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지방/중국의 명소 (남부)

진강(鎭江) 철옹성(鐵瓮城)

by 중은우시 2007. 1. 29.

 

 

호북성 악주(鄂州)의 오왕성(吳王城), 남경의 석두성(石斗城), 진강의 철옹성은 지금까지 보존된 삼국시대 동오(東吳)의 고성이다. 진강의 철옹성은 그 중에서도 가장 먼저 만들었고, 보존이 가장 완벽하며, 벽돌로 쌓은 독특한 특색을 지니고 있다. 진강고성고고연구소 명예소장인 유건국 연구원은 15년동안 철옹성을 연구했다.

 

철옹성

 

철옹성은 경성(京城), 경구성(京口城), 자성(子城)이라고도 부른다. 최초의 권위있는 기록은 남조 고야왕이 <<여지지(輿地誌)>>라는 책에서 쓴 글이다 "오나라 대제 손권이 만들었다. 주위는 630보이며, 남, 서 두개의 문이 있다. 내외는 모두 벽돌로 성벽을 만들었다" 비교적 간단한 기술이지만, 성의 기본요소는 명확히 언급하고 있다.

 

건안13년(208년) 손권은 정권중심을 오(吳, 소주)에서 경성(지금의 진강)으로 옮겼다. 이 해에 적벽대전이 발발한다. 비록 이 때 손권은 아직 왕으로 칭하지는 않았지만, 철옹성은 실제로 이미 왕성의 지위와 규모를 가지고 있었다. 청나라 강희제의 시에서는 "반면연람웅북고, 일방형세공동오(半面煙嵐雄北固, 一方形勢控東吳, 반쯤은 아지랑이 연기가 피어로르는 북고산은 동오의 형세를 장악하고 있다)"라고 한 바 있다. 철옹성의 이름의 유래에 대하여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당나라 <<윤주도경(潤州圖經)>>에서는 "옛날에 철옹성이라고 불리우는 것은 그것이 견고하기가 쇠로 만든 성과 같아서이다"; 다른 한 설은 철옹성은 항아리같이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유건국은 이 두가지가 모두 성립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독사방여기요>>에서는 삼국이후 철옹성이라는 지방은 계속 지방의 정치중심으로서 관아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장장 1천년에 걸쳐 청나라 말이 되어서야 비로소 진강의 관아가 철옹성에서 나왔다. 그래서 철옹성은 또한 "천년아성(千年衙城)"이라는 칭호도 가지고 있다.

 

북고산(北固山)은 장강에 연해있으며, 산에는 세 봉우리가 있는데, 차례로 전봉(남봉), 중봉, 후봉(북봉)이라고 부른다. 철옹성은 전봉(지금의 고루강일대)에 기대어 건축되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성이 만들어지고 무너지고를 거듭해서, 철옹성의 옛자리를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일찌기 북송연간에 윤주(진강)적의 승상이자 시인인 왕존취는 이렇게 말한 바 있다."늦게 북고산의 정상에 올라, 남서성을 내려다보니, 무너진 성루가 넓다랗고, 산천이 돌아서 종횡으로 흐른다"

 

천고명성

 

철옹성의 수수께끼를 풀기 위하여, 1991년부터, 국가문물국은 이 성유적지를 국가문물고고의 중점프로젝트의 하나로 지정했다. 15년간 고고학적 발굴이 진행되었다. 이 발굴연구에 계속하여 참여했던 유건국은 당시 남경대학 역사학과 교사와 학생들이 진강으로 와서 고고학적 발굴을 진행했다. 사료의 단서를 쫓아 북고산 남봉의 모습을 고찰하였는데, 고고학자들은 이곳이 동, 서, 북의 세 곳에 단단한 흙무더기대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U자형인데,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았으며, 지면에서 약 7-20미터 높이로 되어 있었다. 고고학자들은 먼저 서북측의 토강을 시굴하기 시작했고, 육조시대의 궁토와 벽돌벽의 유적을 발견했다. 산을 따라서 단면의 벽체가 있었는데, 곧은 것과 기운 것이 결합되어 있었다. 이로써 추산하면, U자형 토강은 철옹성의 잔여유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994년 봄, 고고학자들은 남쪽담장의 소재지점에서 두개의 소형 고랑를 발견한다. 일거에 남쪽담장의 궁토를 발견하였다. 궁토는 높이가 3-4미터이다. 1996년, 고고학자들은 동쪽담에서 조사하다가 육조의 성담 궁토와 벽돌벽의 흔적을 발견한다. 1997년에는 역대관아건축의 유적을 발굴한다. 이것으로 알 수 있는 것은 철옹성의 사방의 성벽은 비교적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고, 성주위의 평면은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성벽의 꼭대기의 중심에서부터 계산하면, 남북성벽의 꼭대기간의 거리는 430미터이고, 동서성벽의 꼭대기간의 거리는 약 280미터이다. 주위는 약 1100미터이다. 이것은 역사에 기록된 주위 630보라는 것과 대체로 일치한다. 2000년에 철옹성은 강소성 성급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된다.

 

2003년 여름, 유건국은 철옹성의 남쪽담장에 대하여 고고학적 발굴을 진행한다. 여기에서 철옹성의 남문 궁토 밑 벽돌유적을 발굴하였다. 2004년 1-10월, 서문의 약 300평방미터를 발굴했다.

 

역사기록에 의하면, 철옹성은 남, 서 두개의 문이 있었다. 남문은 각문(角門)이라고 불렀는데, 송나라때는 초문이라고도 불렀고, 명나라때는 고루(鼓樓)라고 고쳐불렀다. 오늘날의 고루강(鼓樓岡)이라는 지명은 원래 여기서 나온 것이다. 이번 발견은 루각문 유적인데, 철옹성에 대한 중요한 증빙일 뿐아니라, 중국남방의 육조성문에 대한 고고학적 첫 발견이다.

 

유비초친

 

북고산의 중, 후봉은 해발 약 50미터이다. 표층은 2-3미터 아래에는 암석으로 이루어진 산이다. 남조시기에 양무제는 북고산에 올랐을 때 '높이 수십장이고 삼면이 물이다"라고 하였다. 강위의 천연석성이었던 것이다. 1999-2000년의 고고학자들은 북고산의 후봉(유명한 감로사의 소재지)의 허리부분에 대하여 고고학적 시굴을 진행하였다. 당나라때 감로서 전각유적지층의 아래에 육조와 선진시대의 문화퇴적이 발견되었다. 육조지층에서는 초기의 승문면엽맥문 또는 진선문의 기와가 발견되었고, 승문전 및 청자호, 관, 완의 잔편등이 발굴되었다. 선진지층에서는 주나라때 도격 및 방격문, 석문, 구자문, 뇌문, 투릉문등 각종 인문의 도자기편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북고산 후봉은 육조이전에도 이미 상당한 사람들의 활동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철옹성과 경성은 또 어떤 관계일까? 유건국은 철옹성은 삼국경성의 중요구성부분이라고 분다. 그러나 전부는 아니었다고 본다. 삼국시대의 경성은 북고산의 전부를 포괄하였을 것이다. 즉, 전, 중, 후봉이 모두 포함되며 남북으로 약 1000미터, 주위는 약 6리에 이르렀을 것이다.

 

손권이 지은 경성은 경격이 제왕의 궁성과 비슷했다. 고대궁성의 법도에 따르면, 조정을 보는 지역과 침원지역은 구분된다. 즉, 전조후침(前朝後寢)의 구조가 된다. 철옹성을 잘 살펴보면, 경성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남쪽에서 북쪽으로 조금씩 올라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북쪽이 지세가 가장 높고, 기세가 웅혼하다. 이곳은 분명히 정사를 보던 곳일 것이다. 북고산의 중, 후봉은 궁원(宮苑)지역일 것이다. 그리고 무기고, 양식창고등이 있었을 것이다.

 

유비가 경구로 와서 활동하던 시기에는 손권의 여동생남편이었다. 그러므로 당연히 경성의 내침궁, 궁원구에서 하니문을 보냈을 것이다. 이로써 보면, 유비가 북고산에서 용봉정상(龍鳳呈祥)의 신혼을 보내고, 손권과 나란히 말을 타고 거석을 시험하였다는 전설도 철옹성의 고고학적 발굴과 더불어 부활될 수 있을 것이다(양주만보, 만릉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