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정치/중국의 대외관계

가경제: '월남'의 국명유래

by 중은우시 2014. 5. 30.

글: 관첩(關捷)

 

<가경워중수일통지>를 읽다보니 이런 내용이 있었다: "먼저, 완복영(阮福映)이 표를 올려 '남월(南越)' 두 글자로 석봉(錫封)'해줄 것을 청하였다. 황상은 대학사등에게 말씀하시기를: '남월'이라는 이름은 포함되는 범위가 너무 넓다. 이전의 역사를 고찰해보면 지금의 광동, 광서지역도 거기에 포함된다. 왕복영은 안남(安南)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교지(交趾)의 옛땅에 불과하다. 어찌 함부로 '남월'이라고 칭하겠는가? 이 나라는 먼저 월상(越裳)의 옛땅을 가지고 나중에 안남의 모등 땅을 가졌다. 천조에서 국호를 하사함에 있어서 '월남(越南)'이라는 두 글자를 사용한다. '월'자를 앞에 붙임으로서 그의 조상의 강역을 표시하고, '남'을 뒤에 붙임으로써 그에게 새로 번봉을 내림을 표시한다. 그리고 백월의 남쪽이므로 <시헌서>에서 '안남'을 '월남'으로 고친다."

 

이 부분의 이야기는 이런 배경이다. 1803년 12월, 월남의 새로운 왕인 완복영이 정회덕, 여광정을 사신으로 보내어 청나라조정에 책봉을 청한다. 완복영은 안남의 '남'자와 '월상'의 '월'자를 합쳐서 청나라에 국호로 '남월'을 내려달라고 한다. 다만 가경제는 역사적으로 '남월'은 땅이 비교적 넓어서 양광(광동,광서)도 모두 포함하게 되는데, 왕복영은 안남을 가지고 기껏 교지의 옛땅만을 가졌으므로 '남월'이라는 두 글자를 뒤집어서 '월남'이라고 칭하게 하였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월남 국명의 유래이다. 다음 해, 가경제는 광서안찰사 제포삼(齊布森)을 사신으로 월남에 보내어 완복영을 월남 국왕에 봉한다. 그리고 월남국왕 금인(金印) 1매를 내린다. 완복영은 여백품을 보내어 청나라에 진공하고 감사인사를 한다. 쌍방은 3년에 1번 조공을 하는 관례를 확정한다. 1806년, 완복영은 정식으로 등극대전을 거행하고, 새로운 국호로 '월남'을 확정한다.

 

그렇다면, 가경제는 왜 완복영의 청구를 거절했을까?

 

첫째, 그는 월남이 반복무상하는 소인국이라는 특질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첫눈에 완복영의 야심을 눈치챈다. 완복영의 야심은 개념적으로 중국의 양광지역까지 손에 넣으려는 것이었다. 그 후에 시기를 기다려 다시 실질적으로 손에 넣으려는 것이다. 그는 잔머리를 굴렸다. 다행히 가경제가 눈치가 빨라서 그에게 단지 '월남'이라고 부르도록 한 것이다. 그리하여 월남이라는 국명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내려온다. 지금 생각해보면, 만일 그때 흐리멍텅하게 '남월'로 응락했다면, 양광은 자고이래로 월남영토라고 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둘째, 가경제는 월남의 중국역사에서의 위치를 분명히 인식했다. 역사적으로 월남은 장기간 중국에 신하로 복속했다. '안남'이라늠 영칭은 당나라 조로원년(679년)에 가장 먼저 나타난다. 안남도호부의(지금의 하노이)의 설치로 시작된다  '안남국'이라는 명칭은 남송 소흥14년(1144), 소흥26년(1156)에 기록에 나타난다; 순희원년(1174년)초기에 이르러, 이조국와 이천조(李天祚)가 사신을 보내어 조공을 바친다. 남송의 효종은 처음 정식으로 '국명으로 안남을 내리고, 남평왕 이천조를 안남국왕으로 하였다"; 다음해 팔월, 다시 '안남국왕인'을 내렸다. 안남국이라는 명칭은 이로부터 나온다. 그후, 국왕은 원, 명, 청의 황제에 의하여 게속 '안남국왕'에 봉해진다. 즉, 월남은 예로부터 지금까지 중국의 종속국이고, 권리와 의무는 단지 조공과 책봉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