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위(北魏)
- 태화19년(495) 북위의 효문제가 낙양으로 천도
- 태화20년(496) 효문제는 북천축의 고승 발타(跋陀)를 위하여 소림사를 세움. 발타는 소림사 서대에 사리탑을 세우고, 사리탑 뒤에 역경당(譯經堂)을 세움.
- 희평2년(517) 낙양영녕사(永寧寺)완공. 17년후 불에 타서 소실. 그 동안에 남천축 고승 보리달마가 이 절에 옴. 나중에 소림사의 뒤에 있는 오유봉(五乳峰)의 산동에서 좌선.
- 정광초(520) 발타의 제자인 승조(僧稠)가 소림사주지가 됨.
동위(東魏)
- 천평초(534-536) 보리달마가 낙하지구에서 사망. 원적후 웅이산(熊耳山) 공상사(空相寺)에 탑을 세움.
북제(北齊)
- 건명원년(560) 승조 원적. <<지관법(止觀法)>>을 남김
북주(北周)
- 승광원년(577) 주무제는 불법을 폐지하는 조서를 내림. 소림사폐쇄.
- 대상2년(580) 주정제는 불교도교의 두 종교를 중흥하는 조서를 내림. 소림사다시세움 척고사로 개명.
수(隋)
- 개황원년(580) 소림사의 이름회복
- 개황중기(581-600) 수문제는 소림사에 백곡오의 땅 1백경을 하사함.
- 대업14년(618) 천하대란, 소림사는 산적에게 강탈당함. 탑원이 불에탐. 영탑은 남음.
당(唐)
- 무덕4년(621) 4월27일, 소림사 상좌 선호등 13승려가 왕세충의 조카 왕인칙을 당나라에 귀순시키는데 공을 세움. 3일후 진왕 이세민이 관리를 절에 파견하여 상을 내림.
- 무덕5년(622) 소림사는 정나라(반당)의 소재지로서 폐지당함
- 무덕7년(624) 소림사승려의 항의로 7월에 소림사는 다시 세워짐.
- 무덕8년(625) 2월, 소림사 백곡오의 40경의 땅과 물방아 1개를 하사함.
- 함형중기(670-674) 고종이 소림사에 순행. <<금자반야비>>를 내림
- 홍도원년(683) 선종의 대사 법여(法如)가 소림사에 들어감. 9월25일, 무측천이 무삼사를 보내어 금, 견등을 소림사에 하사함. <<대당천후어제원문>>의 비를 세워 망모 양씨의 공덕을 빔.
- 사성원년(684) 고종사망. 무측천이 소림사에 이르러 고종을 위하여 공덕을 빔.
- 영창원년(689) 법여 원적. 탑을 절 동쪽에 세움.
- 개원11년(723) 11월, 현종이 어서비액7자 및 "태종교서"를 내림.
- 개원16년(728) 7월15일, 소림사에 배최가 찬한 <<황당숭악소림사비>>를 세움.
금(金)
- 금초 주지 조단(祖端)이 <<묘색나라연금강신상비>>를 세움
- 흥정4년(1220) 주지 지륭(志隆)이 '약국(藥局)"을 창설
원(元)
- 칭제원년(1242) 조동종의 종사 만송(萬松)이 대제자 복유(福裕)를 소림사주지로 파견
- 칭제4년(1245) 복유는 쿠빌라이의 명을 받아 소림사에서 자계대회를 함.
- 정종3년(1248) 복유는 도승성총통이 됨. 불사237개를 회수함.
- 헌종8년(1258) 쿠빌라이는 하라허린에서 불교, 도교 대변론을 개최함. 복유는 불교대표로 변론참여, 도사들이 패함.
- 중통원년(1260) 복유는 "광종정법대선사"의 칭호를 받음. 대도 대만수사의 주지가 됨. 그 동안 화림, 연계, 장안, 태원, 낙양에 다섯개의 소림사분사를 만듬.
- 지원12년(1275) 복유 원적. <<설정화상어록>>을 간행
- 황경원년(1312) 복유를 진국공에 봉함
- 태정4년(1327) 일본 산음도의 단주정법선사의 승려 소원이 중국을 옴. 2년후 소림사도착 21년간 머뭄.
- 지정11년(1351) 3월 26일, 영주홍건적이 소림사에 들어옴. 긴나라승이 신이한 힘으로 이를 저지함.
- 지정21년(1361) 천하동란, 소림사의 승려가 20여명 남음.
명(明)
- 홍무2년(1369) 자엄(子嚴)이 소림사 주지가 됨 전후 13년간 주지를 함.
- 홍무25년(1392) 내복이 <<순졸선사도행지비>>를 찬함. 일본국 사문덕치가 글을 씀.
- 정덕5년(1510) 문재가 소림사 주지가 됨. <<선원청규>>를 받듬. 12년간 주지
- 정덕7년(1512) 패주농민 유씨의 농민반란일어남. 소림사의 무승이 명을 받들어 진압. 다음헤 설정을 건립함.
- 가정원년(1522) 11월, 산동청주광산 정왕당이 반란을 일으킴. 소림사의 무승이 명을 받들어 진압.
- 가정27년(1548) 무승을 위하여 탑을 세움.
- 가정31-33년(1552-1554) 소림사무승 30여명이 연해지역에서 왜구를 무찌르다, 영웅적으로 전사.
- 가정32년(1553) 탁성염도사 상조가 반란을 일으킴 소림사 무승 축만 주참등이 정벌. 10월에 진압.
- 가정34년(1555) 휘왕부가 소림사를 위하여 패방을 세움. 휘왕 주재륜이 글을 씀. 다음 해 주재륜이 죄로 자살하고, 휘왕부는 없어짐.
- 가정37년(1558) 소산(小山)이 소림사주지가 됨. 이후 8년간 주지역임.
- 가정40년(1561) 유대유가 소림사로 와서 무술을 구경함. "진짜 비결을 모두 잃어버렸다"고 한탄. 절의 승려 종경, 보종을 뽑아서 곤법을 가르킴.
- 가정42년(1563) 서천범승제자 편둔화상이 원적
- 가정44년(1565) 정왕의 아들 주재육이 <<혼원삼교구류도>>를 소림사에 세움.
- 융경연간(1567-1572) 정종유가 소림사로 들어와 무술을 10년간 배움. 만년에 <<소림곤법찬종>>을 간행.
- 만력2년(1574) 상윤(常潤)이 소림사주지가 됨
- 만력5년(1577) 하남순무 정소가 소림사에서 무술관람. <<소림관무>>라는 시를 씀.
- 만력16년(1588) 천불전을 창건.
- 만력37년(1609) 무언(無言)이 소림사주지가 됨. 17년간 주지직에 머뭄. 원굉도가 소림사로 놀러와서 무술을 구경함.
- 숭정11년(1638) 등봉 농민 이제우의 반란이 일어남.
- 숭정14년(1641) 겨울 이자성, 이제우의 군대가 합쳐져서 등봉현성을 함락시킴.
청(淸)
- 순치13년(1656) 해관이 북경으로 감. <<오가종파세보정조도>>를 간행. 다음해 예부의 명을 받아, 청나라 제1대 주지가 됨.
- 강희43(1704) "보수방련"과 "소림사"라는 편액을 내림.
- 옹정13년(1735) 세종이 소림사의 중수를 허가함.
- 건륭초년(1736) 하동총독, 하남순무인 왕사준이 소림사를 중수. 은9천냥을 사용
- 건륭5년(1740) 하남순무 아얼투의 상소에 "소림사 승려는 항상 권법과 봉술을 배우는 것으로 유명하다"고 씀.
- 건륭12년(1747) 시혁잠, 초여형이 <<소림사지>> 4권, 5만여자를 씀. 다음해 간행.
- 건륭15년(1750) 9월 30일, 고종이 소림사를 순행. 시를 쓰고 편액을 씀. 방에 소림사 방장실에서 잠.
- 도광8년(1828) 하남도원 인경이 순무 양해량을 대신하여 숭산에서 제사를 지낼 때 소림사에서 무승의 권술을 구경함.
- 도광30년(1850) 아편전쟁종결. 무술이 민간에 보편화됨.
- 함풍4년(1854) 왕조원이 소림사에 들어와 <<역근경>>을 배움. 만년에 <<내공도설>>를 간행.
- 동치원년(1862) 염군이 서정을 함. 3월부터 9월까지 두번 등봉현을 지남. 메뚜기재해가 있었음.
중화민국(中華民國)
- 민국초년(1911-1920) 토비출몰, 소림사는 무기를 사서 보위단을 만듬. 화상 항림(恒林)이 단장을 맡음.
- 민국4년(1915) 민국정부의 교육부통령으로 무술을 서양식 신식학교과정에 넣음
- 민국5년(1916) 왕운화가 긴나라신전을 보수
- 민국12년(1923) 항림 원적. 제자 묘흥이 뒤를 이음. 오패부의 군대가 소림사 보위단을 제1단으로 편성함. 묘흥이 단장을 맡음.
- 민국16년(1927) 묘흥이 무리를 이끌고 무양으로 감. 임응기의 부대와 싸워서 사망. 보위단 무승은 뿔뿔이 흩어짐.
- 민국17년(1928) 3월 15일, 국민군 석우삼이 소림사를 불태움. 천왕전, 대웅전, 객당, 종고루, 장경루와 소장한 대장경, <<소림사지>>목판, 북조석각조상비등이 모두 불에탐.
- 민국17년(1928) 민국정부는 중앙무술관을 만듬. 성,시,현에는 국술관을 만듬. 대량의 민간 권법스승이 교수를 맡음.
- 민국20년(1930) 당호가 <<소림무술고>>를 출판
'중국과 문학 > 무협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근경(易筋經)은 달마대사의 작품인가? (0) | 2007.04.24 |
---|---|
김용(金庸)과 세번의 결혼 (0) | 2007.04.09 |
김용(金庸)의 용(庸), 고룡(古龍)의 용(龍) (0) | 2006.10.24 |
김용 : 80세의 나이로 캠브리지대학 박사과정에 입학하다. (0) | 2006.05.11 |
김용소설에 나오는 무공용어의 영어번역 (0) | 2006.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