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북경TV 3채널 '매력과학' 프로그램 2008년 6월 26일 방송
사람들은 말한다: 민이식위천(民以食爲天,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안다). 그렇지만 당신은 아마도 모르고 있을 것이다. 역사상의 북경은 일찌기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백년이상이나 곡절을 겪었었다는 사실을...
오늘 얘기할 이야기는 700여년전에 일어난 일이다. 당시의 북경은 아직 "연경(燕京)"이라고 불리고 있었다. 이 도시는 1267년, 새로운 통치자를 맞이한다. 그는 바로 역사상 그 이름도 유명한 황제 원세조 쿠빌라이이다. 어릴 때부터 말등에서 자란 이 황제는 그에게 익숙한 광활한 초원을 떠나서, 북경을 선택해서 수도로 삼았다. 그러나, 금방, 국가의 앞날의 운명에 관계된 큰 일이 쿠빌라이의 골치거리로 등장했다.
원왕조는 넓다란 판도내의 다민족국가를 다스릴 필요때문에, 정치중심을 원래의 상도 개평(開平, 지금의 내몽고 정남기 동쪽)에서 남쪽으로 내려와 연경(금나라 중도, 중심은 지금의 북경 광안문 부근)으로 온다. 다만, 그것은 간단하게 원래의 자리에 있던 금나라 중도(中都)를 승계하는 것이 아니었다. 금나라 중도의 동북지방, 지금의 십찰해(什刹海)일대를 중심으로 새로운 성을 만든 것이다. 이것이 나중의 원대도(元大都)이다. 이번에 중심위치가 이전하게 된 것은 북경시의 발전역사상 일대사건이다. 그렇다면, 북경을 수도로 정한 후, 황제의 마음 속에 가장 시급한 일이 있었는데 그것은 무엇이었을까? 우리는 오늘날 북경성의 한 고적에서 대강을 추산해볼 수 있다. 우리가 먼저 가보기로 하자...
지금의 이환로(二環路)안은 일찌감치 촌토촌금(寸土寸金, 땅값이 금값)의 곳이 되었다. 그러나 동사십조교(東四十條橋) 부근에 늘어서있는 고급 사무실빌딩의 중간에 오래된 회색벽돌집이 숨어 있다. 안에는 각양각색의 유행을 따른 식당, 술집이 있다. 그러나, 비록 그러하지만, 한칸한칸의 회색벽돌집은 여전히 어느 정도 역사의 맛이 풍겨나온다. 이곳은 도대체 어디인가? 집앞에 걸려있는 "황가양창(皇家糧倉)"이라는 큰 글자가 이 회색벽돌집의 신세를 알려준다. 이곳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남은, 북경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보존이 가장 잘된 황실의 양식창고인 남신창(南新倉)이다. 원나라때, 이곳은 북태창(北太倉)이라고 불리웠다. 소위 "태창"은 황실 양식창고를 달리 부르는 말이다. "태"라는 것은 크다는 의미이고, 지고무상이라는 뜻이다. 양식창고의 규모에서 원나라시대에 이미 대량의 양식이 이 곳에 저장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이곳에 이렇게 큰 양식창고가 생긴 것일까?
원세조 쿠빌라이를 고민하게 한 것은 바로 경성에 양식을 공급하는 그 일이었다. 북경성은 원나라때부터 전국의 수도로 승격되어, 그 인구규모와 도시건설의 발전이 이전에 볼 수 없는 것이었다. 이리하여 대량의 물질공급과 소비가 필요하게 되었고, 현지의 농업생산량만으로는 그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반드시 남방의 주요 식량생산지역에서 수송해야만 했다. 그리하여, 남량북운(南糧北運, 남쪽의 양식을 북쪽으로 운송하는 것)은 이 대도시의 경제명맥이었다. 기록에 의하면, 당시 매년 운송해야 하는 것중에서 양식만 하더라도 300-400만석(石)이었다. 이렇게 방대한 운송량은 당시의 교통조건하에서는 거대한 난제였다. 마차에 싣고, 등에 짊어지고, 소말에 얹어서 오는 것외에 가장 힘을 절약할 수 있고 효과적인 방법은 수운(水運, 수상운송)이었다. 원나라는 매년 강남에서 대도로 운송해야할 식량이 아주 많았으므로, 남북대운하의 내하조운(內河漕運)만으로는 부족했다. 더구나 운하의 조거(漕渠, 물길)는 자주 진흙이 쌓이거나, 물이 얕아지거나 훼손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그리하여, 새상운송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혁신을 좋아하는 원나라사람들은 더욱 대담한 양식운송방법을 내놓는다. 그것은 바로 바닷길을 이용하여, 양식을 운송하는 것이다. 이 생각은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원나라는 기마민족이다. 물에는 익숙하지 않은 원나라사람들이, 처음에 해상운송을 시작했을 때에는 해상항해의 경험이 없다보니 감히 깊은 바다로 나가지는 못하고, 그저 해안선을 따라서, 비교적 얕은 해역으로 탐색하면서 운행했다. 일찌기 양식을 가득 실은 해상운송선박이 항주를 출발하여 계속 북으로 향했다. 그러나 누구도 생각지 못하게, 이렇게 운송하는데 꼬박 1년의 시간이 걸렸다. 그리고서야 비로소 천진에 도착한 것이다. 출바할 때에 가득실은 햅쌀이, 이때는 이미 묵은 쌀(陳米)이 되어버린 것이다. 황제가 해상운송의 효율성에 대하여 우려하고 있던 때에, 두 해적의 모습이 사람의 시야에 들어왔다. 그리고 바로 이 두 해적으로 인하여 원나라해운의 역사는 새로운 장을 열게 된다....
지원19년(1282년) 대신 바얀(伯顔)은 생각한다. 6년전에 남송의 도성 임안(지금의 항주)를 함락시킬 때 일찌기 해적을 이용한 바 있고, 그들의 도움으로 남송황실의 보물, 서적등을 해상을 통하여 대도로 운송한 적이 있었다는 데서 아이디어를 얻는다. 해운을 이용하면 어떨까? 그래서 그는 특별히 그를 도와주었던 두 명의 해적을 찾는다. 그렇다면 이 두 명의 해적은 누구인가?
이 두명으 해적은 하나는 주청(朱淸)이라고 하고, 다른 하나는 장선(張瑄)이라고 했다. 두 사람은 함께 동남연해일대에서 해적질을 했다. 두 사람이 원나라 조정에 귀순한 후, 그들이 예전에 해상항해를 했던 경험을 살려, 바로 새로운 해운노선을 개발한다. 이 두 사람이 개발한 해운노선은 식량을 실은 배를 심해지역으로 몰고가서, 장강입구의 유가강(劉家港, 지금의 강소 태창 유하진)에서 바다로 나가서, 산동반도 동단을 돌아 발해로 들어간다. 마지막에는 천진에 도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번에 해류와 바람의 영향으로 남에서 북으로 항해하는 일정이 겨우 반개월여의 시간밖에 걸리지 않았다. 남량북운의 운송속도를 훨씬 개선한 것이었다. 주청, 장선의 두사람은 이리하여 해적의 모자를 벗고, 평보청운(平步靑雲, 구름을 밟고 하늘로 오르듯이 빨리 승진하다)하여 엄청난 재산을 가진 관상(官商)이 된다. 그러나, 양식을 남방에서 천진까지는 가져왔는데, 이어지는 문제는 천진에 도착한 양식을 어떻게 북경까지 운반할 것이냐가 되었다.
천진에서 북경까지, 오늘날 보자면 그다지 먼 거리도 아니다. 기차를 타면 1시간여만에 도착하니까. 그러나, 원나라때는 이 거리의 길도 큰 난제였다. 마침 그때 북경과 천진의 사이에는 수로망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수양제이래로 파놓았던 북운하가 여전히 항해하기에 좋은 기반을 갖추고 있었다. 그리하여, 천진에서 북경까지의 양식운송은 여전히 수로를 택하게 된다. 천진(당시에는 直沽라고 불렀음)의 해하(海河)에서 백하(白河)를 따라 북쪽으로 오다가 다시 틀어서 통주(通州)로 간다. 이전에 통주에서 북경성까지는 적당한 천연 수로(水路)가 없었다. 통주까지 운송된 양식은 할 수없이 배에서 내려 창고에 보관하게된다. 다시 소포장으로 나눈 후에 사람이 밀고 말이 끄는 방식으로 육상운송을 했다. 일은 아주 고되었다. 그리하여 통주에서 북경까지 통하는 물길을 뚫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렇다면 누가 원나라 황제를 도와서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여기서 바로 한 신비한 인물이 나타난다. 그는 바로 곽수경(郭守敬)이다. 원나라때의 걸출한 과학자이다. 그는 북경에서 통현까지 대운하와 연결된 새 운하를 팔 것을 건의한다. 그렇다면 이 아이디어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곽수경 바로 통혜하(通惠河)의 개창자이다. 지원28년봄, 그는 북경의 지세가 서북이 높고 동남이 낮다는 특징에 따라, 현재의 창평현 남쪽에 있는 백부천(白浮泉)의 물을 서쪽으로 보내어 곤명호(昆明湖)로 끌어들인다. 다시 동남쪽으로 끌어가서 성내의 해자(海子, 호수)로 보냈다. 그 성내의 해자가 바로 지금의 십찰해이다. 계속 동남쪽으로 연결시켜 통주까지 갔고, 결국 대운하와 연결시켰다. 이 운하에서 곽수경은 특별히 24곳의 갑문을 설치하여 수량을 조절했다. 남방의 식량운반선이 통주에서 역류하여 올라올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하여 직접 북경성내의 해자까지 올 수 있었다. 일시에 해자의 양안은 상인들이 밀집한 시장바닥이 되었다. 남방의 향료, 북방의 가죽이 모두 이곳에서 거래되었다. 오늘 날 우리는 여전히 바(Bar)가 가득 찬 십찰해부근에서 연대사가(煙袋斜街), 백미사가(白米斜街)와 같이 당시 무역의 흔적을 보유하고 있는 오래된 거리를 찾을 수 있다. 이 조용한 작은 골목이 일찌기 마차와 말이 줄줄이 이어져 다니고, 깃발이 가득 펼쳐져 있었던 번화한 곳이었다는 것을 누가 상상이나 할 수 있겠는가?
통혜하의 개통은 대도의 물질공급을 아주 풍부하게 해주었다. 이는 해자 주위 즉 지금의 십찰해연안의 상업번영을 가져왔을 뿐아니라, 그 부근에는 창고도 속속 건립되었다. 경성의 창고업도 발달하게 된 것이다. 1950년대, 옹화궁의 서쪽에서 원나라때의 비석을 하나 발굴하였다. 비석에 따르면, "지정15년 경사에는 54개의 창고가 있었고, 식량저장량은 백만석에 달하였다"고 되어 있었다. 이로써 볼 때 당시 남량북운이 얼마나 성황이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의 "황가양창"의 소재지인 남신창의 전신은 바로 원나라때 세워진 북태창이었다. 명천시기에 이르러, 이 일대의 창고기지는 더욱 확장된다. 점차 동직문에서 조양문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규모의 창고가 들어선다. 예를 들면, 해운창(海運倉), 북신창(北新倉), 녹미창(祿米倉)등등이 그것이다. 사료의 기재에 따르면, 남신창은 청나라초기에 창고가 46개가 있었는데, 건륭년간에 66개로 늘어난다. 규모로 봐서 경성 최대였다. 그렇다면 황가의 창고지로서 이곳은 다른 보통의 창고와 어떤 차이가 있었을까?
고대에 양식창고를 짓는데에는 아주 따지는 것이 많았다. 오늘날 황가양창의 옛장소에서 우리는 당시의 흔적을 느낄 수 있다. 경사의 보관저장중심지였으므로 외관상 남신창은 성벽처럼 군사적인 표준에 따라 건축되었다. 전부 성벽을 쌓는 큰 벽돌로 만들었고, 견고하여 오래 쓸 수 있는 동시에 방수작용도 하도록 하였다. 창고건물도 벽돌로 쌓았다. 둘러싼 벽의 두께가 1.3미터 내지는 1.5미터에 이른다. 이처럼 두꺼운 벽을 만들려면, 양식창고내부가 상대적으로 항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습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매 창고마다 기반은 모두 삼합토항축(三合土?築)의 방식을 사용했고, 그 후에 균일하게 백회(白灰)를 한층 깔았다. 다시 벽돌을 깔아서 바닥을 만든 것이다. 위에는 나무를 깔아서 소나무판을 가득 깔았다. 양식창고내의 통풍효과를 좋게 해서 습기를 빼내기 위하여 매 창고의 꼭대기에는 기루(氣樓), 갑판(閘板)를 설치했다. 이렇게 하면 습기있고 더워진 공기는 위로 올라가서 기루를 통하여 올라가서 갑판이 내보낸다. 그렇다면 고대인들은 왜 동직문에서 조양문의 서쪽일대의 토지에 창고를 만들어 식량을 보관했을까? 이 황가양창의 풍수길지는 도대체 어떤 비밀을 안고 있을까?
왜 경성의 양창은 오늘날 동직문에서 조양문일대에 모여 있을까? 핵심은 그곳이 조운의 하도와 부두와의 상대거리에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화물의 운반과 하역입고를 위하여는 창고가 부두에서 가까울수록 좋다. 다만, 안전과 통풍등의 요소를 생각하면, 지세가 높으면서 확 트이고, 상대적으로 물길에서 먼 곳이 좋다. 왜 물길에서 상대적으로 멀어야 하는가? 이는 주로 수재와 습기방지를 위한 것이다. 원, 명, 청의 시기에 많은 창고는 지금의 동성구 동직문에서 조양문내의 지역에 설치되었는데, 바로 이 몇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이다. 원나라는 해자(지금의 십찰해)를 조운의 부두로 하였고, 통혜하는 만녕교에서 아래로 가서 동남쪽으로 향한다. 그러므로 대다수의 창고는 모두 그 동쪽부근에 만들었다. 당년의 해자는 분명히 지금의 십찰해보다 훨씬 넓었을 것이다. 지금의 지안문상상의 지하에서도 여전히 원나라때 해자의 석호안 유적이 발견된다. 그렇다면 현재의 동직문내의 서남부는 사실 당시 해자 및 통혜하 동안에서 조금 동쪽으로 떨어진 지역이 된다. 명, 청 양황조때 운하는 성안으로 들어가지 않았으므로, 가장 많이 가야 현재의 조양문바깥과 동직문바깥까지이다. 거리상으로 보면, 상술한 지역에 창고를 설립하는 것이 아주 적당하다. 그러나, 식량창고의 위치선택에 대하여 많은 사람은 의문이 있을 수 있다: 설마 북경에서도 수재(水災)가 발생한 적이 있는가?
역사상 북경은 일찌기 여러번 수재가 발생한 적이 있다. <<청실록>>의 기재에 따르면, 강희7년, 음력 7월 10일, 연일 계속되는 큰 비로, 영정하가 범람을 했고, 강물이 노구교를 넘어서 노구교대제(大堤, 방둑)을 무너뜨리고, 전문(前門)으로 밀려왔으며 숭문(崇文), 선무(宣武)등 남부도시지역으로 향했다. 선무문은 물의 깊이가 5척에 달하고, 우뢰소리를 내며 물이 흘렀다. 야채를 파는 장사꾼은 멜것을 메고 문아래로 지나가다가, 사람과 멜것이 모두 물에 쓸려내려갔다. 고궁의 오문도 홍수로 한쪽 귀퉁이가 물에 무너져버렷따. 이 시기의 역사를 되돌아보자면 우리는 물어보지 않을 수 없다: 왜 역사상 북경지역에도 수재가 발생하였던가?
북경성내의 수재현상은 역사적으로도 드물게 보는 일은 아니다. 왜 수재가 빈발하였던가? 주로 북경 전체의 수환경이 변화한 데 있다. 명청이래로 경성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상류유역은 과도하게 개발되고, 주변지역의 나무도 많이 베어졌으며, 토양유실이 날로 심해졌고, 영정하, 통혜하등 모둥 강의 수원이 감소했고, 모래함유량이 늘었다. 갈수기에는 물길이 쉽게 막혀버렸고, 말라버렸다. 홍수기때는 쉽게 범람한다. 이는 조운에 아주 불리했다. 그렇다면 황제는 어떻게 수재문제를 해결했을까?
드라마 <<강희황제>>를 본 시청자들은 아마도 이런 장면이 인상깊에 남아 있을 것이다. 아직 친정을 하지 아니한 때의 강희황제가 십여세에 이미 삼번(三藩), 하무(河務), 조운(漕運)을 세가지 국가명맥이 걸린 일이라고 하여, 황궁의 기둥에 써놓은 것을. 이로써 볼 때, 강희는 운하와 수리의 중요성을 인식했던 것이다. 문헌으 기록을 보면, 강희35년, 통혜하를 준설한다. 물길을 준설한 후, 통혜하의 수량은 풍부해지고, 운항능력도 크게 개선된다. 그해, 강희황제는 심지어 맣은 민선들이 통혜하 위를 왕래하도록 허락한다. 강희황제가 통혜하를 순시한 후에 시를 지었다. 왜 청나라는 물길을 다스리는 것을 국가의 가장 중요한 일로 삼았을까?
명청이래로 북경지역의 수환경은 여러가지 불리한 요소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계속 반복되어야 하는 운하준설은 명청조정의 중요한 업무였다. 청나라때, 통혜하가 가장 성행하였을 때는 강희, 건륭의 두 황제때이다. 식량을 동편문 밖에서 물로 동직문 조양문일대의 창고까지 옮기기 위하여 강희황제는 친히 주재하여 호성하를 준설한 바도 있다. 그리고 대대적으로 서산수계를 정리하여 상류의 수원을 확대했다. 그리고 물길의 각 갑문을 정비했다. 조운선도 동편문, 조양문 및 동직문 일대에서 상안에 화물을 하역했고, 남신창, 해운창, 녹미창등의 창고에 입고시켰다. 조양문은 북경성의 식량이 진입되는 중요한 통로였으므로, 조양문의 구성문위에는 일찌기 벼나락이 새겨져 있었고, 사람들은 양문(糧門)이라고 불렀다.
지금의 남신창은 이미 옛날처럼 창고가 아니다. 현대인의 휴식오락장소가 되어 버렸다. 오늘, 우리가 식량창고의 두터운 벽아래를 천천히 걸어보고, 멧돌의 근처에서 아쉬워 떠나지 못하고, 오래된 문지방위에 서 있고, 귀로는 아름다운 곤곡이 들려오고 있다. 우리는 회상해보지 않을 수 없다. 그때 두여랑의 소주지방 부드러운 목소리가 식량을 운반하는 선박의 무리와 함께, 머나먼 남방에서 구곡십팔만의 물길을 따라 표연히 북경성으로 들어오지는 않았을까?
남신창은 원,명,청 삼대를 겪었다. 북경도성사, 조운사와 창고사를 연구하는데 진귀한 문화재이다. 지금은 남신창의 오래된 건축유산이 이미 역사고도, 문화북경의 도시브랜드와 정신상징의 하나가 되었다. 시간이 있으면 남신창에 와서 경성 백년 양식창고의 독특한 옛분위기를 느껴보아도 좋을 것이다.
'중국의 지방 > 북경의 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나라 팔기(八旗)와 북경지명 (0) | 2008.11.06 |
---|---|
장성과 운하 (0) | 2008.07.31 |
경유자(京油子), 위취자(衛嘴子), 보정부(保定府)의 구퇴자(狗腿子) (0) | 2008.03.28 |
북경지명의 변천 (0) | 2007.12.26 |
청나라 구문제독(九門提督)이 관장한 아홉개의 문 (0) | 2007.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