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무왕26

하상주단대공정에 대한 이견 작자: 미상 하상주단대공정이 일단락되고, 단계적인 연구보고서가 제출되었다. 무왕벌주(武王伐紂)는 기원전1046년 1월 20일에 발생하였다고 결론내렸다. 그러나, 이 결론에 대하여 필자는 이견이 있다. 먼저 필자는 단대공정에서 사용된 방법은 과학적이라는 것을 인정한다. 기본점은 믿.. 2013. 7. 12.
오(吳): 주(周)나라때의 최대제후국 글: 오한운(吳閑雲) 아주 오래 전에 주나라때 중화대지에는 많은 제후가 있었다. 당시에 약 팔백여개의 제후국이 있었다고 한다. 한 부락이 한 나리아고, 한 가족이 한 나라이고, 한 성이 한 나라였다. 대국의 토지는 1백리 혹은 칠십리이고, 소국의 토지는 오십리등 서로 달랐다. 이렇게 좁은 땅을 가진 제후국들은 여러 별이 달을 감싸고 도는 것처럼 주천자의 왕성을 둘러싸고 있었으며 전체 황하유역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만일 주천자가 천하의 대왕이라고 한다면, 각 제후는 지방의 소왕이다. 그렇다면 이들 제후들 중에서 누가 주왕조의 제1의 제후일까? 우리가 일반적으로 가진 인상 속에서는 강자아(姜子牙)의 제(齊)나라가 아마도 제일로 꼽을 것이다. 왜냐하면 강자아는 강자아는 주무왕의 스승이고, 주무왕의 장인이며,.. 2013. 5. 18.
육웅(鬻熊): 도가의 비조(鼻祖) 글: 오한운(吳閑雲) 도가의 비조를 말하면,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태상노군(太上老君)을 떠올린다. 태상노군은 도덕천존(道德天尊)이라고도 하는데, 바로 노자(老子)이다. 개략 북위(北魏)시기부터 시작하여, 그는 태상노군이라고 존칭하게 된다. 노자는 춘추시대 말기에 생활했고, 초(楚).. 2012. 9. 19.
중국의 성씨(姓氏) 글: 여이위(余以爲) '전국공민신분정보시스템"의 도움으로 어떤 사람이 중국공민의 이름에 대하여 통계를 내본 적이 있다. 그는 지역적인 특색에 주목했다. 북방도시에는 왕(王)씨성이 가장 많고, 상해에는 장(張)씨성이 가장 많으며, 광주에는 진(陳)씨가 가장 많았고, 서녕에는 마(馬)씨.. 2012. 3. 27.
주무왕(周武王)의 봉신방(封神榜) 글: 압사룡(押沙龍) 파스체르나크(닥터지바고의 작가)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아무도 시대가 어떻게 변천할 지는 모른다. 아무도 풀이 어떻게 조금씩 말라가는지를 모르는 것처럼. 대부분의 경우에, 역사의 변화는 확실히 느리다. 왕왕 느끼기 어려울 때가 많다. 그러나, 예외.. 2012. 1. 30.
강태공의 낚시와 비지니스지혜 글: 이효(李曉) 강태공(姜太公)의 이름은 강상(姜尙)이며, 자는 자아(子牙)이다. 그의 조상이 일찍이 여(呂)라는 지방에 분봉을 받은 바 있어, 고대인들은 지명으로 씨(氏)를 삼아 여상(呂尙)이라고도 부른다. 강태공을 얘기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은 아마도, “강태공의 낚시에는 낚시바늘.. 2011. 5. 9.