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정치/중국의 군사

인민해방군의 칠대군구

by 중은우시 2007. 1. 16.

 

북경군구: (북경, 하북, 내몽고, 산서)

 

북경군구는 아래에 5개 집단군(24, 27, 38, 63, 65집단군), 3개 위수사단위수1사, 위수2사, 위수3사), 3개 무경기동사단(무경81사, 무경114사, 무경187사)를 거느리고 있다. 총병력은 40만을 넘는다.

 

제24집단군: 간편(簡編)된 을류집단군이다. 제23집단군의 산하에 3개사단, 2개여단이 있다. 즉, 제70, 71보병사단과 제1장갑사단이 있고, 제72보병여단과 포병여단(하북 만전)이 있다. 군사령부는 하북 승덕에 소재한다.

 

제27집단군: 집단군의 아래에 79기계화사단(하북 형태), 제80(하북녹천), 제81기동보병사령부, 포병여단, 공병단, 화학방어단등이 있다. 갑류집단군이다. 제27집단군의 사령부는 석가장에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1996년 대만해협위기때, 이 집단군의 주력은 남하하여 남경전구의 양회지구로 간 적이 있다. 이로써 추단하면, 제27집단군은 아마도 북경군구의 예비집단군일 것으로 보인다.

 

제38집단군: 5개사단(탱크사단, 기계화사단, 보병사단, 기동사단, 포병사단), 3개여단(유도탄여단, 고사포여단, 공병여단), 헬기대대 및 화학방어단, 공병단, 통신단, 전자대항분대등의 부대로 구성되어 있고, 편제인원은 8.6만명이다. 중장비집단군에 속한다. 전군에서 전투대기부대중 주요방향으로 쾌속대응하는 부대이다. 2-7일이면 중국의 어느 지역으로든 이동할 수 있다.

 

제63집단군: 을류집단군에 속한다. 제189사단은 산서성무경총대로 개편되었고, 군이하에는 187, 188의 두개의 보병사단이 있다. 그 중 187사단만이 기계화되어 있다. 이 집단군은 인민해방군의 3등전투력부대이다. 사령부는 산서 태원에 있다.

 

제65집단군: 을류집단군에 속한다. 193기동사단(하북 선화), 제194기동사단(하북 회안), 제205기동여단(내몽고 집녕)과 장갑여단이 있다. 사령부는 하북의 장가구에 있다. 이 집단군의 전신은 장정때의 중국공통홍군1군단제1사단이다.

 

심양군구:  (요녕, 길림, 흑룡강)

 

심양군구는 아래에 4개 집단군(16, 23, 39, 40집단군), 요녕성군구191여단, 2개무경기동사령부(무경117사, 무경120사)를 거느리고 있다. 총병력은 43만이 넘는다.

 

제16집단군: 원래 3개사단이 있다. 그중 1개사단은 80년대에 무경사단으로 바뀌었다. 주력은 제32사로 원레 11집단군에 속했는데, 제11군은 개편후 제16군에 편입되었다. 1980년대 병력감축후에 제16집단군은 간편집단군으로 되었다. 을류집단군에 속한다. 주로 조선쪽을 방어한다. 방어구안에는 제2포병사령부안에 있던 일본에 대한 동풍전략유도탄발사기지가 있다. 제16집단군의 사령부는 길림성 장춘시에 있다.

 

제23집단군: 사령부는 흑룡강성 하얼빈에 있다. 을류집단군이다. 주요임무는 러시아에 대한 방어이다. 아래에는 65, 66, 67보당사단이 있고, 독립방공포여단, 지상포여단이 있다. 다른 을류집단군과 다른 점은, 제23집단군에는 헬기단이 있다. 이 단은 총참모부 육군항공국에 소속되어 있다.

 

제39집단군: 풀 편제이고, 무기도 우수하며, 아래에 4개사단이 있다. 제115기동보병사단, 116혼성사단, 117기계화사단, 제3장갑사단(요녕 사평)이 있다. '소영양'을 배치한 육군항공병대대, 특종병대대, 방공여단, 공병단, 화학방어단든 기술병종이 있고, 전군은 현재 7.5만명이다. 군사령부는 요녕성 영구시에 있다.

 

제40집단군: 간편집단군이다. 아래의 118기계화사단만이 갑류사단편제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병력감축에서 제40집단군은 대대적으로 개편할 에정이다. 제119사단은 119기계화여단으로, 제120사단은 번호를 취소하며, 무경편제로, 기술병종은 제4탱크사단, 지상포단, 공병단, 화학방어단외에 방공유도탕여단을 건설할 예정이다. 군사령부는 요녕성 금주에 있다. 동북의 인후에 해당하는 지역의 방어가 주임무이다.

 

제남군구: (산동, 하남)

 

제남군구는 3개 집단군(20, 26, 54집단군), 1개무경기동사령부(무경128사)를 거느리고 있다. 총병력은 25만이 넘는다.

 

제20집단군: 을류집단군이다. 아래에 58보병사단, 60기계화사단, 제11탱크사단, 독립고사포여단(제59사단이 개편된 것임), 독립지상포여단이 있다. 새로운 병력감축중에서 제60사단도 제60기계화여단으로될 것이며, 별도로 지대공유도탄여단을 둘 것이라고 한다. 군사령부는 하남성 개봉시에 있다.

 

제26집단군: 군사령부는 산동 래양에 있다. 을류집단군이다. 주력은 원래 제46군이 편제취소되면서 편입된 제26군의 제137사단이다. 새로운 병력감축시, 제67집단군이 취소되고, 제67집단군의 주력인 제199기동보병사단도 제26집단군에 편입될 것이다. 이렇게 하여 제26집단군의 주력은 모두 취소된 다른 집단군에서 편입된 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54집단군: 아래에 4개사단이 있다. 7개중점집단군중의 하나이다. 중앙예비대의 3개중점집단군중의 하나이다. 그 중 162기계화사단은 최고사단이다. 제1차 '신속반응부대'이다. 제54집단군은 중국군대중 규모가 가장 큰 육군항공대대가 있다. 군사령부는 하남성 신향에 있다. 

 

난주군구: (감숙, 청해, 섬서, 영하, 신강, 서장아리)

 

난주군구는 2개 집단군(21, 47집단군), 신강군구 4, 6, 8, 11기동보병사령부, 2개무경사령부(무경38사, 무경41사)를 거느리고 있다. 총병력은 28만이 넘는다.

 

제21집단군: 갑류집단군이다. 서북지방을 방어하는 중임을 맡고 있다. 서북에 주둔하는 주력군단이다. 중국의 대다수집단군이 모두 이동할 때도 제21집단군은 그 자리를 지켰다. 이로써도 제21집단군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제21집단군의 아래에는 직-9 헬기대대, 제4탱크사단, 3개보병사단(제61, 62, 62사단)이 있다. 그 중 제63사단은 이미 기계화사단으로 개편되었다. 원래 중앙군사위원회에서 중장비를 갖춘 전국 6개 신속반응사단의 하나이다. 군사령부는 섬서성 보계에 있다.

 

제47집단군: 간편집단군이다. 139, 140, 141의 3개보병사단, 1개탱크사단이 있다. 군사령부는 섬서성 임동에 있다.

 

남경군구: (안휘, 강소, 상해, 절강, 강서, 복건)

 

남경군구는 3개집단군(1, 12, 31집단군), 3개무경사령부(무경2사, 무경93사, 무경181사)를 거느리고 있다. 총병력은 32만이 넘는다.

 

제1집단군: 육군의 7개 갑류집단군의 하나이다. 해방군의 7개 갑류집단군중 제1집단군은 원래 제1야전사령부의 부대중 유일하게 남은 것이다. 1, 3, 7사단과 고사포여단, 전자대항부대등 기술병종이 있다. 제1사단은 중장기계화부대이다. 현재 고사포여단은 고사포유도탄여단으로 개편중이다. 해방군의 첫번째 남군단(외국국모의부대)가 있다. 대만해협의 신속반응부대이다. 아마도 대만으로 진군할 때 북익을 담당할 것이다.

 

제12집단군: 군사령부는 강소성 서주에 있다. 장비 85III형 주전탱크의 제2탱크사단이 있다. 제36사는 90년대초에 장비를 개선한 전군의 6개 신속반응사단중의 하나이다. 해방군의 전략중심이 남으로 이전함에 따라 전자대항부대, 방공고사포유도탕여단등 기술병종도 완성단계에 이르렀다. 무기장비는 갑류집단군에 미치지 못하지만,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갔고, 전투력도 약하지 않다. 특히 대만해협전쟁중에서 이 부대의 역할이 주목된다. 제1군, 제42군등의 1선부대와 비교하여 제12군은 지리적으로 제2전선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제31집단군: 군사령부는 하문부근의 동안현에 있다. 제31집단군은 원래 91, 92, 93의 삼개 보병사단을 관할한다. 1997년 보전에 주둔하는 93사단은 무경으로 개편되었다. 제29군이 폐지된 후 주력인 제86사단이 제31군으로 편입되었다. 그래서 이 집단군은 현재 3개의 풀 편제사단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을류집단군으로서는 드문 것이다.

 

광주군구: (광주, 광서, 해남, 호남, 호북)

 

광주군구는 2개집단군(41, 42집단군), 해남군구132사령부, 1개 무경기동사령부(무경126사)를 거느리고 있다. 총병력은 19만이 넘는다.

 

제41집단군: 121기동보병사단(탑산수비영웅단이 바로 이 부대이다), 123사단(탑산영웅단, 백태산영웅단이 이부대이다), 제164사단(제55군이 폐지된 후 편입) 및 군직속의 고사포여단, 주교단이 있다. 군사령부는 산두에 있었는데, 지금은 유주로 옮겼다. 주력부대는 광서경내에 있다. 제41집단군은 주로 월남을 겨냥한다.

 

제42집단군: 군사령부는 광동 혜주에 있다. 을류집단군이다. 1996년 대만해협의 긴장이후 중국군은 전략적으로 갑류군의 장비를 제42집단군에 갖추었다. 1군4사단제이다. 현제 124기계화사단(나부단 비운봉하의 장녕진), 제125사단(혜주), 제126보병사단(산두), 포병사단(소관시 곡강현 마패진, 이후 유도탄여단으로 개편예정), 탱크여단(화현), 주교단(호남), 고사포단, 특종병대대, 전자대항분대, 육군항공병단이 있다. 지리적 위치로 보아 대만진군시 남익의 주공부대이다. 제15낙하산군, 제1집단군(북익주공)이 제1차전선을 형성하는 주력부대일 것이다.

 

성도군구: (사천, 중경, 귀주, 운남, 서장)

 

성도군구는 2개 집단군( 13, 14집단군), 서장군구 52, 53산지여단, 2개무경사령부(무경38사, 무경41사)를 거느리고 있고, 총병력은 28만이 넘는다.

 

제13집단군: 80년대말 병력감축때, 갑류집단군으로 편성되었다. 27, 28사단은 6.25에 참전했던 부대이다. 149사단은 원래 제18집단군의 제52사단이었고, 중국-인도전쟁에 참전하였다. 1969년 제50집단군 149사단은 장국화와 담관삼의 지휘하에 있던 서장군구의 제18군 제52사단과 번호를 교환했다. 제52사단은 제149사단으로 개칭한 후 제50집단군에 소속되었다. 1985년 제50군이 폐지되면서 주력인 149사단이 제13군에 편입되었고 사천 낙산에 주둔하였다. 군사령부는 중경 강진에 있다.

 

제14집단군: 을류집단군이다. 3개사단이 있다. 군사령부는 곤명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