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정치/대륙과 대만

유구(琉球), 오키나와(沖繩)과 타이완(臺灣)의 역사적 관계

by 중은우시 2012. 2. 18.

글: 자번(子樊)

 

 

 

유구는 대만인가? 일본인가? 원래 대유구(大琉球)는 일본 유구군도 최남단과 최서단의 오키나와현을 가리킨다. 소유구(小琉球)는 타이완의 서남외해에 있는 유구서(琉球嶼)를 가리킨다. 대유구, 소유구는 명칭이 비슷할 뿐아니라, 역사적인 연원도 있다.

 

중국의 동쪽바다에 있으면서 일본국의 서쪽에 위치한 오키나와현은 자고이래로 '유구'라고 칭했다. 그 서쪽 끝에 있는 요나쿠니지마(與那國島)는 대만과 아주 가까워서 직선거리가 110킬로미터에 불과하다.

 

유구와 타이완의 관계를 얘기하자면, 역사문헌에서 자주 혼동해서 언급되곤 한다. 예를 들어, 가장 먼저 "유구"라는 말이 나타난 <수서.동이열전.유구국>에서 가리키는 것은 오키나와인가 아니면 타이완인가? 현재도 학자들간에 논쟁이 많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명나라이후, 유구도의 중산국(中山國)이 명나라정부의 책봉을 받아 중산왕이 된 이후, 유구는 오키나와를 가리키는 것으로 굳어졌다.

 

타이완의 출현은 명나라의 역시기록이후이며, 유구와 큰 관계가 있다. 명태조 홍무5년(1372년), 양대(楊戴)가 사신으로 유구에 간다. 이때부터 유구국은 정식으로 명나라의 번속국이 된다. 명나라관리가 사절로 바다를 건너 유구로 갈 때, 해상항해가 곤란했다. 그리하여 자주 선박사고를 만났다. 그리하여 바다위에 향행의 위치를 잡는 좌표가 필요했다. 즉, 도서(島嶼)를 방향과 이정(里程)의 가이드로 삼은 것이다. 타이완은 이런 상황하에서 관방의 항해기록에 나타난 것이다.

 

주완요(周婉窈)의 연구에 따르면, 명나라사신의 항해기록중에서, 그들이 중국의 민강입구에서 바다로 나간 후, 바다위에서 볼 수 있는 도서들을 연결했다. 매화서, 소유구, 계롱서, 팽가서, 화병서, 조어서, 황미서, 고미산, 토납기, 마치산, 유구, 나패항등이다. 그중, 소유구, 계롱서, 팽가서등은 모두 타이완의 부속섬이다.

 

원나라말기(12세기)에 이르러, 유구는 3개의 각자 독립된 국가로 분열된다: 중산(中山), 산남(山南) 및 산북(山北). 역사에서 말하는 "삼산시대(三山時代)"이다. 그중 중산국의 세력이 가장 강했다. 명태조 홍무5년(1372년), 명나라조정이 양대를 유구에 사신으로 보내면서 각각 삼국의 국왕을 책봉한다. 1429년, 중산국이 유구를 통일하고, 그 국왕은 명나라에 의하여 유구국으로 책봉된다. '수리성(首里城)'은 왕성이 되는데, 역사상 '제일상씨왕조(第一尙氏王朝)"라고 칭한다.

 

이후, 유구국은 명나라의 신하로 남는다. 명나라의 전장제도에 따라 격년으로 조공을 간다. 명나라가 멸망한 후, 유구는 청나라와 번속관계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청나라초기, 유구국왕은 중국으로 가서 조공하고, 청나라조정에 의하여 "유구국중산왕"으로 책봉된다. 청나라 강희원년(1662년), 다시 "유구국왕"으로 책봉한다. 그후, 유구는 계속하여 사신을 청나라로 보내어 진공한다. 역대 유구국의 새 왕들은 즉위시에 청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책봉받았고, 한번도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명나라말기, 만력37년(1609년), 일본의 사쓰마(薩摩)번은 도쿠가와막부의 허가하에, 유구를 침입한다. 유구의 상녕왕(尙寧王)은 강제로 조약을 체결한다. 이리하여 사쓰마번의 지배를 받는 '번중지번'이 된다. 이것은 유구가 이때이후 한편으로 중국에 조공을 바치고, 다른 한편으로 일본의 속국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나라 동치7년(1868년), 일본 메이지유신정부의 '태정관령(太政官令)'이 유구에 전달된다. 유구왕국은 일본 가고시마(鹿兒島)현의 관할하에서 정부직할지로 된다. 동치12년(1873년) 일본의 메이지천황은 조서를 내려 유구를 일본정부관할로 집어넣는다.

 

해가 흘러, 동치13년(1874년) "목단사사건(牧丹社事件)"이 일어난다. 타이완과 유구의 역사는 다시 한번 연결된다. 유구인들의 선박이 해상에서 사고를 만나면 타이완으로 표류한다. 해안에 상륙할 때 타이완 원주민들에게 살해당했다. 당시 일본은 이를 핑계로 하여, 출병하여 타이완 원주민을 공격했다. 그런데, 사후 중국은 일본의 타이완출병을 "보민의거(保民義擧)"라고 인정한다. 백성을 보호하는 정당한 행위라는 것이다. 이는 중국이 유구의 종주권을 정식으로 포기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후, 유구는 정식으로 일본의 통치를 받게 된다.

 

1895년, 청일전쟁이 끝나고, 중국은 타이완을 일본에 할양한다. 유구와 타이완은 동시에 일본제국의 일부분이 된다. 제국의 안에서 타이완은 유구와의 통행에 아무런 장애가 없었고 비자도 필요없었다. 유구인들은 타이완으로 오고, 타이완인들도 유구로 갔으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예를 들어, 기륭(基隆)과 평도(平島)에는 모두 "유구자부(琉球仔埔)"라는 지명이 있다. 그 의미는 유구사람들이 모여사는 취락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생활이 힘든 일부 유구인들은 타이완에 일꾼으로 오기도 했다. 그외에 요나쿠니지마는 타이완과의 관계가 아주 밀접했다. 주완요의 조사에 따르면, 요나쿠니지마의 어부는 자주 새벽에 구부라(久部良)항구를 떠나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은 후, 오후에 소오(蘇澳)항에 도착하여, 물고기를 팔고, 돌아가는 길에 다시 물고기를 잡은 후, 다음 날 새벽에 다시 구부라항구에 도착한다. 요나쿠니지마의 사람들중에는 타이완에서 결혼하고, 타이완에서 복역하여 군인이 되고, 심지어 타이완에서 죽는 사람도 있다.

 

2차세계대전후, 타이완이 광복되고, 유구는 미군의 임시신탁통치를 받는다. 초기에는 관리가 엄격하지 않아서, 요나쿠니지마와의 밀수무역이 아주 성행했다. 전후에는 전세계물가가 다 올라서, 가격이 안정되지 않았다. 홍콩, 일본본토 그리고 오키나와본섬도 모두 요나쿠니지마와 물물교환을 하였고, 많은 물자를 교환했다. 물고기를 잡는 것도 지하화되었다. 1949년이 되어, 미군이 대량의 군수물자, 무기가 이 경로를 통하여 홍콩을 통해 중국으로 가는 것을 발견한다. 그리하여 엄격히 단속하게 되고, 밀수무역은 이로써 끝이 난다.

 

전후, 타이완은 일본식민지에서 벗어나고, 주권이 국민정부로 되돌아간다. 그래서 먼저 타이완에 와 있던 유구사람은 기본적으로 모두 일본이나 유구로 되돌아간다. 소수인만이 남아서 살았고, 이름을 감추고 살아갔다. 심지어, "228사건"때, 30여명의 유구인들이 타이완인으로 취급되어, 화평도에서 처결과 박해를 받았다. 그래서 최근 들어, 오키나와현의 인사가 화평도에 228사건 유구인이난기념비를 설립하고자 한 것이다.

 

타이완에서 박해를 받은 유구인들과 비교하면, 또 다른 유구의 아주 중요한 정치가 "야라쵸보(屋良朝苗)"는 완전히 다른 타이완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는 일본이 타이완을 통치하던 시기에 타이난주립 타이난2중학교와 타이난제1사범학교에서 선생으로 있었다. 1972년 유구가 일본에 귀속된 후, 그는 오키나와현의 초대지사를 지낸다. 즉, 오키나와현장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