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학/수호전

"수호전(水滸傳)"의 최초 이름은?

by 중은우시 2006. 11. 4.

수호전의 최초의 서명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첫째, <<송강(宋江)>>설. <<칠수류고(七修類稿)>>에 "<<삼국>>, <<송강>>의 두 책은 항주사람 나관중이 편찬한 것이다. 내 생각으로는 예전에 반드시 그 본(本)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서, 편찬했다고 한 것이다. <<송강>>은 "전당시내암의 책"이라고도 한다"고 기재하고 있다.

 

둘째, <<충의전(忠義傳)>>설. 이 설도 두 가지 견해로 나뉜다.

 

한가지는 충의전은 영렬전(英烈傳)의 자매편이라고 한다. 영렬전은 곽훈이 그의 조상의 공덕을 기린 것이고, 수호전, 즉 충의전은 그가 공신을 함부로 죽인 것을 풍자한 것이라고 한다.

 

다른 한가지는 남송이래로 충의(忠義)는 붐을 이루었고, 당시에 충의군(忠義軍)에 관한 여러가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었다. 국사, 금사에도 충의전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충의전에 언급된 인물들과 그들의 행적은 모두 이야기꾼들이 만들어낸 화본이다. 수호전은 최초에 충의라고 불렀는데, 이것은 수호전내에서도 여러가지 흔적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자성의 가운데 호표를 숨기다"와 "홍건의 성씨가 천고에 전해지다"는 것등이다. "충의"를 주제로 한 것은 더욱 예가 많다. 구천낭랑의 법지는 '전충장의, 보국안민'이었다. 이것은 당시 충의군의 구호였다. 제71회의 천문석게에 있는 글도 '체천행도"와 "충의쌍전"이었다. 특히 구본 수호전 제81회의 입회시에는 '사업집성충의전, 용자담병강호중'이라고 하여 수호전의 원래 이름이 충의전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충의전이라는 설에는 증거도 있다. 상해도서관이 1970년대에 두 장의 수호전의 잔여페이지를 발견하였는데, 가운데 <<경본충의전(京本忠義傳)>>이라고 적혀 있었다. 이 두 장의 수호전 잔결페이지는 전문가의 감정을 거쳐, 그 판각본이 현재 발견되는 많은 수호전보다 훨씬 시기적으로 이르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이로써볼 때 <<수호전>>은 원래 <<충의전>>이었고, 나중에 수호를 붙여서 <<충의수호전>>으로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강호호객전(江湖豪客傳)>>설. 이 설은 강소성 흥화현의 시씨족보에서 <<시내암묘지>>와 <<흥화현속지>>의 <<내암소사>>에 근거한다. <<내암소사>>에서는 장사성이 "시내암의 명성을 듣고 불렀으나 가지 않았다. 장사성은 그 집을 방문했고, 시내암이 <<강호호협전>>을 쓰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는 것이다.

 

넷째, <<수호전>>설. 이 설은 수호전은 처음부터 수호전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원나라때의 잡극에 "채명수호, 박호양상(寨名水滸, 泊號梁山, 산채의 이름은 수호이고 호수의 이름은 양산박이다)"라는데서 근거한다.

 

이상의 여러 학설중에서는 <<송강>>설이 가장 믿을만하다. 수호전은 이야기꾼들의 이야기 화본에서 출발해서 변화발전한 것이므로 처음에는 설화를 기록정리하는 과정을 거쳤을 것이다. 무행자, 석두손립등 모두 사람이름으로 이야기의 제목을 붙였다. 그러므로 수호전도 사람이름으로 제목을 붙였을 가능성이 많다. 낭영(칠수유고의 저자)의 시대에는 이미 <<송강>>이라고 이름이 붙었고, 나관중이 편찬한 것과 시내암이 편찬한 것이 전해졌던 것으로 보이다. 낭영은 이것에 대하여 이전에 이미 책이 있었으므로 나관중과 시내암에 대하여 편찬이라는 말을 썼다고 한다.

 

충의전을 곽훈의 영렬전과 자매편이라고 보는 것은 성립되기 힘들다. 황명종신록 권30에 따르면 "무정후 곽훈은 그의 조상인 곽영이 태묘에 모셔진 공을 기리기 위하여 삼국지, 수호전을 모방하여 '국조영렬기'를 지었다"고 되어 있다. 이것을 보면 영렬전은 이미 존재하던 수호전을 모방한 것이고, 두 서적이 자매편인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충의전에 관한 두번째 학설은 근거가 있다. 그러나, 경본충의전은 아마도 낭영이 보았던 <<송강>>보다는 뒤에 일어난 일로 보인다.

 

강호호협전은 믿기가 어렵다. 시내암묘지와 내암소사는 후인들의 조작으로 보인다. 장사성이 직접 시내암을 찾아갔다는 것도 전설에 불과하고 증거는 전혀 없다.

 

수호전의 처음 시작은 설화기록이다. 이후 문인들의 가공을 거쳐서 수호전으로 집대성된 것이므로 처음부터 수호전이라는 이름을 달았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