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세종14 조광윤은 주세종의 아들들을 어떻게 하였는가? 글: 왕국동(王國棟) 960년, 조광윤은 진교병변으로 후주(後周)의 강산을 빼앗아 북송(北宋)정권을 건립했다. 그러나 후주세종 시영(柴榮)의 가족들을 어떻게 처리할 것이냐는 그의 큰 난제였다. 주세종 시영에게는 7명의 아들이 있었다. 장남 시종의(柴宗誼), 차남 시종성(柴宗誠), 삼난 시.. 2018. 12. 2. 조광윤 "황포가신(黃袍加身)"의 5가지 의문점 글: 귀산야화(貴山夜話)2017 배경설명 1. 조광윤은 후주(後周)의 황제인 주세종(周世宗) 시영(柴榮)의 수하 애장(愛將)이었다. 주세종 시영은 오대십국(五代十國)의 혼란시기에 가장 명망있고 업적을 이룬 일대군주이다. 민간의 평서, 화본에서는 시영과 조광윤이 일찌기 결의형제를 맺었다.. 2018. 8. 4. [황자쟁위술] 양차동풍술(亮借東風術) 양자입승패(養子入承牌) 재첨편외 <삼국연의>의 적벽대전때 ‘만사구비, 지흠동풍(萬事俱備, 只欠東風)’의 상황에서 제갈량이 차동풍(借東風)한 이야기는 아주 유명하다. 특히 무슨 일을 이루기 위하여 다른 조건은 갖추어져 있는데 중요한 한 가지가 빠진 경우가 있다. 그럴 때, 그 빠진 것을 채워주는 것이 왕왕 우.. 2015. 10. 11. 조광윤은 왜 황위를 아들이 아닌 동생에게 물려주었는가? 글: 이추우(李秋雨) 1036년전인 서기979년 6월 3일, 송태종은 북한(北漢)을 멸하고 오대십국의 분열국면을 종식시킨다. 오대후기, 통일의 추세는 나날이 분명해져갔다. 후주(後周)때, 주세종은 개혁을 진행하고, 역량이 크게 증강되었다. 그는 선남정 후북벌(先南征後北伐)의 통일방침을 세.. 2015. 6. 5. 북송이 금에 멸망한 근본적인 이유는? 글: 문재봉(文裁縫) 냉병기시기에 만리장성은 유목민족과 농경민족의 분계선이었다. 만일 이 장성의 보호가 없었더라면, 유목민족이 침입해올 때, 중원왕조는 더욱 거대한 댓가를 치르거나 심지어 망국의 고통을 당해야 했을 것이다. 지도를 펼쳐보면 바로 알 수 있다. 중원왕조가 생존.. 2015. 6. 2. 부언경(符彦卿): 세 딸이 황후에 오른 송나라 명장 글: 이자지(李子遲) 부언경(898-975), 자는 관후(冠侯), 완구(宛丘, 陳州라고도 부름. 지금의 하남성 회양) 사람. 오대 및 북송초기의 명장. 일찌기 여러번 요나라군대와 전투를 벌임. 무장세가출신으로 조부는 오왕(吳王) 부초(符楚), 부친은 진왕(秦王) 부존심(符存審, 일명 李存審, 이극용의 .. 2015. 1. 1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