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지방/중국의 명소 (남부)

뇌봉탑(雷峰塔)이 무너진 이유는?

by 중은우시 2007. 4. 1.

무너지기 이전의 뇌봉탑

 

최근 복원된 뇌봉탑의 야경그림

 

글: 진완인(陳宛茵)

 

1922년, 필자의 나이 여섯살 때의 일이다. 그때 마침 고모를 따라 항주에 가 있었다. 서호부근의 호산에 살고 있었는데, 자주 서호에 가서 놀았다. 그래서 그쪽의 경치는 아주 익숙했다.

 

당시 가장 유명한 것은 서호팔경인데, "소제춘효(蘇堤春曉)", "단교잔설(斷橋殘雪)", "삼담인월(三潭印月)", "뇌봉석조(雷峰夕照)"등등이었다. 이 팔결중 7곳은 내가 놀러간 것이 한두번이 아니었는데, 유일하게 뇌봉탑을 감상할 기회는 없었다. 왜냐하면 뇌봉탑이 이해 봄에 무너졌기 때문이다.

 

어느 날 아침, 나는 침대에서 일어나자 마자 문밖에 사람들이 웅성거리는 것을 들었다. 사람들은 무리를 지어 서호쪽으로 몰려갔다. 가면서 얘기를 하는데, 마치 뇌봉탑에 가서 탑을 쌓은 벽돌안의 "금(金)"을 주워 돈을 벌겠다는 운운의 말을 하였다. 나는 나이가 어렸고 호기심이 많아서 앞뒤를 따지지 않고, 문을 나서서 사람들을 따라갔다.

 

목적지에 도달하니, 뇌봉탑은 이미 2/3가 무너져 있었다. 그저 일부분의 탑기(塔基)만 남아있었다. 그런데, 무너진 모습이 조금 이상했다. 탑은 바깥으로 무너져 쓰러진 것이 아니라, 탑의 꼭대기부터 안으로 모두 함몰되어버린 것이었다. 그래서, 아래층은 여전히 완전했고, 원래탑의 형태가 얼마나 웅대했고 기세가 비범했는지를 알아볼 수 있었다.

 

다시 자세히 남아 있는 탑바닥의 기층을 살펴보니, 여러 곳에 벽돌을 파낸 구멍이 남아 있었다. 나중에 생각해보니, 이것이 아마도 뇌봉탑이 무너진 원인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것은 '금'을 파내겠다는 사람들이 오랫동안 벽돌을 훔쳐갔고, 그리하여 탑의 기반이 약해졌던 것이다. 게다가 해가 가면서, 비바람에 침식되어 결국 붕괴에 이른 것이다.

 

사람들은 현장에 도착하면, 와 몰려들어 벽돌을 빼앗았다. 사람들이 손에 하나씩 들었고, 힘이 큰 사람은 3, 5개도 들었다. 나는 나이도 어리고 힘이 약했으므로, 그저 재미로 1개를 주워서 안고 집으로 돌아왔다. 고모부에게 드려서 자세히 보도록 했다. 그저 벽돌은 6,7근정도 무게였고, 길이는 옛날척도로 8촌, 너비는 5,6촌이었고, 두께는 2촌정도였다. 벽돌은 색이 매끄럽고, 청회색의 빛을 내었다. 모양은 두텁고 고박했다.

 

그러나, 아무리 살펴봐도 "금"은 보이지 않았다. 대신 벽돌의 옆면에 작은 구멍이 파져 있었는데, 안에는 작은 종이하나가 들어있었다. 꺼내서 살펴보니 원래 불경의 한 페이지였다. 종이는 이미 누렇게 되었지만, 글자는 아직 알아볼 수 있었다. 고모부에게 물어보니, 그것은 <<능엄경>>의 한부분이라는 것이다. 벽돌을 주워온 이웃사람들에게 물어봐도 그들이 가져온 벽돌에서는 마찬가지로 구멍안에 불경의 한 페이지가 들어있었다는 것이다.

 

그제서야 사람들은 확연히 깨달았다. 벽돌안에 '금(金)"이 들어있다는 소문은 바로 벽돌 안에 불경의 "경(經)"이 들어있다는 말이 와전된 것이라는 것을. 이 와전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하나둘 뇌봉탑의 벽돌을 빼내가게 되었고, 결국 뇌봉탑이 무너지기에 이른 것이다.

 

그렇다면, 경전을 탑의 벽돌에 숨긴 것은 무슨 이유에서 인가? 그것은 불문의 규율이라고 한다. 왕왕 불상의 개광이나 불탑의 낙성시에 불경을 찢어서 여러 페이지를 각각 불상의 뱃속이나 탑의 벽돌속에 숨긴다는 것이다. 이로써 진사(鎭寺), 진탑(鎭塔)의 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뇌봉탑의 벽돌에 언제 이런 불경을 숨겼는지는 더 이상 고증하기 힘들다.

 

뇌봉탑이 무너진 것을 보면서, 그 근원을 찾아보면 결국 인간의 탐욕으로 인한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인간의 탐욕은 천년고적을 하루아침에 파괴해 버렸다. 서호팔경에 1경이 사라진 것이니 정말 유감이다. "바람은 푸른 풀의 끝에서 일어난다(風起於靑萍之末, 바람은 푸른 색의 자그마한 풀이 자라는 곳에서 모여서 불기시작한다는 말로, '작은 것을 보면 큰 것을 알수 있다' 혹은 '어떤 경향이나 헛소문이 탄생한다'는 의미로 쓰임)"는 말이 있다. 후세인들은 이 전철을 다시 밟지 않게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