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경극(京劇)과 Peking Opera

by 중은우시 2007. 8. 29.

글: 조계정(趙啓正)

 

필자는 일찌기 프랑스 문화계의 몇몇 인사들과 경극을 어떻게 세계화시킬 것인지에 대하여 얘기한 적이 있다. 얘기하는 사람 모두 세계에는 대표적인 희극문화형식으로 세가지가 있다고 인정했다: 하나는 오페라이고 하나는 발레이며 또 하나가 중국경극이다. 그중 한 사람은 일본의 가부키(歌舞伎)도 있다고 보충했다.

 

그중 중국문화에 대한 조예가 깊은 프랑스 사람 한 명이 이렇게 말했다: "경극을 영어로 번역할 때 Peking Opera라고 하는데, 외국인들은 이것을 북경에서 연출하는 <<카르멘>>이나 <<라 트라비아타>>라고 생각해서, 별로 가보고 싶은 마음이 들어하지 않는다." 경극과 오페라는 전혀 다르므로, 개념적으로 서로 혼동될 수 없는 것이다. 다른 몇 사람도 그들은 경극을 보지 않았는데, 서양오페라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여러 사람이 논의한 결과는 경극이 중국의 예술형식이면 경극의 영어번역도 그대로 음역하여 "Jingju(징쥐)"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는 것이다. 바로 일본의 "가부키"를 "Kabuki"라고 번역하는 것처럼...

 

이것을 듣다가 생각해보니, 일본의 언어예술형식으로 "만재(漫才)"라는 것이 있는데, 일본인들이 영어로 번역할 때 "Manzai"라고 한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상성(相聲)을 영어로 번역하면서 "Cross Talk(교차대화)"라고 했다. 이 말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도 도대체 무엇을 하는 것인지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풍공 선생이 상성은 상성이므로 영어로 번역할 때도 당연히 "Xiangsheng(샹셩)"이라고 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경극의 번역문제는 몇년전에 필자가 매보구 선생에게 의견을 구해본 적이 있다. 그리고, 상해의 사전연구가에게도 물어본 적이 있다. 그들은 모두 "Jingju"가 적당하겠다고 얘기했고, 의역을 하면 정확하지 못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Peking Opera"라는 영어번역을 이미 여러해 써왔기 때문에 더 이상 오해를 일으킬 일이 없다고 하기도 한다(Peking Opera라는 용어는 1930년 매란방 선생이 미국공연을 갔을 때부터 썼다고 한다). 실제는 그렇지 않다. 중국인들은 오해하지 않지만, 외국인들에게 물어보면 여전히 경극과 오페라가 서로 다른 예술형식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다. 한국은 14세기부터 써오던 "한성"이라는 중문용어를 한국어 발음대로 번역한 "수이(首爾)"로 바꾸는데 1,2년만에 공인받지 않았는가?

 

필자는 그래도 경극의 영어명칭은 Jingju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바로 경극의 이름을 바로잡아주는 것이고, 번역명칭에서 중국적인 특색을 잃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이 오히려 경극을 세계에 보급하는데 유리하다.

 

필자는 일찌기 Google에서 Kabuki라는 말로 검색을 해본 적이 있는데, 300만개가 나왔다. 그러나, Peking Opera로 검색하니 겨우 600개가 나왔다. 그리고, 중국의 4대경극원의 웹사이트를 들어가 봤는데, 그중의 한 곳이 이미 지나간 영문프로그램을 올려놓았을 뿐, 영문으로 된 소개내용은 전혀 없었다. 경극을 세계화시키려면, 이것도 시급히 해야 하는 일이다. 어려운 일도 아니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