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고16 탕빈(湯彬): 청나라 최초의 문정공(文正公) 글: 서세평(徐世平) 청나라때 문관의 최고시호인 '문정(文正)'을 받은 자는 모두 8명이고, 탕빈이 최초의 인물이다. 그러나, 이력을 보면, 탕빈이 관직은 겨우 예부상서, 공부상서이다. 유통훈(劉統勛), 주규(朱珪), 증국번(曾國藩), 이홍장(李鴻章)등과 같은 등급의 인물이 아니다. 장정옥(.. 2015. 2. 10. 외국사신의 눈에 비친 강희제 글: 유병광(劉秉光) 중고등학교를 다닐 때, 선생님이 얘기해주는 "국왕의 초상화를 그린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고대에 한 국왕이 있었는데, 70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하여, 3명의 화가를 불러서, 그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이 국왕은 용모가 추악했고, 눈 하나가 먼 애꾸였으며, 다리 .. 2014. 2. 2. 중국고대황제는 후궁을 어떻게 관리했는가? 작자: 미상 중국역대제왕은 후비관리제도를 규정했는데, 대체로 비슷하지만, 각각 차이는 있다. 진(秦)에서 청(淸)까지, 많은 수의 비빈을 맞이한 것은 황제의 음욕을 만족시키면서, 자손을 번성하게 하기 뮈함이다. 그리하여 삼궁육원칠십이비(三宮六院七十二妃)라는 말도 있고, 후궁가.. 2013. 12. 8. 증국번(曾國藩): 개명후 관운이 형통하다 글: 이자지(李子遲) 증국번(1811년 11월 26일 - 1872년 3월 12일). 한족, 호남성 누저시(婁底市) 쌍봉현(雙峰縣) 하엽진(荷葉鎭) 천평촌(天坪村)(청나라때 옛 소속은 호광행성 장사부 상향현) 사람이다. 만청의 중신으로 상군의 창립자이며 총사령관이다. 청나라때의 군사가, 이학가, 정치가, 서.. 2013. 11. 30. 태상황(太上皇)과 태상황제(太上皇帝) 글: 유병광(劉秉光) "태상황"과 "태상황제"는 사료에서 자주 등장하는 두 단어이다. 글자 1자의 차이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주 혼동하여 쓰고 심지어 통용해서 쓰기도 한다. 사실상, "태상황"과 "태상황제"는 서로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태상황"이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은 <.. 2013. 11. 23. 청사편찬전전(淸史編纂前傳) 글: 이양(李揚) 1914년 8월, 원세개의 수행비서 오구(吳璆)는 원세개의 친필서신을 가지고 청도(靑島)로 간다. 오구가 이번에 청도에 간 목적은 무창의거후 청도에 은거하고 있던 전임 청 동삼성총독 조이손(趙爾巽)에게 청사(淸史) 편찬을 요청하기 위해서였다. 시간은 몇 달 전으로 거.. 2013. 11. 1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