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함풍제)

함풍제의 AB면: 주색지도(酒色之徒) or 영웅기단(英雄氣短)

by 중은우시 2016. 8. 19.

살그글: 서광원(徐廣源)


함풍(咸豊), 애신각라 혁저(奕詝)(1831-1861). 도광제(道光帝)의 넷째아들. 북경 원명원(圓明園)에서 출생함. 중국역사상 최후의 실제 통치권을 행사한 황제이다.


함풍제의 호색은 유명하다. 그가 즉위했을 때는 막 스무살이었다. 한창 성욕이 왕성하고 정력이 넘칠 때였다. 실재로 역시 다른 역대봉건제왕과 마찬가지로 주색에 빠진다.


극단적으로 황음한 황제는 아니었지만, 확실히 풍류천자였다. 청궁사(淸宮詞) 한 수가 함풍제의 주색생활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양거망단우황호(羊車望斷又黃昏)

나사신장엄원문(懶卸新粧掩苑門)

풍두악성가연희(風逗樂聲歌燕喜)

부지수씨이승은(不知誰氏已承恩)


함풍제의 주위에는 미모의 비빈들이 적지 않았다. 자료에서 찾을 수있는 후궁으로는 최초의 적황후(嫡皇后) 살극달씨(薩克達氏), 나중에 황후로 승진한 황후 뉴호록씨(鈕祜祿氏), 의귀비(懿貴妃) 나랍씨(那拉氏), 여비(麗妃) 타타랍씨(他他拉氏) 및 완빈(婉嬪), 매빈(玫嬪), 기빈(祺嬪), 길귀인(吉貴人), 부귀인(璷貴人), 희귀인(禧貴人), 경귀인(慶貴人), 용귀인(容貴人), 옥귀인(玉貴人), 숙귀인(璹貴人)등이 있다.


청왕조가 중원으로 들어온 초기에, 기분내키는대로 했던 순치제(順治帝)는 일찌기 한족여자인 석씨(石氏),진씨(陳氏), 당씨(唐氏), 양씨(楊氏)를 후궁으로 들인 바 있다. 순치제의 모친인 효장황태후는 황자, 황손이 모두 순수한 만주,몽골혈통이 되도록 보증하기 위하여, 청궁 신무문내에 이런 유지를 걸어두었다: "전족한 여자이면서 입궁하면 참한다"


아첨꾼중에서 함풍제가 한족여자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고, 큰 돈을 들여서 강소,절강 일대에서 미녀를 사서 함풍제에게 바친 바 있다. 조상의 유훈때문에, 함풍제는 아예 4명의 한족여자를 원명원 안에 두고, 위호를 내리는데, "사춘(四春)"이라고 불렀다. 즉 목단춘(牧丹春), 행화춘(杏花春), 무릉춘(武陵春), 해당춘(海棠春)이다.


오사감(吳士鑒)이 지은 "원명원사춘(圓明園四春)"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


섬보금련상구서(纖步金蓮上扣墀)

사춘안색투방시(四春顔色鬪芳時)

원명겁후궁인재(圓明劫後宮人在)

두백수음상기사(頭白誰吟湘綺詞)


함풍제는 원명원에서의 생활을 그리워했다. 자금성은 이목이 많고 법도도 많았다. 원명원안에는 그의 심복을 제외하고는 외인이 없다. 노는데 거리낄 일이 없는 것이다. 아마도 함풍5년부터 10년까지의 기간동안 함풍제는 "풍류를 마음껏 즐겼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한다. 함풍제는 그저 먹고 마시고 놀고 즐길 줄만 알았고, 완전히 주색지도라고. 그리고 또 어떤 사람은 그는 전란황제(戰亂皇帝)라고 부른다. 종합하면 그에게 장점은 하나도 없다는 말이다. 이런 견해가 함풍제를 공정하게 평가한 것일까?


기실, 즉위초기, 함풍제는 확실히 조정의 기강을 새로 세우고, 여정도치(勵精圖治)하는 예기와 웅심이 있었다. 단지 그는 운이 나빴고, 좋은 시기를 만나지 못했을 뿐이다.


그는 강희, 옹정, 건륭의 세 황제처럼 웅재대략은 없었고, 이전 황제가 이루어놓은 성과를 앉아서 향유할 복도 없었다. 그가 부친으로부터 이어받은 것은 휘황하고 창성하고번성하는 대청제국이 아니라, 만신창이가 되고 날로 쇠약해지며 내외에서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엉망진창인 나라였다. 조정에도 충신능신이 몇 명 되지 않았다.


태평천국을 대표로 하는 농민반란, 영국 프랑스등이 일으킨 제2차 아편전쟁, 갈수록 나빠지는 관리들의 기풍....이 모든 것들은 막 스무살이 된 청년황제가 아무리 제대로 지켜내려고 해도 그게 쉬운 일이겠는가?


아마도, 이런 것들 때문에 함풍제의 예기는 꺽이고, 방향을 바꾸어 욕망과 사치를 추구하고, 주색에 빠지고, 취생몽사하는 생활을 함으로써 스스로를 망쳐가기 시작했다.


실제로 함풍제의 일생에서 몇 가지 칭찬할 만한 점이 있다. 세상사람들은 강희제가 권신 오배를 제거한 일이나, 가경제가 화신을 내친 일은 알고 있지만, 함풍제가 권신 목창아(穆彰阿), 기영(耆英)을 파면시킨 일을 아는 사람은 별로 많지 않다.


목창아는 만주 상남기출신으로 도광제 후반기에 권력을 한 몸에 장악했던 인물이다.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실권인물이었따. 청왕조때는 승상을 두지 않았지만, 이런 말이 있다: 대학사 겸 수석군기대신을 맡은 자는 진짜 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창아는 바로 그런 존재였다.


도광제는 원래 의심이 많고 우유부단했다. 그의 곁에는 강직하고 아부하지 않으며, 감히 직언할 수 있는 그런 재상이 필요했다. 그러나, 목창아는 수보(首輔)로서 항상 원만하고 매끄러운 처신을 했을 뿐이다.


매번 황제가 물어보면, 항상 황제의 뜻에 영합하도록 대답하는데 신경을 썼다. 그의 문하생들이 조정의 상하에 널리 분포되어 있어서, 당시에 "목당(穆黨)"이라고 불리웠는데, 도광제 말기에는 관료들의 기풍이 엉망으로 되고, 나라의 일은 날로 못해졌는데, 목창아의 잘못이 없다고 할 수가 없다.


기영은 청왕조의 종실이다. 도광23년(1843년) 아편전쟁때, 광주장군으로 부임하며 흠차대신이 되어 절강양무 관장한 후 양광총독이 되어 통상에 관한 업무를 처리했다.


그러나 이 기간동안 외국에 잘보이는데만 신경을 쓰고 무릎을 꿇고 투항하며, 열강과 일련의 굴욕적인 불평등조약을 체결한다. 온 나라의 상하에서는 모두 그를 원수처럼 미워했다.


이 두 명의 권신,간신의 나라와 백성을 해치는 행위에 대하여 함풍제는 황자로 있을 때부터 이미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시종 그것을 드러내지 않았으니, 가경제와 같은 타입이라고 할 수 있다.


함풍제는 즉위한 후 즉시 손을 쓰지 않았다. 10개월의 충분한 준비를 거친 후에 비로소 손을 썼다. 도광30년 십월 이십칠일, 함풍제는 본처친 효덕황후를 위하여 융중한 책봉례를 거행하고, 다음날 책봉의식이 끝나자, 전국에 조서를 반포한다.


일련의 중대한 예의활동이 긴장되고 질서있게 진행될 때, 함풍제는 돌연 군기대신이 초안하지도 않은 조서를 파격적으로 내린다. 그가 친히 쓴 유서인데, <죄목창아,기영유>이다.


이런 돌연한 방법은 그의 조상들도 거의 쓰지 않았던 일이다. 조야가 모두 깜짝 놀란다. 이 유지에서 함풍제는 목창아, 기영 두 사람의 여러가지 죄행을 열거하였는데, 모두 정곡을 찌르고 핵심을 건드리는 것이었다.


목창아는 삼조의 구신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중한 법으로 다스리는 것은 짐이 차마 할 수가 없다. 그래서 관대하게 처리하여 관직을 박탈하고 영원히 기용하지 않는다.


기영은 비록 무능하기 그지없지만 시대의 흐름떄문에 어쩔 수 없는 것이 있으니 관대하게 처벌하여 오품정대로 강등시키고, 육부원외랑후보로 삼는다.


이 유지가 내려지자, 경성내외, 조야상하는 찬양하는 소리가 드높았다. 사람들은 서로에게 알리면서 박수로 환영했다. 마음 속에 여러 해동안 억눌려 있던 울분과 원망을 한꺼번에 풀어버린 것이다. 국가에 다행히도 영명한 군주가 새로 즉위했다고 칭송했다.


비록 함풍제가 즉위초기에는 업적을 내려고 생각을 했지만, 이때의 청나라는 이미 건물이 기울고 있었고, 대들보 하나만으로는 지탱할 수가 없는 지경이었다. 내우외환으로 그는 어쩔 수 없이 날카로움이 무뎌지고 말았다.


마지막으로 외적의 침입에 대하여 수도를 버리고 도망치다가 타향에서 결국 죽는다. 그는 조상들에게 그리고 중국인민들에게 면목없는 일을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