인다. 이백이 사면받은 후 아마도 다시 만났을 것이다. 나중에 이백은 이광필의 군대에 참여하러 떠나는데, 그후로는 다시 만나지 못한다.


그외에 이백에게는 두 명이 첩이 있다. 유씨성을 가진 여인은 전해지는 바로는 부도(婦道)를 지키지 않았다. '불현(不賢)'했다. 이백을 버리고 떠난다. 이백이 오랫동안 집에 돌아오지 않으므로, 네가 집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나는 너와 이혼하겠다고 선언한다.


이백은 화가나서, <설참시증우인(雪饞詩贈友人)>에서 이 여자를 이렇게 욕한다:


"피부인지창광(彼婦人之猖狂), 불여작지강당(不如鵲之疆疆); 피부인지음혼(彼婦人之淫昏), 불여작지분분(不如鵲之奔奔),탄탕군자(坦蕩君子), 무열황언(無悅篁言)"


이렇게 자신의 처를 욕하는 시는 아마도 중국시단상 유일무이할 것이다.


그러나, 남편으로서 이백은 자신도 얘기한 바 있다. 그는 좋은 남편이 아니었다. 그 스스로 이렇게 말한다:

"삼백육십일(三百六十日), 일일취여니(日日醉如泥); 가여이백부(嫁與李白婦), 하여태상처(何如太常妻)"(<증내(贈內)>)


이렇게 돈도 없고, 하루종일 모습도 모이지 않는 이백에게 시집간 것만해도 이미 억울할 일이다. 그런데 이렇게 욕까지 얻어먹다니 정말 불공평한다.


그러나, 이백은 어떤 때면 입장을 바꿔서 생각하며, 그녀의 행위를 이해하기도 한다. 그는 그녀가 "낙화적적입청태(洛花寂寂入靑苔)"해서 생활이 적막하여, 원망이 많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거부(去婦)"의 말투로 <거부음(去婦吟)>을 짓기도 했다. 이를 통해 대담하게 이혼한 부인의 행위를 변호한다. 그는 여자의 입장에서 말한다: 네가 집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나는 떠날 권리가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이백이 남녀관계에서 비교적 평등한 관념을 지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자측에도 자신의 생리와 감정의 수요가 있다는 것을 보고, 그저 욕만 하지 않았다.


더욱 감동적인 것은 이백이 스스로 반성하고 시의 마지막에 이렇게 적었다는 것이다:

"억석초가군(憶昔初嫁君), 소고방의상(小姑方倚床), 금일첩사군(今日妾辭君), 소고여첩장(小姑呂妾長), 회두어소고(回頭語小姑), 막가여형부(莫嫁如兄夫)"

옛날에 처음 당신에게 시집갈 때, 여동생은 겨우 침대를 잡고 일어섰다. 이제 첩이 당신을 떠나는데, 동생은 첩만큼 컸다. 고개를 돌려 동생게게 말한다. 너희 형부같은 사람에게는 시집가지 말라고."


만일 그 욕먹는 '거부'는 성씨라도 있었다. 우리는 그녀가 유씨라는 것을 안다. 그러나 이백이 산동에서 얻은 그 첩은 성도 남기지 않았다. 그저 '노일부인'이다. 그러나 그녀는 이백과의 사이에 아들을 낳는다. 바로 파려(파리)이다. 그의 아명은 '천연(天然)'이다. 그가 자유롭게 자라기를 바랐던 것같다. 이백은 아들에게 이름을 지어줄 때도 그의 싯구와 마찬가지로 개성이 강했다. 아쉽게도 이백은 얼마 후에 다시 멀리 떠나고, 가족들과는 이별하게 된다. 파려(파리)의 운명을 우리는 알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