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청 초기)

청나라때 체두변발(剃頭辮髮)은 어떤 모양이었는가?

by 중은우시 2009. 1. 13.

 

 

 

글: 진명원(陳明遠)

 

최근들어 일련의 "후금의 덕정"을 찬미하고, "강건성세"를 고취하는 변자희(子戱, 청나라 궁중드라마)중에서 남자들의 이미지는 일률적으로 "음양두(陰陽頭)", 즉, 머리카락의 앞부분은 박박 밀어버리고, 뒵부분은 머리카락을 묶어서 굵고 길게 늘어뜨리는 장변(長)이다. 홍콩 대만의 변자희는 대륙의 변자희와 약간 다르다. 전자는 깍아버리는 부분이 적고, 후자는 깍아버리는 부분이 좀 더 많아서, 개략 1/3정도 된다.

 

그러나, 이것은 진실한 모습이 아니다. 잘못되었다. 이는 역사적 사실이 어긋나는 것이다.

 

변자희에서는 극력 누르하치, 청태종, 도르곤, 효장황후, 순치, 강희, 옹정, 건륭, 가경을 칭송하고 있는데, 만주남자와 대청순민(大淸順民)의 진정한 머리모양은 도대체 어떠했을까?

 

그것은 오늘날 드라마에서처럼 미화된 스타일이 아니라, 소위 "금전서미(金錢鼠尾)"였다. 이것은 사방의 머리카락을 모조리 깍아버리고, 머리꼭대기에 금전정도 크기(직경 1촌, 약 3센티미터)의 머리카락만 약간 남긴다음, 이것을 꼬아서 가늘고 길게 땋는 것이다. 늘어뜨린 모양이 마치 쥐꼬리같다고 하여 '서미(鼠尾)'라 부르고, 그리고 동전의 가운데 네모구멍으로 지나갈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합격이라고 하여, 그 명칭이 "금전서미"가 된 것이다.

 

즉, 만청(전기, 중기) 남자의 표준적인 변발모양은 원래 쥐꼬리만큼 가늘었던 것이다. 절대로 최근 몇년간 드라마에서 보여주는 것처러 굵지 않았다; 그리고 변발의 뿌리부분은 동전정도의 크기에 불과했고, 머리카락이 무성하게 남아있는 것도 아니었다. 그리고 머리주위는 모조리 박박 밀어버렸따.

 

이런 기괴하고 이상한 머리모양은: "머리카락의 뿌리는 동전정도의 크기이고, 쥐꼬리만큼의 굵기였다" 이것은 얼마나 추악한 형상인가? 지금 아무리 이름을 날리고 싶어하는 연기자라도, 아마 이렇게 기괴한 머리모양은 하지 않으려 할 것이다. 청나라궁중드라마에서 머리모양을 대거 미화시킨 것도 이해할 만하다.

 

먼저 사료를 통하여 청나라가 입관하기 전후로 몇번에 걸쳐 내린 "체발(剃髮)"령의 진상을 알아보자.

 

정천정 선생이 고증한 바에 따르면, "체발령"은 후금 천명4년(1619년)에 시작된다. 청나라의 몇가지 개국사료에는 후금의 팔기군대가 공성한 기록과 더불어, "체발"이라는 단어도 나온다. 아래에 나오는 몇 가지 사례는 모두 청태조실록, 청태종실록에 나오는 것이다.

 

천명6년(1621년), 후금의 팔기는 요양을 함락시킨다. "어사 장전을 생포되고, 나머지 관민은 모조리 체발하고 투항하였다." 오래지 않아 요동의 각지역 크고 작은 성도 후금의 수중에 떨어진다. "관민은 모조리 체발하고 투항했다."

 

천총3년(1629년), 후금은 한아장의 성밖을 공격하고, 명나라의 부장인 표하관 이풍은 "성안의 백성을 이끌고 체발하여 투항하였다".

 

천총4년(1630년), 후금의 팔기는 사하역을 공격하는데, "성안의 사람들에게 투항하라고 하면서 모두 체발하도록 명령했다."

 

위에서 나온 강제적인 "체발령"은 도대체 어떻게 머리를 깍게 한 것일까?

 

순치4년(1647년), 만청신정권은 광저우에서 역복체발령(易服剃髮令)을 내리는데, 이렇게 쓰고 있다: "금전서미는 신조정의 아정(雅政)이다. 아관박대(峨冠博帶)는 망국의 누습이다"

 

청태종은 "포로로 잡은 한인은 모조리 체발하라"고 명한 적이 있다. 그리고 푸저우의 유민 진연익은 <<사문대기>>라는 글에서, "지금 체두령하에서 거리에 이를 면한 자가 없다. 금전서미가 온 천지에 악취를 내고 있다"

 

체발하지 않으려는 백성들에게는 만청정권이 일찌감치 "유발불유두(留髮不留頭)"는 피바람의 정책을 썼다. 천총4년 3월, 대패륵 아민이 영평의 관민에게 이렇게 고시한다: "우리 병사가 이 곳에 오래 머무른 것은 그 뜻이 백성을 먹여살려 큰 뜻을 이루는데 있다. 너희들은 함부로 우리가 돌아간다고 하여 그 사이에 체발하지 않는 자가 있으면, 이는 우리가 군사를 일으킨 뜻을 모르는 것이다. 이제 너희들은 계속 체발을 하라. 만일 체발하지 않는 자가 있다면 찾아내서 처결하겠다."

 

"각지의 문무군민은 모두 체발을 하도록 명한다. 만일 따르지 않는 자가 있으면 군법에 따라 처리하겠다" 이처럼 피비린내나는 위협은 도르곤의 입에서 나왔다. 이것이 통상적으로 말하는 "유두불유발, 유발불유두(留頭不留髮, 留髮不留頭, 머리가 온전하려면 머리카락을 남기지 말고, 머리카락을 남기겠다면 머리는 온전하지 않을 것)"이다.

 

그 당시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아서 목이 잘린 한인도 적지 않았다. 당시으 사람인 진확은 이런 공포스러운 기록을 남겼다: "작년 가을에 새로운 명령이 떨어졌다: 체발하지 않는자는 법위반으로 참하겠다. 그 명령이 발해진 후, 관리와 백성중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은 자는 군문으로 끌려가서, 아침에 끌려오면 아침에 참하고, 저녁에 끌려오면 저녁에 참했다."

 

순치11년(1654년), 청나라에 투항한 후 도르곤의 신임을 받던 한족신하 진명하(陳明夏, 관직이 이부상서, 내원대학사에 오른다. 원래 復社의 문인이다)는 그저 사석에서 "머리카락을 남기고, 의관을 옛것으로 되돌린다면 천하가 평안할 것이다"라는 말을 했다고 하여, 그보다 먼저 청나라에 투항한 한족신하 녕완아(寧完兒, 관직은 내원대학사)로부터 탄핵을 받고, 교살형에 처해진다. 이로써 청나라정부가 '체발역복"을 어느 정도 강경하고 야만적으로 진행하고, 수단이 얼마나 악독하고 잔인했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1793년 영국의 매카트니사신단을 따라온 화가 윌리엄 알렉산더가 그린 그림을 보더라도 건륭시기의 남자들의 머리모양은 "금전서미"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볼품없고, 스스로 부끄러워할 "금전서미"는 당연히 많은 한인들의 격렬하고 장기적인 반항과 저항을 초래한다. 많은 지역의 민중은 체발령때문에 다시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한,당이래 이천여년간 남자들은 계속하여 "속발별잠(束髮別簪, 머리카락을 묶고 비녀를 꽂음)"의 머리모양이었다. 졸지에 괴상망칙한 "금전서미"로 바꾸라고 하니, 사람들에게 커다란 충격이 아닐 수 없었다. 이는 실제로 한족문화를 파괴한 것이다.

 

역대이래 중국의 왕조가 교체되면서, 새로운 천자가 등극하더라도, 일반백성의 생활에는 그다지 변화가 크지 않았다. 봄에 씨뿌리고 가을에 거두는 자들은 여전히 봄에 씨뿌리고 가을에 거두고, 납부할 세금은 여전히 납부하고. 단지 바라는 것은 좋은 황제였으면 하는 것 뿐이었다; 그런데 문화풍속의 파괴는 한족백성들에게 조상을 볼 면목이 없게 만드는 크나큰 치욕이었다. 당연히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현재 유행하는 변자희드라마에 나오는 '음양두'의 머리모양은 만일 당시의 체발령의 기준으로 본다면 머리를 온전히 보전할 수 없는 형태이다. 당연히 처결될 것이다. 왜냐하면 만청의 규정중에는 "체발이 양식대로 되어 있지 않은 자도 역시 참한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순치4년(1647년), 강남의 허서관의 백성 정천이 주변을 조금만 자르고, 머리카락을 꼭대기에 많이 남겼다"는 이유로 지방관원에 체포되었다. "본건 범인은 비록 간사한 마음은 없더라도, 풍속에 동화되지 아니하려고 하니 법이 용서할 수 없다"는 이유로 상부에 보고하였는데, 회신은 "참하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현의 관리들도 이를 제대로 살피지 못한 죄가 있으니 처벌하고, 가장과 이웃들도 죄를 물으라"는 것이었다.

 

일상생활에서 변발을 깨끗하게 유지하려면 "5일에 한번 머리를 새로 땋고, 10일에 한번 머리를 밀어야 한다" 그러다보니 명나라의 사대부 문인들 중에서 차라리 죽을지언정 체발은 하지 않는 자도 나타났다. 이로써 볼 때, 만일 청나라가 강제적으로 체발을 시키지 않았더라면, 아마도 청나라군대가 중원에 진입할 때 저항이 훨씬 적었을 것이다.

 

아마도 "금전서미"의 변발이 너무나 보기 좋지 않아서인지, 지금의 청나라궁중드라마의 여러 연기자들중에서는 '사실대로 연기한다'는 원칙을 지키지 않고, 그저 '금전서미'마저도 모조리 '음양두'로 바꾸고 있다. 한번 생각해보라. 강희제가 길거리를 미행하거나, 건륭제가 강남으로 놀러가고, 기효람이 말재주를 뽐내고 있는데, 머리는 박박 민 다음에 쥐꼬리만한 머리카락만 남겨 두었다면 얼마나 꼴사납고, 웃기겠는가? 어느 연기자가 그런 웃기는 모습으로 카메라앞에 서고 싶어하겠는가?

 

청나라남자들의 머리모양은 청나라초기, 중기의 "금전서미"에서 청나라말기,민국초기의 "음양두"까지 변화해가는데, 대체로 세 단계를 거친다. "서미(鼠尾)", --> "저미(猪尾, 돼지꼬리)" --> "사미(蛇尾, 뱀꼬리)". 이는 1799년(가경4년) 일본의 나카가와(中川忠英)의 <<청속기문>>, 진등원의 <<국사구문>>, 청나라유로 장방의 <<청말사회인조>>등의 책을 보면 입증이 된다.

 

팔국연합군이 북경으로 진공했을 때, 서방인의 기술에도, 청나라남자의 머리모양에는 여전히 "금전서미"의 흔적이 있다. 이로써 볼 때 만청남자의 머리모양은 "금전서미"가 주류였다. 단지 청나라말기가 되면서 약간 바뀐다: "발근금전(髮根金錢)"이 점점 커져서, "변발의 꼬리"도 점차 굵어지는 것이다.

 

어떻게 바뀌어갔는가? 바로 "돼지꼬리식(猪尾巴式)"과 "장사식(長蛇式)"이다.

 

노신이 공부하고 일본유학을 할 때(19세기말과 20세기초)에 사대부에서 유행하는 것은 이미 "쥐꼬리"보다는 훨씬 크게 되어 "돼지꼬리"수준이 되었다. 당시 일본에 유학했던 중국학생들은 보통 일본의 아이들로부터 "돼지꼬리"라는 조롱을 받았던 것도 이해가 된다. 중국학생들의 머리는 쥐꼬리에서 진화해서 돼지꼬리까지 승급한 것이다.

 

이처럼 더없이 치욕적인 머리모양은 이미 당시 민중들이 강력하게 "배만(排滿, 만주배척)"과 "구제달로회복중화(驅除虜恢復中華, 신해혁명 구호)"를 외친 직접적인 원인중의 하나가 되었다.

 

5.4운동시기에, 사람들은 고홍명(辜鴻銘)의 변발을 보고, "쥐꼬리만큼 가늘다"고 놀린 바 있다. 그렇지만 바로 그 고홍명의 변발이야말로 진정한 민주팔기의 적전의 청나라유물인 "금전서미" 변발이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